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딸바보’, ‘남사친’, ‘부먹’ 등과 같이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새말들이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 학생들이 직접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후 단어 형성 과정을 탐구한 후에는 문장, 담화 순으로 국어의 문법적 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한다.
Ⅱ. 수 업
1. 교수-학습 과정안
단원
국어의 구조 <단어의 형성>
지도대상
?학년 ?반 학생 ?명
학습일자
?년 ?월 ?일(?) ?교시
차시
2/3
학습목표
● 단어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올바르게 적용한다.
● 국어의 문법적 지식과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단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단계
(시간)
학습 과정
교수학습 활동
학습형태
학습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도입
(10분)
학습 분위기 조성 및
상호 인사
-학생들과 상호 인사를 한다.
-활동지를 배부한다.
-주변 정리 정돈을 하고 서로 인사한다.
-이번 차시 활동지를 받아 학습을 준비한다.
전체학습
활동지
전시 학습 확인
-지난 시간에 학습한 내용에 대해 안내한다.
지난 시간 학습 내용
형태소의 개념
형태소의 종류(의존형태소, 자립형태소, 실질형태소, 형식형태소)
-지난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떠올려 이야기한다.
동기 유발
-예문을 제시하여 학생이 직접 형태소 단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문: 달빛이 밝아서 밖으로 나갔다.
-직접 칠판 앞으로 나와 예문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고 각 형태소의 종류에 맞추어 적어본다.
학습 흐름 제시
-이번 시간의 진행 계획에 대해 설명한다.
-교사의 설명을 들으며 학습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전개1
(20분)
교사 중심 설명
-단어의 개념, 단어의 종류(단일어, 복합어-합성어/파생어)를 다양한 예시를 들며 설명한다.
-합성어는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합성어로 나뉘며 각 합성어의 형성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학생들이 직접 파생어를 만들어보고 용언을 활용하며 접사와 어미의 차이점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접사와 어미의 차이에 대해 정리한다.
-어미의 종류(어말 어미-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선어말어미)에 대해 설명한다.
-활동지의 빈칸을 채우며 교사의 설명을 경청한다.
-교사의 지도하에 어근과 접사를 결합하여 파생어를 만들어본다.
-교사의 지도하에 용언을 활용하며 어간에 다양한 어미들이 붙을 수 있음을 인지한다.
전체학습
PPT, 활동지
전개2
(15분)
학생 중심 활동
-이번 차시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카훗 게임 활동을 진행한다.
-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휴대폰으로 카훗을 접속하여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1등을 한 학생에게 소정의 간식 상품을 준다.
-카훗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오늘 배운 문법 내용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전체학습
카훗
정리
(5분)
본시 학습 정리
-PPT에 요약한 내용을 보면서 이번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학생들이 스스로 정리하게 한다.
-이번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되새기며, 오늘 어떤 내용을 학습했다고 생각하는지 나눈다.
전체학습
차시 예고 및
상호인사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예고한다.
다음 시간 학습 내용
단어의 분류(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
용언의 활용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기대하며 인사한다.
2. 수업 자료
가. 수업용 PPT
[1쪽]
화면 소개
[2쪽]
[3쪽]
[4쪽]
[5쪽]
[6쪽]
[7쪽]
[8쪽]
[9쪽]
[10쪽]
나. 학생용 활동지
단원
국어의 구조 <단어의 형성>
학습 주제
단어의 형성 과정 탐구하기
학번/이름
형태소
1) 형태소 :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2) 형태소의 종류
(1) 자립형태소 : 스스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2) 의존형태소 : 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형태소
(3) 실질형태소 :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
(4) 형식형태소 : 문법적인 의미만을 지닌 형태소
Q. 다음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시오.
달빛이 밝아서 밖으로 나갔다.
: 달/ 빛/ 이/ 밝-/ -아서/ 밖/ 으로/ 나가-/ -았-/ -다.
1) 자립형태소 : 달, 빛, 밖
2) 의존형태소 : 이, 밝-, -아서, 으로, 나가-, -았-, -다.
3) 실질형태소 : 달, 빛, 밝-, 밖, 나가-
4) 형식형태소 : 이, 아서, 으로, -았-, -다.
‘어미’와 ‘조사’는 ( 형식 )형태소
단어
1) 단어 : 뜻을 지니고 독립성(자립성)을 가진 최소의 문법 단위
2) 단어의 종류
(1) 단일어(어근1) : 하나의 실질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2) 복합어 :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 파생어(어근+접사) :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 예) 맏딸, 헛기침
- 합성어(어근+어근)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예) 가위질, 지우개
3) 어근과 접사
(1) 어근 :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
(2) 접사 : 어근의 앞뒤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는 부분 (접두사, 접미사)
Q. 접사와 어미의 차이는 무엇인가?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는가?
접사 :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음. (파생 접사, 피/사동 접사 등)
어미 :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없음. (용언의 활용)
4)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1) 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이나 단어 배열과 일치하는 합성어 예) 책가방, 작은아버지
(2) 비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이나 단어 배열에 어긋나는 합성어 예) 덮밥, 오르내리다
( )는 생략 가능/ ( )는 생략 불가
5) 어미의 종류
(1)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종결어미
- 전성어미 : 명사형 / 관형사형/ 부사형 전성어미
Q. 파생접미사와 전성어미의 차이는 무엇인가?
얼음이 얼음
- 서술성이 있는가?
파생접미사: / 전성어미:
- 선어말어미를 삽입할 수 있는가?
파생접미사: / 전성어미:
- 수식하는 성분?
파생접미사: / 전성어미:
(2) 연결어미 : 대등적 / 종속적 / 보조적 연결어미
(3) 선어말어미 : 시제 / 높임 선어말어미
Ⅱ. 수 업
1. 교수-학습 과정안
단원
국어의 구조 <단어의 형성>
지도대상
?학년 ?반 학생 ?명
학습일자
?년 ?월 ?일(?) ?교시
차시
2/3
학습목표
● 단어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올바르게 적용한다.
● 국어의 문법적 지식과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단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단계
(시간)
학습 과정
교수학습 활동
학습형태
학습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도입
(10분)
학습 분위기 조성 및
상호 인사
-학생들과 상호 인사를 한다.
-활동지를 배부한다.
-주변 정리 정돈을 하고 서로 인사한다.
-이번 차시 활동지를 받아 학습을 준비한다.
전체학습
활동지
전시 학습 확인
-지난 시간에 학습한 내용에 대해 안내한다.
지난 시간 학습 내용
형태소의 개념
형태소의 종류(의존형태소, 자립형태소, 실질형태소, 형식형태소)
-지난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떠올려 이야기한다.
동기 유발
-예문을 제시하여 학생이 직접 형태소 단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문: 달빛이 밝아서 밖으로 나갔다.
-직접 칠판 앞으로 나와 예문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고 각 형태소의 종류에 맞추어 적어본다.
학습 흐름 제시
-이번 시간의 진행 계획에 대해 설명한다.
-교사의 설명을 들으며 학습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전개1
(20분)
교사 중심 설명
-단어의 개념, 단어의 종류(단일어, 복합어-합성어/파생어)를 다양한 예시를 들며 설명한다.
-합성어는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합성어로 나뉘며 각 합성어의 형성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학생들이 직접 파생어를 만들어보고 용언을 활용하며 접사와 어미의 차이점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접사와 어미의 차이에 대해 정리한다.
-어미의 종류(어말 어미-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선어말어미)에 대해 설명한다.
-활동지의 빈칸을 채우며 교사의 설명을 경청한다.
-교사의 지도하에 어근과 접사를 결합하여 파생어를 만들어본다.
-교사의 지도하에 용언을 활용하며 어간에 다양한 어미들이 붙을 수 있음을 인지한다.
전체학습
PPT, 활동지
전개2
(15분)
학생 중심 활동
-이번 차시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카훗 게임 활동을 진행한다.
-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휴대폰으로 카훗을 접속하여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1등을 한 학생에게 소정의 간식 상품을 준다.
-카훗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오늘 배운 문법 내용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전체학습
카훗
정리
(5분)
본시 학습 정리
-PPT에 요약한 내용을 보면서 이번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학생들이 스스로 정리하게 한다.
-이번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되새기며, 오늘 어떤 내용을 학습했다고 생각하는지 나눈다.
전체학습
차시 예고 및
상호인사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예고한다.
다음 시간 학습 내용
단어의 분류(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
용언의 활용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기대하며 인사한다.
2. 수업 자료
가. 수업용 PPT
[1쪽]
화면 소개
[2쪽]
[3쪽]
[4쪽]
[5쪽]
[6쪽]
[7쪽]
[8쪽]
[9쪽]
[10쪽]
나. 학생용 활동지
단원
국어의 구조 <단어의 형성>
학습 주제
단어의 형성 과정 탐구하기
학번/이름
형태소
1) 형태소 :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2) 형태소의 종류
(1) 자립형태소 : 스스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2) 의존형태소 : 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형태소
(3) 실질형태소 :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
(4) 형식형태소 : 문법적인 의미만을 지닌 형태소
Q. 다음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시오.
달빛이 밝아서 밖으로 나갔다.
: 달/ 빛/ 이/ 밝-/ -아서/ 밖/ 으로/ 나가-/ -았-/ -다.
1) 자립형태소 : 달, 빛, 밖
2) 의존형태소 : 이, 밝-, -아서, 으로, 나가-, -았-, -다.
3) 실질형태소 : 달, 빛, 밝-, 밖, 나가-
4) 형식형태소 : 이, 아서, 으로, -았-, -다.
‘어미’와 ‘조사’는 ( 형식 )형태소
단어
1) 단어 : 뜻을 지니고 독립성(자립성)을 가진 최소의 문법 단위
2) 단어의 종류
(1) 단일어(어근1) : 하나의 실질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2) 복합어 :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 파생어(어근+접사) :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 예) 맏딸, 헛기침
- 합성어(어근+어근)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예) 가위질, 지우개
3) 어근과 접사
(1) 어근 :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
(2) 접사 : 어근의 앞뒤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는 부분 (접두사, 접미사)
Q. 접사와 어미의 차이는 무엇인가?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는가?
접사 :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음. (파생 접사, 피/사동 접사 등)
어미 :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없음. (용언의 활용)
4)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1) 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이나 단어 배열과 일치하는 합성어 예) 책가방, 작은아버지
(2) 비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이나 단어 배열에 어긋나는 합성어 예) 덮밥, 오르내리다
( )는 생략 가능/ ( )는 생략 불가
5) 어미의 종류
(1)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종결어미
- 전성어미 : 명사형 / 관형사형/ 부사형 전성어미
Q. 파생접미사와 전성어미의 차이는 무엇인가?
얼음이 얼음
- 서술성이 있는가?
파생접미사: / 전성어미:
- 선어말어미를 삽입할 수 있는가?
파생접미사: / 전성어미:
- 수식하는 성분?
파생접미사: / 전성어미:
(2) 연결어미 : 대등적 / 종속적 / 보조적 연결어미
(3) 선어말어미 : 시제 / 높임 선어말어미
추천자료
미래지향적 국어수업방안 17가지 사례 제시
(2)기미 독립선어서 학습지도안
외국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말의 한국을 통한 비평적 읽기 학습
국어과 교재 연구 및 학습 지도안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성격,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고등학교 국어과(국...
NIE(신문활용교육)활용수업활동(교육활동) 사례, ICT(정보통신기술)활용수업활동(교육활동) ...
수학교육 도형과 국어교육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실과교육 창의력개발과 제과제빵 ...
보건교육 학습지도안
고1) <국어과 교수&#8228;학습 지도안 {세안}> 7.생각하는 힘 (1) 장마
[학습지도안] 바른 말 좋은 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