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 본론 >
1. 줄거리
2. 시대배경
3. 불의 의미와 상징성
3 - 1) 불의 역사
3 - 2) 불의 의미
3 - 3) 불의 영향
3 - 4) 불의 상징성
4. 인간의 웃음
4 - 1) 웃음의 정의
4 - 2) 웃음의 기원
4 - 2 - ⑴ 인간은 어떻게 웃음을 알고 웃게 되었을까?
4 - 2 - ⑵ 그렇다면 인간의 웃음과 동물의 웃음이 어떠한가?
4 - 2 - ⑶ 그럼 웃음은 본능인가, 사회집단의 진화와 학습의 산물인가?
< 결론 >
후기
< 참고문헌 >
< 본론 >
1. 줄거리
2. 시대배경
3. 불의 의미와 상징성
3 - 1) 불의 역사
3 - 2) 불의 의미
3 - 3) 불의 영향
3 - 4) 불의 상징성
4. 인간의 웃음
4 - 1) 웃음의 정의
4 - 2) 웃음의 기원
4 - 2 - ⑴ 인간은 어떻게 웃음을 알고 웃게 되었을까?
4 - 2 - ⑵ 그렇다면 인간의 웃음과 동물의 웃음이 어떠한가?
4 - 2 - ⑶ 그럼 웃음은 본능인가, 사회집단의 진화와 학습의 산물인가?
< 결론 >
후기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전파가 된 것입니다. 그리고 정신적으로 수준이 높아지던 인간의 휼륭한 감정표현으로 진화되어 오늘날까지 발전되고 있는 것입니다.
< 결론 >
<불을 찾아서>의 내용은 주인공 ‘나호’가 잃어버린 불을 찾는 과정에서 웃음을 알게되고 더불어 ‘아키’를 만나 사랑이라는 감정도 느끼며 새로운 문화까지 배우고 깨닫는 모습을 하나의 영화로 담고 있습니다. 인간에게 불은 대자연속의 인간에게 힘을 주어 안정적인 삶을 가능케 했고 차츰 불을 이용해 도구를 사용하게끔 만들어 지혜를 조금씩 쓸 수 있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영화에서는 불은 그저 도구로써의 불이 아니라 ‘나호’의 정신적인 감정의 발전, 바로 인간의 정신적인 부분 중 가장 미묘한 부분인 사랑을 대변해 주기도 하고 있습니다. 불이란 존재가 인간에게 이러한 변화를 가져다 준 것은 아주 놀랍고 감사한 일입니다. 웃음 또한 인간이 점점 정신적으로 고도화가 되면서 인간이 진화를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음이 틀림없습니다. 인간의 다양한 심리, 감정표현을 하는데 가장 유용한 웃음은 인간을 안정시켜주고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등에 아주 좋은 효과를 내는 만큼 이토록 심도있는 웃음은 동물들과의 웃음과는 비교하기엔 난해한 것으로 현재까지 인간이 꾸준히 학습되고 진화된 결과물입니다.
이런 결과로 인간이 이렇게까지 많은 분야에서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발전하기까지는 오래전
우연히 불이란 자연의 힘을 얻고 사용하게 된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지와 이 과정을 한 장면으로 담은 이 영화 <불을 찾아서>는 짧지만 불로 인한 인간의 엄청난 변화를 보여준 한편의 대서사시인 것입니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불로 인한 물질적인 문명의 발전은 과거 유물들을 조사하는 것으로 찾아 낼 수 있지만 ‘웃음’과 ‘사랑’과 같은 물질적인 흔적이 남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추측을 할 뿐이지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웃음의 발달 과정이나 생성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끝으로 ‘불은 문명의 시작이다’라는 말을 말로만이 아닌 다양한 조사로 새로이 생각하고 느껴보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색다르고 당연시 하게 되는 것에 대해서 시야의 폭을 넓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 후기
보고서 내용을 정하자마자 도서관으로 달려가서 제가 생각하는 관련 책자들을 나름대로 분주히 찾았지만 저의 정보의 부족인지 선사시대라는 특수성 때문인지 여러 유사하게라도 참고를 할 수 있는 관련 책들을 찾기가 다소 힘들었습니다. 아마도 도서관의 작은 이유도 이유가 될 것으로 생각되구요. 그리고 너무 당연히 생각했던 ‘불=인간 문명 시작’ 과 그저 툭툭 터져나오는 웃음을 원초적으로도 생각하고 제가 원시인으로 상상도 해보는 등의 작업은 제가 경험해 보지 못 하고 평소에도 의심치 않았던 것 이여서 생각을 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더욱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정리하고 추측하는 생각을 뒷받침할 자료를 찾는 것 또한 꽤나 헤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과거 시대뿐만이 아니라 우리에게 언제나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웃음”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은 아주 흥미로웠고 저에게 사물을 새롭게 보는 다른 눈이 조금씩 생겨나는 것도 같아 제 머리를 자주 아프게 했지만 결코 지루하지 않은 과정이였습니다. ^^
<참고문헌>
장방형움집 이미지 = http://rus1917.new21.net/subject/prehistory.php
감정의 도서관 = 니콜라스 험프리 지음 / 멜 칼먼 그림 / 김은정 옮김 / 이제이북스
초판 1쇄 인쇄일 2003년 6월 20일
야후 백과사전 =
http://kr.dic.yahoo.com/search/enc/result.html?p=%BA%D2&pk=14235800&type=enc&field=id
gs 911 = http://gs119.or.kr/menu3_1.html#1
인간 본성에 대하여 = 에드워드 월슨 지음 / 옮긴이 이한음 / 박상준 펴낸이 / 사이언스북스 / 1판 1쇄 2000년 12월 15일
김진배 Humorlife =
http://www.humorlife.com/bbs/view.php?id=tech&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5
프로빈 교수 = 이원근 과학커뮤티케이션연구소장
http://weekly.hankooki.com/whan/200007/w20000726190326615225.htm
동물의 특별한 표현 = http://www.greyhound21.org/cycho/d15.htm
어린아이의 웃음 이미지 =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detail&query=%BF%F4%C0%BD&a=pgi&r=3&so=0&s=&u=http%3A%2F%2Fnew.photo.naver.com%2F101%2F20050528224442917
인간의 심리학 =
http://search.empas.com/search/ok_pvw.html?pt=0&dd=1&ft=2&i=2306716&sn=1233487034&q2=%C0%CE%B0%A3+%BF%F4%C0%BD&dv=a&w=21444545464546&dw=44&vl=A&vn=0&q=%C0%CE%B0%A3%C0%C7+%BF%F4%C0%BD&ou=k.daum.net%2Fqna%2Fkin%2Fhome%2Fqdetail_view.html%3Fqid%3D0E5pB%26boardid%3DM
내셔널지오그래픽, 가족의달 특집 ‘패밀리위크’ = 헤럴드 생생 뉴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12&article_id=0000006119§ion_id=106&menu_id=106
태교의 중요성 =
http://cafe.naver.com/1566898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12057
내분비과 전재선 =
http://www.eulji.or.kr/main_menu/report_column/dcolumn_view.asp?No=13&sNo=0&nPage=0
< 결론 >
<불을 찾아서>의 내용은 주인공 ‘나호’가 잃어버린 불을 찾는 과정에서 웃음을 알게되고 더불어 ‘아키’를 만나 사랑이라는 감정도 느끼며 새로운 문화까지 배우고 깨닫는 모습을 하나의 영화로 담고 있습니다. 인간에게 불은 대자연속의 인간에게 힘을 주어 안정적인 삶을 가능케 했고 차츰 불을 이용해 도구를 사용하게끔 만들어 지혜를 조금씩 쓸 수 있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영화에서는 불은 그저 도구로써의 불이 아니라 ‘나호’의 정신적인 감정의 발전, 바로 인간의 정신적인 부분 중 가장 미묘한 부분인 사랑을 대변해 주기도 하고 있습니다. 불이란 존재가 인간에게 이러한 변화를 가져다 준 것은 아주 놀랍고 감사한 일입니다. 웃음 또한 인간이 점점 정신적으로 고도화가 되면서 인간이 진화를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음이 틀림없습니다. 인간의 다양한 심리, 감정표현을 하는데 가장 유용한 웃음은 인간을 안정시켜주고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등에 아주 좋은 효과를 내는 만큼 이토록 심도있는 웃음은 동물들과의 웃음과는 비교하기엔 난해한 것으로 현재까지 인간이 꾸준히 학습되고 진화된 결과물입니다.
이런 결과로 인간이 이렇게까지 많은 분야에서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발전하기까지는 오래전
우연히 불이란 자연의 힘을 얻고 사용하게 된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지와 이 과정을 한 장면으로 담은 이 영화 <불을 찾아서>는 짧지만 불로 인한 인간의 엄청난 변화를 보여준 한편의 대서사시인 것입니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불로 인한 물질적인 문명의 발전은 과거 유물들을 조사하는 것으로 찾아 낼 수 있지만 ‘웃음’과 ‘사랑’과 같은 물질적인 흔적이 남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추측을 할 뿐이지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웃음의 발달 과정이나 생성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끝으로 ‘불은 문명의 시작이다’라는 말을 말로만이 아닌 다양한 조사로 새로이 생각하고 느껴보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색다르고 당연시 하게 되는 것에 대해서 시야의 폭을 넓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 후기
보고서 내용을 정하자마자 도서관으로 달려가서 제가 생각하는 관련 책자들을 나름대로 분주히 찾았지만 저의 정보의 부족인지 선사시대라는 특수성 때문인지 여러 유사하게라도 참고를 할 수 있는 관련 책들을 찾기가 다소 힘들었습니다. 아마도 도서관의 작은 이유도 이유가 될 것으로 생각되구요. 그리고 너무 당연히 생각했던 ‘불=인간 문명 시작’ 과 그저 툭툭 터져나오는 웃음을 원초적으로도 생각하고 제가 원시인으로 상상도 해보는 등의 작업은 제가 경험해 보지 못 하고 평소에도 의심치 않았던 것 이여서 생각을 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더욱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정리하고 추측하는 생각을 뒷받침할 자료를 찾는 것 또한 꽤나 헤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과거 시대뿐만이 아니라 우리에게 언제나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웃음”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은 아주 흥미로웠고 저에게 사물을 새롭게 보는 다른 눈이 조금씩 생겨나는 것도 같아 제 머리를 자주 아프게 했지만 결코 지루하지 않은 과정이였습니다. ^^
<참고문헌>
장방형움집 이미지 = http://rus1917.new21.net/subject/prehistory.php
감정의 도서관 = 니콜라스 험프리 지음 / 멜 칼먼 그림 / 김은정 옮김 / 이제이북스
초판 1쇄 인쇄일 2003년 6월 20일
야후 백과사전 =
http://kr.dic.yahoo.com/search/enc/result.html?p=%BA%D2&pk=14235800&type=enc&field=id
gs 911 = http://gs119.or.kr/menu3_1.html#1
인간 본성에 대하여 = 에드워드 월슨 지음 / 옮긴이 이한음 / 박상준 펴낸이 / 사이언스북스 / 1판 1쇄 2000년 12월 15일
김진배 Humorlife =
http://www.humorlife.com/bbs/view.php?id=tech&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5
프로빈 교수 = 이원근 과학커뮤티케이션연구소장
http://weekly.hankooki.com/whan/200007/w20000726190326615225.htm
동물의 특별한 표현 = http://www.greyhound21.org/cycho/d15.htm
어린아이의 웃음 이미지 =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detail&query=%BF%F4%C0%BD&a=pgi&r=3&so=0&s=&u=http%3A%2F%2Fnew.photo.naver.com%2F101%2F20050528224442917
인간의 심리학 =
http://search.empas.com/search/ok_pvw.html?pt=0&dd=1&ft=2&i=2306716&sn=1233487034&q2=%C0%CE%B0%A3+%BF%F4%C0%BD&dv=a&w=21444545464546&dw=44&vl=A&vn=0&q=%C0%CE%B0%A3%C0%C7+%BF%F4%C0%BD&ou=k.daum.net%2Fqna%2Fkin%2Fhome%2Fqdetail_view.html%3Fqid%3D0E5pB%26boardid%3DM
내셔널지오그래픽, 가족의달 특집 ‘패밀리위크’ = 헤럴드 생생 뉴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12&article_id=0000006119§ion_id=106&menu_id=106
태교의 중요성 =
http://cafe.naver.com/1566898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12057
내분비과 전재선 =
http://www.eulji.or.kr/main_menu/report_column/dcolumn_view.asp?No=13&sNo=0&nPage=0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 회화의 시대별 변천사
일본의 고대문명 성립과 에도시대를 중심으로한 일본문화의 성격
목조건축의 구조와 삼국시대 건축
청동기 시대의 신앙과 의례
한국의 시대별 주택의 특징과 지역별 특징
[국사의 이해]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일본 고대와 중세시대에 관한 논의
우리나라 복식의 시대 변천사
중국 회화에 대한 이해와 시대적 발전모습 및 특징(A+)
한국 주거의 역사 및 개론 (고대-조선시대)
[중국사요약, 중국사] 중국사(선사시대~ 명明) 요점정리
청동기 시대 문화유형과 생활양식의 변화
고대의 조각1 - 선사시대ㆍ고대 이집트
국가의 형성 - 청동기의 보급과 철기의 사용, 청동기와 철기 시대의 생활과 예술, 단군과 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