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서평] 김창도의 서평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서학에 대한 사전 기초지식이 부족한 비판
2. 자신이 오해한 시각을 저자의 의도에 주입시켜 진술을 왜곡시킴
3. 논리적인 입증이 결여된 비판
4. 자신의 번역의 실수를 상대편 논리의 모순으로 착각
5. 구체적인 본문 언급을 통한 반증제시 없는 비판
6. 연구범주와 목적에 대한 이해 부족
7. 자체 기술의 논리적인 모순을 간직한 비판
8. 본문보다 신학적 관점을 중요시한 비판
* 글을 마치면서

본문내용

을 여인의 중요성으로 파악한 것은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을지 몰라도 논리적인 비약이다. 아니 억지일 수 있다. 신선한 해석도 중요하지만, 성서학은 철저히 본문,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해 해석해 나가야 한다. 해석의 기준은 어떤 신학적 입장보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가 우선되어야 한다.
* 글을 마치면서
나는 본 서평을 통해 김창도의 진심은 읽을 수 있었다. 김창도는 성서 본문의 적용의 한계를 그 공동체로 제한한 듯한 느낌에 안타까워했고, 예수에 대한 묘사들이 다른 복음서들과 너무나 차이나는 것을 보며 당혹감과 함께 신앙수호의 임무까지 느끼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오히려 앞부분의 문제는 제한이나 한계가 아닌 구체성과 적중성에의 기여이며, 뒷부분은 더욱 넓고 깊은 예수의 광대한 인격을 발견하는 기쁨일 수 있다. 우리가 만나는 성서의 기록은 아주 구체적이면서도 그 넓이가 끝이 없다. 우리는 사회학적 성서해석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더 새로운 면모의 예수를 만날 수 있다. 그래서 본인은 이 서평을 보면서 사회학적 성서해석에 대한 이런 오해들을 해소하고 싶었다. 사회학적 성서해석의 과정들은 성서이해의 폭을 새로운 측면에서 넓혀준다. 뿐만 아니라, 그 결과물들을 교회현장이나 신앙에 적용하면 구체적으로 본문에 적중하는 메시지를 들을 수 있어, 목회자들에게는 힘있는 설교를 가능하게 한다. 한 교회 목사로서 나는 그 연구논문들을 교회와 삶의 현실에 그대로 적용하여 많은 유익을 얻었음을 얼마든지 입증할 수 있다. 문제는 사회학적 성서해석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소화하고 활용할 신학과 신앙의 수용력의 문제이다.

키워드

서평,   비평,   평론,   김창도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1.20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