목차
Ⅰ. 자살에 관한 사회과학적 논점
1. 자살의 정의
2. 자살의 실태
3. 자살의 원인
Ⅱ. 자살에 관한 성경적, 신학적, 기독교 윤리적 반성
1. 자살에 관한 성경적 입장
2. 자살에 관한 신학적 입장
3. 자살에 관한 윤리적 입장
Ⅲ. 교회의 실천방안
1. 교회의 내적 실천
2. 교회의 외적 실천
1. 자살의 정의
2. 자살의 실태
3. 자살의 원인
Ⅱ. 자살에 관한 성경적, 신학적, 기독교 윤리적 반성
1. 자살에 관한 성경적 입장
2. 자살에 관한 신학적 입장
3. 자살에 관한 윤리적 입장
Ⅲ. 교회의 실천방안
1. 교회의 내적 실천
2. 교회의 외적 실천
본문내용
위한 상담
자살 유가족들의 심층에는 자살로 인한 심리적 혼란이 기본적으로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자살 유가족들은 자살자가 죽음을 선택한 분명한 이유를 알고 싶어 하며, 죄책감으로 인해 오는 후유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면서 수치심을 느끼게 되며,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조직사회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심각한 후유증으로 유가족 중의 일부는 어려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환경적인 유전의 형태로 전이되기도 한다. 자살 유가족들은 타인을 불신하게 되고 쉽게 사람들을 믿으려 하지 않는 심리적 반응을 보이게 된다. 상담자는 반드시 유가족들의 사고 속에 내재해 있는 위와 같은 사실을 반드시 인식하고 상담치료에 임해야 한다. 유가족의 상처가 회복기에 이를 때까지 정기적으로 시간을 정해 유가족들을 만나야 하고, 유가족들의 여러 가지 질문에 대해 적극적이고 성의 있는 답을 해줌으로써 유가족들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한다. 정성수, “자살자 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54쪽.
사실 유가족에 대한 관심과 공식적인 상담의 창구는 자살이라는 사회 병리적 문제에 있어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인식과 사회적 돌봄은 제 2의 자살을 막는 사회적인 실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③ 자살자 유가족을 위한 후원 구성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후원 단체를 구성하는 것은 자살이라는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점이라 볼 수 있다. 자살이 급증했던 미국의 경우,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적극적인 후원 단체를 구성하여 사후 관리에 역점을 둔 결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조금씩 호전되면서 자살을 보는 많은 사람들의 인식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또한 상담치료와 유가족 후원 단체가 급증하여 사회 문제에 관한 음성적인 반응을 넘어 적극적인 사후관리를 함으로써 사회문제 제반에 관하여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자살자 유가족은 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사후 관리를 필요로 하며 사회 문제의 사각지대에 위치해 있다. 자살의 유전적 요인을 줄이고 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 봉사적 차원의 후원체 구성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사회의 필수적 대안으로 다가온다.
결론
인간의 생명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다. 그러므로 신성하며 존엄한 가치를 지닌다. 우리
이 고귀한 생명을 지켜야 한다. 생명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마땅히 보전되어야 할 고귀한
것이며 영원토록 지탱되어야 한다. 생명은 생명을 주시는 분이신 하나님을 통해서만이 존
재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은 생명의 근원이시며 본성상 생명으로서 그의 피조물에게 생명을 주는 분이시다. 생명은 하나님의 손 안에 있다. 생명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하나님의 소유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고귀한 것이다. 한 사람이 자기 생명을 파괴할 권리도 없고 생명이 있는 다른 사람을 죽일 권리도 없다. 따라서 자살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에 관하여 교회의 실천은 매우 시급한데, 교회는 교회 내적으로 자살에 대한 사회 병리적인 현상을 좀 더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창조주의 사랑으로 좀 더 개선된 예방과 사후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예방을 통한 실천방안으로는 말씀을 통한 자살 예방, 교육을 통한 예방, 상담을 통한 자살의 예방등이 있다. 그리고 교회의 외적 실천으로는 사이버 상담, 자살자 가족을 위한 상담,자살자 유가족을 위한 후원 구성등이 있다.
앞으로 교회는 위와같은 방법들을 통해서,자살을 사회적인 문제로 돌릴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살방지를 위해 교회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힘쓸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1) 리차드 B. 브란트, [사회윤리의 제문제], 서광사, p423
2) 박상칠, 조용범,[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8, p70-78
3) 권성수, "자살, 성경 속에서 알아본다." [자살] (서울:도서출판두란노, 1995),
4) 나학진,"자살 정당한가" [자살], (서울:두란노, 1991)
5) 신국원, [기독교인의 생활윤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1999,
6) J. E. Adams, [복음주의적 목회상담], 전동식 역(서울: 성광문화사, 1983), 167.
7)Paul E. Johnson, [종교심리학], 김관서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4), 211.
<연속간행물>
1) 김정우, "한국의 자살 실태와 교회의 대처방안", 사목, 1998년 11월호, p22
2) "신경정신과학",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1998
3) 김정우. "한국의 자살 실태와 교회의 대처 방안".사목,1998년 11월호. p24
4) 소기천, "왜 이렇게 생명을 경시할까?", 교회와 신학, 2004년 봄호, p23
5) [대한의사협회지],40권 10호 p132-162.
6) 박재형, "자살과 생명경시 풍조에 대한 정신적 분석", 신학과 교회, 2004년봄호. p25~26
7) 유진호, "자살도 선택인가", 교회와 신앙, 1997년12월호. p33
8) 박재형, "자살과 생명경시 풍조에 대한 정신적 분석", 신학과 교회, 2004년 봄호, p27
9) 백상창, "죽음찬미의 한국사회", 월간 고신, 2004년 10월호, p34-37
10)소병욱, "그리스도적 자살 이해" [현대와 종교] 12권(1989. 4).
<논문>
1)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교회교육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 2000. 배한숙
2) 청소년 자살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석사학위 1998. 최태길
3)신의형, "자살에 대한 신학적 반성과 목회적 대처"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호남신학대 학교 목회학박사원, 2000), 82쪽.
4)오은경, "'자살생각'경험자의 심리 사회적 특성 연구 : 사이버 상담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75쪽.
5)정성수, "자살자 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54쪽.
<홈페이지>
1)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nso.go.kr
2) 해럴드 경제
3) 네이버 뉴스
자살 유가족들의 심층에는 자살로 인한 심리적 혼란이 기본적으로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자살 유가족들은 자살자가 죽음을 선택한 분명한 이유를 알고 싶어 하며, 죄책감으로 인해 오는 후유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면서 수치심을 느끼게 되며,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조직사회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심각한 후유증으로 유가족 중의 일부는 어려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환경적인 유전의 형태로 전이되기도 한다. 자살 유가족들은 타인을 불신하게 되고 쉽게 사람들을 믿으려 하지 않는 심리적 반응을 보이게 된다. 상담자는 반드시 유가족들의 사고 속에 내재해 있는 위와 같은 사실을 반드시 인식하고 상담치료에 임해야 한다. 유가족의 상처가 회복기에 이를 때까지 정기적으로 시간을 정해 유가족들을 만나야 하고, 유가족들의 여러 가지 질문에 대해 적극적이고 성의 있는 답을 해줌으로써 유가족들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한다. 정성수, “자살자 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54쪽.
사실 유가족에 대한 관심과 공식적인 상담의 창구는 자살이라는 사회 병리적 문제에 있어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인식과 사회적 돌봄은 제 2의 자살을 막는 사회적인 실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③ 자살자 유가족을 위한 후원 구성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후원 단체를 구성하는 것은 자살이라는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점이라 볼 수 있다. 자살이 급증했던 미국의 경우,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적극적인 후원 단체를 구성하여 사후 관리에 역점을 둔 결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조금씩 호전되면서 자살을 보는 많은 사람들의 인식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또한 상담치료와 유가족 후원 단체가 급증하여 사회 문제에 관한 음성적인 반응을 넘어 적극적인 사후관리를 함으로써 사회문제 제반에 관하여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자살자 유가족은 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사후 관리를 필요로 하며 사회 문제의 사각지대에 위치해 있다. 자살의 유전적 요인을 줄이고 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 봉사적 차원의 후원체 구성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사회의 필수적 대안으로 다가온다.
결론
인간의 생명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다. 그러므로 신성하며 존엄한 가치를 지닌다. 우리
이 고귀한 생명을 지켜야 한다. 생명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마땅히 보전되어야 할 고귀한
것이며 영원토록 지탱되어야 한다. 생명은 생명을 주시는 분이신 하나님을 통해서만이 존
재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은 생명의 근원이시며 본성상 생명으로서 그의 피조물에게 생명을 주는 분이시다. 생명은 하나님의 손 안에 있다. 생명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하나님의 소유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고귀한 것이다. 한 사람이 자기 생명을 파괴할 권리도 없고 생명이 있는 다른 사람을 죽일 권리도 없다. 따라서 자살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에 관하여 교회의 실천은 매우 시급한데, 교회는 교회 내적으로 자살에 대한 사회 병리적인 현상을 좀 더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창조주의 사랑으로 좀 더 개선된 예방과 사후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예방을 통한 실천방안으로는 말씀을 통한 자살 예방, 교육을 통한 예방, 상담을 통한 자살의 예방등이 있다. 그리고 교회의 외적 실천으로는 사이버 상담, 자살자 가족을 위한 상담,자살자 유가족을 위한 후원 구성등이 있다.
앞으로 교회는 위와같은 방법들을 통해서,자살을 사회적인 문제로 돌릴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살방지를 위해 교회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힘쓸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1) 리차드 B. 브란트, [사회윤리의 제문제], 서광사, p423
2) 박상칠, 조용범,[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8, p70-78
3) 권성수, "자살, 성경 속에서 알아본다." [자살] (서울:도서출판두란노, 1995),
4) 나학진,"자살 정당한가" [자살], (서울:두란노, 1991)
5) 신국원, [기독교인의 생활윤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1999,
6) J. E. Adams, [복음주의적 목회상담], 전동식 역(서울: 성광문화사, 1983), 167.
7)Paul E. Johnson, [종교심리학], 김관서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4), 211.
<연속간행물>
1) 김정우, "한국의 자살 실태와 교회의 대처방안", 사목, 1998년 11월호, p22
2) "신경정신과학",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1998
3) 김정우. "한국의 자살 실태와 교회의 대처 방안".사목,1998년 11월호. p24
4) 소기천, "왜 이렇게 생명을 경시할까?", 교회와 신학, 2004년 봄호, p23
5) [대한의사협회지],40권 10호 p132-162.
6) 박재형, "자살과 생명경시 풍조에 대한 정신적 분석", 신학과 교회, 2004년봄호. p25~26
7) 유진호, "자살도 선택인가", 교회와 신앙, 1997년12월호. p33
8) 박재형, "자살과 생명경시 풍조에 대한 정신적 분석", 신학과 교회, 2004년 봄호, p27
9) 백상창, "죽음찬미의 한국사회", 월간 고신, 2004년 10월호, p34-37
10)소병욱, "그리스도적 자살 이해" [현대와 종교] 12권(1989. 4).
<논문>
1)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교회교육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 2000. 배한숙
2) 청소년 자살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석사학위 1998. 최태길
3)신의형, "자살에 대한 신학적 반성과 목회적 대처"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호남신학대 학교 목회학박사원, 2000), 82쪽.
4)오은경, "'자살생각'경험자의 심리 사회적 특성 연구 : 사이버 상담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75쪽.
5)정성수, "자살자 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54쪽.
<홈페이지>
1)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nso.go.kr
2) 해럴드 경제
3) 네이버 뉴스
추천자료
자살에 관한 사회학적 이해
자살의 사회적 원인과 대책
자살에 대한 현실과 실태 및 우리의 태도
자살론의 사회학적 의의 및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적용 가능성
[카이스트학생자살]카이스트의 잇단 학생자살의 원인과 카이스트 교육개혁의 문제점 및 나의 ...
자살의 정의, 실태 및 특징, 자살이론, 예방과 치료
[청소년 자살문제] 청소년 자살의 실태, 자살원인, 자살의 징후와 발견, 청소년자살의 특징, ...
[청소년심리 공통] 1. 청소년들의 자살이 성인기에 발생하는 자살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
청소년심리) 청소년들의 자살이 성인기에 발생하는 자살과의 차이점, 청소년 자살예방안과 개...
<노인자살> 노인자살의 원인과 개입 방안에 관한 정책제언 - 노인자살의 현황과 원인 및 노인...
자살 (기독교적접근을 통한 관점)
자살위험신호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기술하고 게이트기퍼의 역할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