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지럼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전정계(vertigo)와 비전정계

3. 중추성과 말초성

4. 말초성의 원인별증상

5. 중추성의 원인별증상

6. 어지럼증의 진단

7. 어지럼증의 치료

본문내용

전은 내림프액의 용량이 증가되어 발생하므로 내림프성 수종(endolymphatic hydrops)이라 부른다.
또 다른 특징적인 현상은 세포외액 용량의 증가로써, 염분을 섭취하면 증상이 악화되고 염분 섭취를 감소시키거나 이뇨제를 사용하면 증상이 감소되나, 일부 심한 환자들에서는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5. 중추성의 원인별증상
1) 뇌간허혈
나이가 많고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 갑자기 비틀거리거나 복시, 조음장애 등을 동반할 때 뇌간허혈을 의심하여야 한다.
뇌간허혈은 뇌간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힐 경우 뇌간에 있는 전정신경핵의 허혈로 인해 발생되는 전정계의 기능이상으로, 어지럼증과 더불어 신경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신경증상으로는 조음장애(dysarthria), 복시(diplopia), 안면저린감, 운동실조증, 및 연하곤란 등이 있다. 보통 뇌졸증의 초기단계로서 뇌졸증의 위험인자(고혈압, 당뇨병, 고령 등)를 가진 경우에 잘 오며 응급으로 처치를 해야한다. 방치할 경우 뇌간경색으로 진행하여 혼수 상태가 되거나 사망까지도 할 수 있다.
진단은 MRI 와 MRA을 이용하여 척추-뇌저 동맥의 협착이나 막힘을 확인할 때 뇌간허혈로 진단한다. 치료는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제 등으로 뇌경색에 준한 치료를 한다.
2) 편두통성 어지럼증(Migraine-associated dizziness)
편두통은 두통을 주된 증상으로 하며, 자율신경계, 위장관계, 및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발작적인 질환이다. 편두통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어지럼증의 빈도는 어지러움, 아찔함, 불안정감 등을 포함한다면 약 50% 내지 70% 사이로 보고되고 있다(Kayan 1984, Harker 1996). 그러나 단지 이러한 환자의 약 1/3에서 1/2만이 진성 어지럼증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환자를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지럼증이 어린이(benign paroxysmal vertigo of childhood)와 청소년과 어른(basilar migraine, benign recurrent vertigo)에서 두통과 동반되지 않고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통과 어지럼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내기 위해 철저하게 개인과 가족에 대한 병력을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움직임에 민감함(멀미)이 또한 편두통의 특징적인 양상이다(Cutrer & baloh 1992). 광선공포증, 고성공포증, 냄새공포증 등과 같은 일반감각에 대한 흥분상태의 한 부분으로써 조용하고 어두운 방을 찾게 된다(Stewart 등 1994).
6. 어지럼증의 진단
어지럼증 진단을위해서는 환자를 진찰하는 것 이외에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어지럼증 검사인 전정기능검사(vestibular function test, VFT) 기구가 많이 연구되고 개발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검사 기구가 회전의자검사(rotating chair test, RCT)와 전기안진검사(electronystagmography, ENG), 그리고 동적자세검사(dynamic posturography,DP)인데 이러한 검사를 통해 어지럼증의 병변 부위 및 그 이상정도를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
1) 전기안진검사 (Electro-Nystagmography)
눈주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안구의 움직임에 따른 각막-망막 전위의 변화를 이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전정기 불균형에 의한 안진반응, 시각자극에 따른 안구운동의 조절기능이나 전정기 자극에 따른 안진반응을 검사하게 된다.
2) 온도자극검사 (Caloric Test)
내이 전정기를 온도로 자극하여 나타나는 안진을 전기안진기나 비디오 안진기로 측정하여 전정안반사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양쪽귀의 평형기능을 각각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3) 비디오 안진검사 (Video- Nystagmography)
안구의 움직임을 비디오 화상처리를 통해 검사하는 방법으로 안구의 회전성 운동을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안진기와 마찬가지로 전정기 불균형에 의한 안진반응, 시각자극에 따른 안구운동의 조절기능이나 전정기 자극에 따른 안진반응을 검사하게 된다.
4) 회전검사 (Rotation Test)
회전의자에 앉아서 하는 검사로, 조절된 여러 방법으로 몸을 회전시켜 전정기를 자극하여 나타나는 안진을 측정하여 분석하는 검사방법이다. 전정안반사와 시각전정 상호작용을 검사하게 된다.
5) 중심동요검사 (Posturography)
몸의 평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정계, 시각계 및 체감각계등이 중추신경계의 조절을 통해 몸의 중심을 얼마나 잘 유지하는지를 측정하는 검사방법이다. 이 검사는 평형계의 전반적인 상태를 평가하고 병소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평형장애 치료결과와 평형기능의 회복상태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검사이다.
7. 어지럼증의 치료
< 일반적인 치료 >
- 안정정요법
- 식이요법
- 정신요법
- 약물요법
1) 약물요법
(1) 전정기능 억제제(Vestibular Suppressants)
Diazepam(valium )
Dimenhydrinate(Dramanine )
Scopolamine(Kimite Patch )
Droperidol
Calcium channel blocker
Meclizine
Promethazine
(2)진토제(Antiemetics)
Metoclopramide(Mexolon )
Prochloperazine
(3)혈관확장제
Histamine
Nicotinic acid(Niacin)
< 재활치료 >
1)전정재활치료
- Cawthorne-Cooksey 운동요법
- Hamid 방법
2)양성돌발성체위성어지러움의 재활치료
- Brandt-Daroff 운동치료(Brandt, 1980)
- Semont 결석유리술(Semont 1988)
- Epley 결석유리설(Epley 1992)
- Modified Epley(Herdmann, 1993)
- Barbecue 회전치료(Lempert, 1994)
- Forced prolonged position(Vannucchi, 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1.1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