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국제 물류란
본론
Ⅰ. 국제물류의 중요성
Ⅱ. 국제물류의 기능
Ⅱ-1 운송기능
Ⅱ-2 하역기능
Ⅱ-3 포장기능
Ⅱ-4 보관기능
Ⅱ-5 정보기능
결론
Ⅰ. 사례[FedEx & UPS 후발업체 UPS-대한통운]
Ⅰ.국제 물류란
본론
Ⅰ. 국제물류의 중요성
Ⅱ. 국제물류의 기능
Ⅱ-1 운송기능
Ⅱ-2 하역기능
Ⅱ-3 포장기능
Ⅱ-4 보관기능
Ⅱ-5 정보기능
결론
Ⅰ. 사례[FedEx & UPS 후발업체 UPS-대한통운]
본문내용
이는 WIN-WIN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UPS-대한통운은 Synchronized Solution을 도입하여 고객의 화물을 배달에서부터 정보통합과 관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시계처럼 운송하는 시스템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이 시스템은 UPS의 선진 기업에 의해 배달과 물류뿐만 아니라 대 고객 무역, 금융 컨설팅 및 문서업무까지 대행하는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고객은 업무에만 더욱 충실하게 되고 그 외적인 부분은 철저한 아웃소싱으로 이행하는 3PL(제 3자 물류)의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을 도입해도 기본적인 국내 수요자들의 인식이 특송업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고가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많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업체는 저렴한 서비스만 찾다보면 시간 외에도 물류과정에 필요한 경로와 서비스 기업 및 창고 등 복잡한 절차가 수반됨에 따라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송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절감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수요고객에게 인지시키고 있다. 또한, 이 문제 말고도 특송에 대해 단지 서류와 샘플 수송만을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빠르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하인과 송하인간 한 운송회사의 책임 하에 이루어지는 운송이다. 현재 특송물류업체는 몇몇 기업으로 인해 주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에서 본 것처럼 선발업체가 고객에게 심어놓은 인식을 얼마나 후발업체가 깨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되어진다. 후발업체이지만 과감한 경영전략 및 시스템도입으로 새로운 경쟁구도를 형성한 국내 기업 UPS-대한통운은 주목할 만한 기업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추천자료
국제운송론
인천국제공항의 허브공항 운영전략
[물류][물류산업][물류체계][물류시스템][물류정보화][물류정책]물류의 개념, 물류산업의 특...
[물류][물류정책][물류시설][물류정보화][물류기반시설]물류 발전과정, 물류정책 필요성, 물...
[물류][물류정책][물류산업][물류기반시설][물류환경]물류 의의, 물류정책 필요성, 물류산업 ...
인천국제공항과 일본 하네다공항의 마케팅 비교
국제 운송(해상운송, 선하증권, 복합운송)
국제복합운송의 발전 방안, 국제복합운송의 문제점, 국제복합운송의 장점 및 효과
[허브공항, 거점공항, 공항사용료, 인천국제공항]허브공항의 의미, 허브공항의 유형, 허브공...
[동북아물류]동북아시아물류(동북아물류)의 여건, 동북아시아물류(동북아물류)의 경쟁, 동북...
동북아물류중심국가(동북아시아물류중심국가)를 위한 부산항개발 전략, 동북아물류중심국가(...
[기업][물류][기업 물류활동][기업 물류기지][기업 물류체계][기업 물류사태][기업 물류아웃...
물류전략 & 1PL 자가물류. 2PL 2자물류. 3PL 3자물류. 4PL 4자물류와 사례
항공운송과 국제특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