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논의에 앞서
1.1. 저자: 수잔 휫필드
1.2. 내용 요약
2. 텍스트에 관한 논의
2.1. 문화적 다양성
2.2. 잦은 전쟁과 그로 인한 민중들의 생활
2.3. 실크로드의 여성
2.4. 사실적인 재현
3. 결어
1.1. 저자: 수잔 휫필드
1.2. 내용 요약
2. 텍스트에 관한 논의
2.1. 문화적 다양성
2.2. 잦은 전쟁과 그로 인한 민중들의 생활
2.3. 실크로드의 여성
2.4. 사실적인 재현
3. 결어
본문내용
을 썼다.
역사를 연구하고 과거를 밝혀내는 데 있어 이렇게 과거의 자료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과거의 자료들이 신뢰성이 높고 분량이 방대하며 그 시대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이 기록한 것들이라면, 이러한 연구로 나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분석은 ‘순수’에 가까우며 그 정확도 또한 높아진다.
텍스트를 읽고 있으면 마치 거대한 평지에 서기 750년부터 1000년 까지 250년 동안의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의 모습이 눈에 선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모델하우스에 있는 신축 건물의 입체도보다 세세하게 수많은 사람들의 세세한 복장까지 묘사되었고, 건물들과 거리의 모습들, 기나긴 카라반의 행렬들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필자는 그러한 모형도 속을 다니며 관찰하는 듯한 착각에 빠져들었다.
그러나 조금은 아쉬운 점이 있기도 하다. 그것은 모형도를 만드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그 색깔과 디자인이 조금씩 달라지듯 지은이의 취향과 연구의 근거가 된 자료들에 따라 그 당시의 모습은 얼마든지 달리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머리말에서 밝혔듯이 텍스트의 내용들은 일정 부분 중국 쪽 입장에 기울어 있다. 후반에 실린 4편의 이야기가 모두 명목상 중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둔황을 배경으로 서술된 점이나 글의 여러 부분에서 사실관계에 대한 판단에 있어 당시 중국의 경우들을 기준으로 서술된 부분도 눈에 띤다. 물론 역사적 자료라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실크로드 이야기를 보다 현지인들의 입장에서 서술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텍스트는 딱딱한 고고학 실사서와 상상력이 풍부한 소설 사이에서 적당한 줄타기를 하며 독자로 하여금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있다. 그래서 저자의 상상력과 생각들을 보다 더 반영할 수 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3. 결어
<실크로드 이야기>는 이처럼 필자로 하여금 문화적 다양성과 그로 인한 잦은 전쟁, 우리와 다른 시대, 다른 지역의 여성의 삶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필자가 알고 있던 실크로드는 중국과 서양의 경제적문화적 교류의 장에 불과했는데, 텍스트는 실크로드에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했음을 보여주었다. 여러 민족과 문화의 공존은 단일 민족, 획일적인 문화 속에서 살아온 필자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또한 주변의 강대국들 사이에서 격변의 시기를 살아야했던 이 지역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전쟁이라는 것과 국제적 역학관계의 냉혹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고대 실크로드 지역의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면서 현재 우리 여성들의 모습과 비교하는 과정도 흥미로웠다. 텍스트의 소설적인 구성은 필자로 하여금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여 주었고, 동시에 사료를 바탕으로 한 사실적인 표현은 이 지역의 역사에 보다 가깝게 다가가게 해 주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필자는 <실크로드 이야기>가 현대 동북아의 조그마한 나라 한국에 살아가는 우리가 읽고 깊이 생각해 볼 가치가 있는 텍스트라 생각한다.
역사를 연구하고 과거를 밝혀내는 데 있어 이렇게 과거의 자료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과거의 자료들이 신뢰성이 높고 분량이 방대하며 그 시대 그 곳에 살던 사람들이 기록한 것들이라면, 이러한 연구로 나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분석은 ‘순수’에 가까우며 그 정확도 또한 높아진다.
텍스트를 읽고 있으면 마치 거대한 평지에 서기 750년부터 1000년 까지 250년 동안의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의 모습이 눈에 선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모델하우스에 있는 신축 건물의 입체도보다 세세하게 수많은 사람들의 세세한 복장까지 묘사되었고, 건물들과 거리의 모습들, 기나긴 카라반의 행렬들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필자는 그러한 모형도 속을 다니며 관찰하는 듯한 착각에 빠져들었다.
그러나 조금은 아쉬운 점이 있기도 하다. 그것은 모형도를 만드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그 색깔과 디자인이 조금씩 달라지듯 지은이의 취향과 연구의 근거가 된 자료들에 따라 그 당시의 모습은 얼마든지 달리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머리말에서 밝혔듯이 텍스트의 내용들은 일정 부분 중국 쪽 입장에 기울어 있다. 후반에 실린 4편의 이야기가 모두 명목상 중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둔황을 배경으로 서술된 점이나 글의 여러 부분에서 사실관계에 대한 판단에 있어 당시 중국의 경우들을 기준으로 서술된 부분도 눈에 띤다. 물론 역사적 자료라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실크로드 이야기를 보다 현지인들의 입장에서 서술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텍스트는 딱딱한 고고학 실사서와 상상력이 풍부한 소설 사이에서 적당한 줄타기를 하며 독자로 하여금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있다. 그래서 저자의 상상력과 생각들을 보다 더 반영할 수 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3. 결어
<실크로드 이야기>는 이처럼 필자로 하여금 문화적 다양성과 그로 인한 잦은 전쟁, 우리와 다른 시대, 다른 지역의 여성의 삶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필자가 알고 있던 실크로드는 중국과 서양의 경제적문화적 교류의 장에 불과했는데, 텍스트는 실크로드에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했음을 보여주었다. 여러 민족과 문화의 공존은 단일 민족, 획일적인 문화 속에서 살아온 필자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또한 주변의 강대국들 사이에서 격변의 시기를 살아야했던 이 지역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전쟁이라는 것과 국제적 역학관계의 냉혹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고대 실크로드 지역의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면서 현재 우리 여성들의 모습과 비교하는 과정도 흥미로웠다. 텍스트의 소설적인 구성은 필자로 하여금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여 주었고, 동시에 사료를 바탕으로 한 사실적인 표현은 이 지역의 역사에 보다 가깝게 다가가게 해 주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필자는 <실크로드 이야기>가 현대 동북아의 조그마한 나라 한국에 살아가는 우리가 읽고 깊이 생각해 볼 가치가 있는 텍스트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중국 관광산업의 현황
대륙횡단철도
중국관광
[ 국제 관광론 ] 중국의 관광정책 - 중국여행 -
화교의 이주역사와 화교의 정신에 대하여
돈황의 벽화와 금강경의 역사-문화재 훼손사례
OR 경영과학 활용 프로젝트 중국여행계획 세우기
〔A+〕베체트병(Behcets Disease)
[유라시아경제협력체][TSR][TKR]유라시아 경제협력체 결성의 필요성, 유라시아 경제협력체의 ...
[경제,경영] 카자흐스탄의 이해와 경제적 전망
카지노에 대해 간단 정리
유라시아언어와문화
★ 항만물류시스템 - 중국의 일대일로 ( 일대일로의 개요, 일대일로의 추진배경, 정책방향,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