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로그인(서론)
1. 이미지(Image) : 인간이 존재하는 양태
2. 시뮬레이션(Simulation)
3. 네트워크(Network)
로그아웃(결론)
1. 이미지(Image) : 인간이 존재하는 양태
2. 시뮬레이션(Simulation)
3. 네트워크(Network)
로그아웃(결론)
본문내용
것들이 무수히 많다는 것이다. 가상의 세계 네트워크의 세계에서 우리들 삶들이 어떻게 변해야 할 것인가?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으며, 나보다는 남을 위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가상의 세계이기에 나에 대한 좋은 것만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안에서의 나를 어떻게 보일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로그아웃(Log-out)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에는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게 사용을 끝내겠다는 것을 알려야 하는데 이를 로그아웃이라 한다. 과거에는 로그아웃을 하기 위하여 몇 가지 명령어를 사용하였지만 요즈음에는 사용을 완료하겠다는 의사의 표현으로 시스템 종료 등과 같은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간단한 절차이지만 이를 무시하고 그대로 전원을 끌 경우에는 사용 중이던 자료가 손상을 받을 수도 있고, 통신망에 계속 연결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며, 예기하지 못했던 오류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방법으로 로그아웃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는 인생의 끝에 서 있는 것이다. 로그 인을 통해서 우리가 태어났고, 이미지 속에서 나를 남에게 보여 주었으며, 시뮬레이션 공간에서 활동을 하게 되었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우리는 존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인생을 살아 왔지만, 그 안에서 무엇을 이루었는가? 로그 아웃을 통해서 인생을 마감하게 되는 것을, 많은 사람들은 자신만의 이미지를 가지고 시뮬레이션 속에서 영원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에게는 로그 아웃이 없이 영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로그인이 있었다면, 반드시 로그 아웃도 있는 것이다.
이것이 인생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셨고,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살아갈 수 있었지만, 우리의 인생을 책임지시는 하나님을 향한 모습이 얼마나 참되었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 그 안에서 살아온 우리들은 과연 영광의 면류관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로그인 상태 속에서는 자신이 최고이며, 자신만의 세계에서 살아간다. 자신을 드러낼 때에도 좋은 것으로 부각시키고, 그렇게 되기를 소망한다.
우리들은 로그아웃이 되기 전에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가야 하는가? 그리스도의 로그아웃을 통해서 우리는 희생을 배웠다. 그리고 사랑을 배웠다. 그렇지만 우리들의 로그 아웃은 무엇인가? 어떤 상태인가? 에 대해서 항상 생각하고, 반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의 로그 아웃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나를 버리지 못한다는 것은 영원한 로그 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모습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제는 로그 아웃을 기다리며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밟아 나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들은 로그아웃이 끝이 아님을 잘 알고 있다. 로그아웃 후에는 더 좋은 세상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고 있는 것이다. 천국으로 들어가는 자의 모습은 어떠한가? 로그 아웃을 넘어 새로운 로그인을 하셨던 예수님처럼 우리들도 새로운 로그인 인생을 위해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디지털 속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을 어떻게 잘 이용하는 가에 따라서 어떤 로그 아웃 상태로 갈 것인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선택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인들에게 있으며, 그것을 가르칠 신학을 하는 우리들에게 있을 것이다.
어떤 디지털 문화를 만들어 갈 것이며, 그들에게 그 문화를 바로 전할 수 있는 가를 언제나 연구하고 개발해 나가야할 의무가 우리들에게는 있다. 바로서는 모습을 보일 때만이 진정을 아름다운 로그아웃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운 로그아웃을 바라며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로그아웃(Log-out)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에는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게 사용을 끝내겠다는 것을 알려야 하는데 이를 로그아웃이라 한다. 과거에는 로그아웃을 하기 위하여 몇 가지 명령어를 사용하였지만 요즈음에는 사용을 완료하겠다는 의사의 표현으로 시스템 종료 등과 같은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간단한 절차이지만 이를 무시하고 그대로 전원을 끌 경우에는 사용 중이던 자료가 손상을 받을 수도 있고, 통신망에 계속 연결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며, 예기하지 못했던 오류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방법으로 로그아웃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는 인생의 끝에 서 있는 것이다. 로그 인을 통해서 우리가 태어났고, 이미지 속에서 나를 남에게 보여 주었으며, 시뮬레이션 공간에서 활동을 하게 되었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우리는 존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인생을 살아 왔지만, 그 안에서 무엇을 이루었는가? 로그 아웃을 통해서 인생을 마감하게 되는 것을, 많은 사람들은 자신만의 이미지를 가지고 시뮬레이션 속에서 영원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에게는 로그 아웃이 없이 영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로그인이 있었다면, 반드시 로그 아웃도 있는 것이다.
이것이 인생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셨고,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살아갈 수 있었지만, 우리의 인생을 책임지시는 하나님을 향한 모습이 얼마나 참되었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 그 안에서 살아온 우리들은 과연 영광의 면류관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로그인 상태 속에서는 자신이 최고이며, 자신만의 세계에서 살아간다. 자신을 드러낼 때에도 좋은 것으로 부각시키고, 그렇게 되기를 소망한다.
우리들은 로그아웃이 되기 전에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가야 하는가? 그리스도의 로그아웃을 통해서 우리는 희생을 배웠다. 그리고 사랑을 배웠다. 그렇지만 우리들의 로그 아웃은 무엇인가? 어떤 상태인가? 에 대해서 항상 생각하고, 반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의 로그 아웃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나를 버리지 못한다는 것은 영원한 로그 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모습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제는 로그 아웃을 기다리며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밟아 나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들은 로그아웃이 끝이 아님을 잘 알고 있다. 로그아웃 후에는 더 좋은 세상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고 있는 것이다. 천국으로 들어가는 자의 모습은 어떠한가? 로그 아웃을 넘어 새로운 로그인을 하셨던 예수님처럼 우리들도 새로운 로그인 인생을 위해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디지털 속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을 어떻게 잘 이용하는 가에 따라서 어떤 로그 아웃 상태로 갈 것인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선택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인들에게 있으며, 그것을 가르칠 신학을 하는 우리들에게 있을 것이다.
어떤 디지털 문화를 만들어 갈 것이며, 그들에게 그 문화를 바로 전할 수 있는 가를 언제나 연구하고 개발해 나가야할 의무가 우리들에게는 있다. 바로서는 모습을 보일 때만이 진정을 아름다운 로그아웃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운 로그아웃을 바라며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존재의 변화와 그에 따르는 갈등
환경마케팅과 친환경 경영 브랜드 이미지제고 대한 이론적 논의,환경마케팅 구조의 파트너쉽,...
멀티미디어 인간, 이상은 이렇게 말했다
불을 찾아서 (인간의 웃음)
유대인 이미지의 역사 (서평)
각 기업의 이미지 향상 기법
[디지털경제]디지털경제의 전략적 의의와 향후 대응 방안 및 우리나라 경제에 주는 함축성(디...
디지털컨텐츠(디지털컨텐츠산업) 종류,특징, 디지털컨텐츠(디지털컨텐츠산업) 저작권, 디지털...
[웹2.0]웹 패러다임의 진화 웹2.0(Web2.0)이란, 미디어 혁명 웹 2.0의 특징과 이해, 웹 2.0시...
지상파디지털방송(디지털지상파방송)의 효과와 경향, 지상파디지털방송(디지털지상파방송)의 ...
기아의 기업이미지
소유냐 존재냐를 통해 본 에리히 프롬의 사상 -그 현실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인강) 조선대 최양호 교수님 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이론 총정리 및 퀴즈,시험족보까지!...
성공하는 사람의 이미지 메이킹 - 이미지 메이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