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일본의 고대와 중세사회
1.고대국가의 성립
(1)원시사회의 성립
(2)彌生時代
(3)大和時代
(4)飛鳥時代
(5)奈良時代
(6)平安時代
2.中世사회와 문화
(1)중세사회의 성립
(2)가마쿠라(鎌倉)막부의 성립
(3)남북조기(南北朝期)
(4)무로마치막부(室町幕府)의 정치
(5)전국기(戰國期)
Ⅲ.결론
Ⅱ.일본의 고대와 중세사회
1.고대국가의 성립
(1)원시사회의 성립
(2)彌生時代
(3)大和時代
(4)飛鳥時代
(5)奈良時代
(6)平安時代
2.中世사회와 문화
(1)중세사회의 성립
(2)가마쿠라(鎌倉)막부의 성립
(3)남북조기(南北朝期)
(4)무로마치막부(室町幕府)의 정치
(5)전국기(戰國期)
Ⅲ.결론
본문내용
로마치시대의 문화는 무가세력과 민중의 대두를 바탕으로 발전하였는데, 그 성격은 가마쿠라시대의 무가문화에 선종을 매개로 하여 전해진 중국문화의 영향이 더해진 것이다.
3대 장군이 교토의 기타야마(北山)에 세운 킨카쿠(金閣)는 귀족적인 신덴즈쿠리(寢殿造)양식과 선종사원의 양식을 채용한 건물로, 이를 대표로 하는 무로마치초기의 문화를 기타야마문화라 한다. 이 시기에는 임제종이 막부의 보호로 번영하였고, 선종의 영향으로 수묵화가 유행하고 선종 경전 및 한시편집의 출판이 이루어졌다. 또한 가무연극인 노(能)의 전문예능집단이 등장하여 막부의 보호로 발전하였다. 8대 장군이 교토의 히가시야마(東山)에 세운 긴카쿠(銀閣)는 선종사원양식을 무사의 거주양식에 도입한 것으로, 이것으로 대표되는 무로마치후기의 문화를 히가시야마문화라 한다. 이 시기에는 應仁의 亂으로 지방으로 피난간 공가와 승려들에 의해 교토문화가 지방에 파급되었으며, 상공업자나 농민층에서도 새로운 문화가 생겨났다.
무로마치시대문화의 특징은 무사와 귀족뿐만 아니라 민중이 즐길 수 있는 문화가 탄생하였다는 점이다. 복수의 사람들이 와카(和歌)를 계속 이어 간랜가(連歌)라든가, 노(能)의 막간에 상영되었던 코겐(狂言),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춤을 추었던 봉오도리(盆踊り) 등이 그것이다. 또한 이 시대문화에는 다다미후스마도코노마 등 일본생활문화의 원류가 많다. 가마쿠라시대의 신불교도 무사농민상공업자들의 신앙에 의해 도시와 농촌으로 퍼져 더욱 교세를 확장하였다.
센코쿠(戰國)시대에는 유력한 다이묘들의 죠카마치(城下町)를 중심으로 각지에 문화의 중심이 생겨났다. 유학이 다이묘들의 필수학문이 되었고, 무사자제는 주로 사원에서 교육받았는데, 특히 우에스기(上杉)씨의 아시카가(足利)학교는 전국의 선승과 무사들이 모여들었던 학교로 많은 서적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도시의 부유한 상공업자나 촌락의 유력자들도 읽고 쓰고 계산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었다.
Ⅲ.결론
이처럼 일본의 역사는 역시 다양한 섬나라의 문화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한국 중국 일본고유의 문화. 이렇게 세 가지의 융합체이기 때문에 특별한 정의를 내릴 순 없지 싶다.
무엇보다 가장 눈여겨보았던 면은 견당사의 폐지였다. 한국과 비교해 봤을 때 한국은 중국의 유교문화를 받아들여 현재는 중국보다 더 유교적 전통을 간직한 나라라는 칭찬 아닌 칭찬을 듣고 있으나, 한국의 고유한 문화는 그렇게 영향력을 띄고 있지 않다. 반면 일본은 국풍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그동안 유용하게 쓰이던 견당사를 폐지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초석을 쌓은 셈이기 때문이다. 현 시점에서 과거 한국의 원조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렇게 되면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가 아닐까 싶다.
한국과 일본의 유사점은 한가지다. 어느 나라 역사에서나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봉기와 음모와 그리고 정치의 안정화이다. 어느 나라나 개국과 동시에 자신들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역사서를 편찬하고, 더불어 신화를 만들기 시작한다. 한국과 상당히 비슷하면서도 전혀 색다른 문화를 갖고 있는 일본. 이 책을 읽으면서 반밖에 정리를 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 반을 보면서도 어떻게 일본을 이해하고 들어가야 할 지 아직 모르고 있다. 한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잘 알지만, 일본을 들여다보는 뚜렷한 관점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 고 문 헌>
「신일본사」 이에나가 사부로오(家永三郞) 외 공저. 강형중 번역. 문원각. 1995.
「일본역사 탐구」구태훈 저. 태학사.2002.
「새로운 일본의 이해」 공외식 외 공저. 다락원. 2002.
「새로 쓴 일본사」 이계황 외 공저. 창비. 2001.
3대 장군이 교토의 기타야마(北山)에 세운 킨카쿠(金閣)는 귀족적인 신덴즈쿠리(寢殿造)양식과 선종사원의 양식을 채용한 건물로, 이를 대표로 하는 무로마치초기의 문화를 기타야마문화라 한다. 이 시기에는 임제종이 막부의 보호로 번영하였고, 선종의 영향으로 수묵화가 유행하고 선종 경전 및 한시편집의 출판이 이루어졌다. 또한 가무연극인 노(能)의 전문예능집단이 등장하여 막부의 보호로 발전하였다. 8대 장군이 교토의 히가시야마(東山)에 세운 긴카쿠(銀閣)는 선종사원양식을 무사의 거주양식에 도입한 것으로, 이것으로 대표되는 무로마치후기의 문화를 히가시야마문화라 한다. 이 시기에는 應仁의 亂으로 지방으로 피난간 공가와 승려들에 의해 교토문화가 지방에 파급되었으며, 상공업자나 농민층에서도 새로운 문화가 생겨났다.
무로마치시대문화의 특징은 무사와 귀족뿐만 아니라 민중이 즐길 수 있는 문화가 탄생하였다는 점이다. 복수의 사람들이 와카(和歌)를 계속 이어 간랜가(連歌)라든가, 노(能)의 막간에 상영되었던 코겐(狂言),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춤을 추었던 봉오도리(盆踊り) 등이 그것이다. 또한 이 시대문화에는 다다미후스마도코노마 등 일본생활문화의 원류가 많다. 가마쿠라시대의 신불교도 무사농민상공업자들의 신앙에 의해 도시와 농촌으로 퍼져 더욱 교세를 확장하였다.
센코쿠(戰國)시대에는 유력한 다이묘들의 죠카마치(城下町)를 중심으로 각지에 문화의 중심이 생겨났다. 유학이 다이묘들의 필수학문이 되었고, 무사자제는 주로 사원에서 교육받았는데, 특히 우에스기(上杉)씨의 아시카가(足利)학교는 전국의 선승과 무사들이 모여들었던 학교로 많은 서적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도시의 부유한 상공업자나 촌락의 유력자들도 읽고 쓰고 계산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었다.
Ⅲ.결론
이처럼 일본의 역사는 역시 다양한 섬나라의 문화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한국 중국 일본고유의 문화. 이렇게 세 가지의 융합체이기 때문에 특별한 정의를 내릴 순 없지 싶다.
무엇보다 가장 눈여겨보았던 면은 견당사의 폐지였다. 한국과 비교해 봤을 때 한국은 중국의 유교문화를 받아들여 현재는 중국보다 더 유교적 전통을 간직한 나라라는 칭찬 아닌 칭찬을 듣고 있으나, 한국의 고유한 문화는 그렇게 영향력을 띄고 있지 않다. 반면 일본은 국풍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그동안 유용하게 쓰이던 견당사를 폐지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초석을 쌓은 셈이기 때문이다. 현 시점에서 과거 한국의 원조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렇게 되면 자신들의 정체성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가 아닐까 싶다.
한국과 일본의 유사점은 한가지다. 어느 나라 역사에서나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봉기와 음모와 그리고 정치의 안정화이다. 어느 나라나 개국과 동시에 자신들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역사서를 편찬하고, 더불어 신화를 만들기 시작한다. 한국과 상당히 비슷하면서도 전혀 색다른 문화를 갖고 있는 일본. 이 책을 읽으면서 반밖에 정리를 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 반을 보면서도 어떻게 일본을 이해하고 들어가야 할 지 아직 모르고 있다. 한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잘 알지만, 일본을 들여다보는 뚜렷한 관점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 고 문 헌>
「신일본사」 이에나가 사부로오(家永三郞) 외 공저. 강형중 번역. 문원각. 1995.
「일본역사 탐구」구태훈 저. 태학사.2002.
「새로운 일본의 이해」 공외식 외 공저. 다락원. 2002.
「새로 쓴 일본사」 이계황 외 공저. 창비. 2001.
추천자료
중세 시대 : 영어의 변화
중세 시대의 세속교육
중세 시대에 대하여
일본사 고대에서 중세
중국고대의 풍경 //미야쟈키 이치사다의 중국중세사 1장 골짜기의 시대 정리
수사학의 전통과 작문 이론 - 중세 수사학, 르네상스 시대의 수사학
책요약 -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 Ⅳ. 중세 기독교 시대(590-1517) 부분 요약
교회사에 있어서 시대구분(Periodization) - 시대구분의 이론과 방법, 시대구분의 여러가지 ...
[세계의 여가 발전사] 세계의 여가 발전과정(발달과정) -여가의 역사 (고대사회의 여가, 그리...
[중세전기문학] 제1기 삼국. 남북국 시대
박용진, 『중세 유럽은 암흑시대였는가』를 읽고 쓴 [서평]
[교육학개론] 중세(中世)시대 서양교육의 이해 - 기독교 교육, 가사교육, 대학교육과 시민교육
일본의 서양서 번역문화의 번창이 만들어 낸 중세이후 조선과 일본의 국제적 정세의 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