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동성애에 관한 역사적 고찰
III. 동성애의 원인론과 사회적 논의점
IV. 성경이 말하는 동성애
V. 동성애에 대한 교회의 주장과 실천방안
VI. 조별 토론 및 대안
VII. 결론
II. 동성애에 관한 역사적 고찰
III. 동성애의 원인론과 사회적 논의점
IV. 성경이 말하는 동성애
V. 동성애에 대한 교회의 주장과 실천방안
VI. 조별 토론 및 대안
VII. 결론
본문내용
하다. 그러므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을 위한 운동에 교회가 함께 동참할 필요가 있다.
VII. 결론
현재 교회는 사회적으로 무척 많은 문제들에 시달리고 있다.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문제들과 질문들에 대해서 적절한 답변과 대응책을 가지지 못한 채 시달림을 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을 잘 보여주는 영역 중에 하나가 동성애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과거 기독교가 가져왔던 동성애에 대한 입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퇴색되고, 구시대적인 주장으로 치부되고 있다. 또한 사회와 과학의 발전에 따른, 새롭게 갱신된 입장을 만들어내지 못함으로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논쟁의 장에서 이미 밀려나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독교 내의 치열하고 다양한 탐구와 논쟁 속에서 가장 기독교적이고, 가장 신앙적인 답변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사회 속에 통용시키기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현재 사회에서의 동성애는 그 자체의 원인론을 지나서 성적지향성과 인권의 문제로, 단순한 연구의 대상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넘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논쟁 속에서 기독교는 동성애에 대해서 정죄하고 배척하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은 비기독교 영역에서 기독교를 비판하는 원인을 제공해왔다.
이러한 현 상황 속에서 이제 교회는 동성애자를 끌어안기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들이 죄인이 아니거나, 혹은 교회가 잘못해왔기 때문이 아니다. 동성애자들 또한 또 하나의 목회의 대상이고, 구원받아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온 세상에 복음을 전하고, 구원받게 해야한다는 교회의 지상명령에 순종하는 차원에서 동성애자들을 접근해야 한다. 그들이 성서에 불복하는 죄를 지었다고 하더라도 또한 구원은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성서적, 신학적 문제들이 분명히 있고, 그에 따르는 현실적인 문제들도 상당함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것이 복음을 전하고 구원에 이르게 하는 과정이라면 교회는 피할 수 없다.
한 인간이 자신의 죄의 문제로 고민하고 그것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교회는 그를 도와야 한다. 그의 삶이 변화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가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해방을 맛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아무리 심각한 죄인이라도 구원의 말씀은 그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믿으며, 그러한 변화들이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이룰 수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곽분이, "동성애에 대한 성서의 입장", 「살림」, 1995년 11월, p. 60-70
김민웅, "동성애자들의 고뇌와 목회적 접근". 「목회와 신학」, 1999년 3월호. 126-128쪽
김상철, "동성애에 대한 신약성경의 입장".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 학위논문
김진호, "동성애를 보는 한 시각", 「살림」, 1995년 11월, p. 71-80
김회권, "동성애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생각(1)", 「복음과 상황」, 1996년 5월호. 106-113쪽
___, "동성애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생각(2)", 「복음과 상황」, 1996년 6월호. 118-122쪽
___, "동성애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생각(3)", 「복음과 상황」, 1996년 7월호. 110-119쪽
노르만 L. 가이슬러, 『기독교 윤리학』, 위거찬 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박상은, 기독의사가 보는 동성애. 복음과 상황. 2001년 1월호. 60-66쪽.
서용석, "동성애연구 - 카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수원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성인경, "동성애자들을 도웁시다". 「복음과 상황」. 2001년 1월호. 74-82쪽
송인규, "성경의 부정적 평가를 먼저 인정해야 합니다". 「목회와 신학」. 1999년 3월호. 122-125쪽
스탠리 그랜즈, 남정우 역, 『성윤리학』 (살림, 2003)
안환균, "크리스천 동성애자들이 늘고 있다" 「기독교사상」, 1997년 7월호 p. 32-46
양명수, 정숙자, 맹용길, "찬성과 반대:동성애,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기독교사상」, 1997년 7월호 p. 123-149
오재호, "동성애에 관한 윤리적 고찰" 총신대학교, 1999.
윤가현, 『동성애의 심리학』 (서울 : 학지사, 1998)
___, 『성심리학』 (서울 : 성원사, 1990)
___, 『성 문화와 심리』 (서울 : 학지사, 1998)
이 림, "이젠, 더 이상", 「살림」, 1995년 11월, p. 81-85
임성빈, "동성애를 증오하는 성경", 「빛과 소금」, 1996. 6..
정찬용,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최선욱. "한국 게이운동의 담론 분석 - '친구사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Herbert Haag, Katharina Elliger, 『사랑을 방해하지들 말아다오 - 성서로 본 인간의 성생활』 (서울 : 분도출판사, 1988).
Derrick Sherwin Bailey, 『Homosexuality and the Western Christian Tradition』(Longmans, Green, 1955)
John J. McNeill, 『The Church and the Homosexual』(Boston: Beacon Press, 1993)
Letha Scanzoni and Virgina R. Mollenkott, "Is the Homosexual My Neighbour?"(Harper and Row, and SCM, 1978)
Paul A. Mickey. 『Of Sacred Worth』(Nashville: Abingdon Press, 1991)
Richard Dayringer, 『The Journal of Pastoral Care』(Homosexuality Reconsidered Vol 50. No 1, 1996). Spring.
김현구, 동성애강좌. 구야홈닷컴 (
www.gooyahome.com
)
동성애자인권연대,
http://outpridekorea.com/
레즈비언인권연구소 http://lesbian.or.kr '2004 국내 레즈비언 인권실태조사 보고서', 2004년 8월 9일
VII. 결론
현재 교회는 사회적으로 무척 많은 문제들에 시달리고 있다.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문제들과 질문들에 대해서 적절한 답변과 대응책을 가지지 못한 채 시달림을 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을 잘 보여주는 영역 중에 하나가 동성애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과거 기독교가 가져왔던 동성애에 대한 입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퇴색되고, 구시대적인 주장으로 치부되고 있다. 또한 사회와 과학의 발전에 따른, 새롭게 갱신된 입장을 만들어내지 못함으로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논쟁의 장에서 이미 밀려나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독교 내의 치열하고 다양한 탐구와 논쟁 속에서 가장 기독교적이고, 가장 신앙적인 답변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사회 속에 통용시키기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현재 사회에서의 동성애는 그 자체의 원인론을 지나서 성적지향성과 인권의 문제로, 단순한 연구의 대상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넘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논쟁 속에서 기독교는 동성애에 대해서 정죄하고 배척하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은 비기독교 영역에서 기독교를 비판하는 원인을 제공해왔다.
이러한 현 상황 속에서 이제 교회는 동성애자를 끌어안기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들이 죄인이 아니거나, 혹은 교회가 잘못해왔기 때문이 아니다. 동성애자들 또한 또 하나의 목회의 대상이고, 구원받아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온 세상에 복음을 전하고, 구원받게 해야한다는 교회의 지상명령에 순종하는 차원에서 동성애자들을 접근해야 한다. 그들이 성서에 불복하는 죄를 지었다고 하더라도 또한 구원은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성서적, 신학적 문제들이 분명히 있고, 그에 따르는 현실적인 문제들도 상당함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것이 복음을 전하고 구원에 이르게 하는 과정이라면 교회는 피할 수 없다.
한 인간이 자신의 죄의 문제로 고민하고 그것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교회는 그를 도와야 한다. 그의 삶이 변화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가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해방을 맛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아무리 심각한 죄인이라도 구원의 말씀은 그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믿으며, 그러한 변화들이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이룰 수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곽분이, "동성애에 대한 성서의 입장", 「살림」, 1995년 11월, p. 60-70
김민웅, "동성애자들의 고뇌와 목회적 접근". 「목회와 신학」, 1999년 3월호. 126-128쪽
김상철, "동성애에 대한 신약성경의 입장".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 학위논문
김진호, "동성애를 보는 한 시각", 「살림」, 1995년 11월, p. 71-80
김회권, "동성애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생각(1)", 「복음과 상황」, 1996년 5월호. 106-113쪽
___, "동성애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생각(2)", 「복음과 상황」, 1996년 6월호. 118-122쪽
___, "동성애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생각(3)", 「복음과 상황」, 1996년 7월호. 110-119쪽
노르만 L. 가이슬러, 『기독교 윤리학』, 위거찬 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박상은, 기독의사가 보는 동성애. 복음과 상황. 2001년 1월호. 60-66쪽.
서용석, "동성애연구 - 카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수원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성인경, "동성애자들을 도웁시다". 「복음과 상황」. 2001년 1월호. 74-82쪽
송인규, "성경의 부정적 평가를 먼저 인정해야 합니다". 「목회와 신학」. 1999년 3월호. 122-125쪽
스탠리 그랜즈, 남정우 역, 『성윤리학』 (살림, 2003)
안환균, "크리스천 동성애자들이 늘고 있다" 「기독교사상」, 1997년 7월호 p. 32-46
양명수, 정숙자, 맹용길, "찬성과 반대:동성애,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기독교사상」, 1997년 7월호 p. 123-149
오재호, "동성애에 관한 윤리적 고찰" 총신대학교, 1999.
윤가현, 『동성애의 심리학』 (서울 : 학지사, 1998)
___, 『성심리학』 (서울 : 성원사, 1990)
___, 『성 문화와 심리』 (서울 : 학지사, 1998)
이 림, "이젠, 더 이상", 「살림」, 1995년 11월, p. 81-85
임성빈, "동성애를 증오하는 성경", 「빛과 소금」, 1996. 6..
정찬용,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최선욱. "한국 게이운동의 담론 분석 - '친구사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Herbert Haag, Katharina Elliger, 『사랑을 방해하지들 말아다오 - 성서로 본 인간의 성생활』 (서울 : 분도출판사, 1988).
Derrick Sherwin Bailey, 『Homosexuality and the Western Christian Tradition』(Longmans, Green, 1955)
John J. McNeill, 『The Church and the Homosexual』(Boston: Beacon Press, 1993)
Letha Scanzoni and Virgina R. Mollenkott, "Is the Homosexual My Neighbour?"(Harper and Row, and SCM, 1978)
Paul A. Mickey. 『Of Sacred Worth』(Nashville: Abingdon Press, 1991)
Richard Dayringer, 『The Journal of Pastoral Care』(Homosexuality Reconsidered Vol 50. No 1, 1996). Spring.
김현구, 동성애강좌. 구야홈닷컴 (
www.gooyahome.com
)
동성애자인권연대,
http://outpridekorea.com/
레즈비언인권연구소 http://lesbian.or.kr '2004 국내 레즈비언 인권실태조사 보고서', 2004년 8월 9일
키워드
추천자료
생명복제에 대한 장단점(기독교 윤리 측면)
미국 심리학회에서 동성애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번역
`동성애`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독교 영성적 접근가능성에 대한 탐색
동성애에 대한 분석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해법
동성애의 실태와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사회적 대안책(A+레포트)
[동성애]동성애에 관한 심층 고찰(동성애란, 동성애의 원인, 동서양의 동성애 역사, 동성애 ...
동성애에 대한 나의 의견
동성애, 동성결혼 과 그에대한 나의 생각 정리 [A+]
기독교와 이슬람 사상에 대한 연구
[동성애 방안]동성애자의 사회적 시각과 문제점 및 동성애자에 대한 권리_동성애에 대한 사회...
[상담과 심리치료] 미국기독교상담협회의 윤리강령(2004년판 윤리강령에 대한 개략) - 기독교...
낙태란,낙태를 하는 원인,기독교에서 본 낙태의 관점,긍정적 입장 VS 부정적 입장,낙태 법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