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 go?
Pause
If you want me to go ...I'll go.
You just say the word. (이하 생략)...
극 The caretaker의 결말부를 보면 갈등이 해소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갈등이 계속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부랑자 Davies는 자기 삶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었던 방(Room)으로부터 추방되어 다시 방향감각을 상실한 채 사회 주위를 떠다닐 것이다. Aston과 Mick 역시 마찬가지다. Mick은 형 Aston에게 방(Room)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맡긴 채 자신은 결과를 지켜보기만 하는 방관자적인 삶을 지속할 것이다. 그리고 Aston도 어떠한 변화나 생명력조차 느낄 수 없는 밀폐된 방에서 잡동사니들을 수집하고 고치는 비생산적인 일에 자신의 삶을 계속 낭비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두 형제는 비록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지킬 수 있었지만, 그들 역시 계속해서 자기 영역에 고립되어 타인과의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없는 사회의 이방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Harold Pinter의 The caretaker는 관객들에게 구조화되고 획일화된 사회만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작가는 그러한 경직된 사회 권력 구조 속에 종속되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마비되어버린 현대인들의 수동적인 삶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저마다의 역할과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지나치게 경직된 사회 체계와 규범에 고정되어 자기존재와 삶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은 드물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가치는 무엇인가? 라는 자기 삶의 중요한 문제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다른 사람을 짓밟고 자신이 사회에 살아남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3 수험생이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다른 친구들보다 더 모의고사 점수를 잘 받기 위해 고액 과외를 하는 모습이나 샐러리맨이 다른 동료들보다 먼저 승진하기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로비활동을 벌리는 등 현대인들의 생활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삶이 아닌 동물과 같은 약육강식의 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직된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발전시키고 개척해 나가기 보다 오히려 사회 권력 구조속에 마비되어 자신 자신과 삶은 점점 분리되어 가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있어 진정한 삶 또는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그러기 위해서 먼저 삶의 중요한 결정권자는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에 있어 자신의 삶의 비중이 아무리 작더라도 우리는 우리 삶을 소중히 가꾸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연극공연에 주연과 단역이 있을 때 주역만이 연기를 한다고 해서 연극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연극은 주연과 단역이 함께 호흡하여 연기할 때 비로서 하나의 작품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삶도 마찬가지다. 사회에서 우리의 위치가 다른 사람에 비해 작다고 하더라도 우리 개개인의 삶이 없다면 사회라는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아무리 우리의 삶이 사회의 단역에 불과하더라도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삶은 바로 우리 자신이 이끌어 가야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단순히 사회가 부여한 삶을 책임지는 수동적인 관리인이 아니다. 또한 우리 삶의 가치 기준은 사회의 체제나 권력 구조에 의해 좌우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 삶에 있어 행복과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타인을 존중하는 공동체 생활 속에서 자기 삶을 현실 그대로 인정하고, 보다 나은 삶의 미래를 위해 자기 자신을 스스로 발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Pause
If you want me to go ...I'll go.
You just say the word. (이하 생략)...
극 The caretaker의 결말부를 보면 갈등이 해소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갈등이 계속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부랑자 Davies는 자기 삶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었던 방(Room)으로부터 추방되어 다시 방향감각을 상실한 채 사회 주위를 떠다닐 것이다. Aston과 Mick 역시 마찬가지다. Mick은 형 Aston에게 방(Room)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맡긴 채 자신은 결과를 지켜보기만 하는 방관자적인 삶을 지속할 것이다. 그리고 Aston도 어떠한 변화나 생명력조차 느낄 수 없는 밀폐된 방에서 잡동사니들을 수집하고 고치는 비생산적인 일에 자신의 삶을 계속 낭비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두 형제는 비록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지킬 수 있었지만, 그들 역시 계속해서 자기 영역에 고립되어 타인과의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없는 사회의 이방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Harold Pinter의 The caretaker는 관객들에게 구조화되고 획일화된 사회만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작가는 그러한 경직된 사회 권력 구조 속에 종속되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마비되어버린 현대인들의 수동적인 삶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저마다의 역할과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지나치게 경직된 사회 체계와 규범에 고정되어 자기존재와 삶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은 드물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가치는 무엇인가? 라는 자기 삶의 중요한 문제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다른 사람을 짓밟고 자신이 사회에 살아남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3 수험생이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다른 친구들보다 더 모의고사 점수를 잘 받기 위해 고액 과외를 하는 모습이나 샐러리맨이 다른 동료들보다 먼저 승진하기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로비활동을 벌리는 등 현대인들의 생활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삶이 아닌 동물과 같은 약육강식의 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직된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발전시키고 개척해 나가기 보다 오히려 사회 권력 구조속에 마비되어 자신 자신과 삶은 점점 분리되어 가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있어 진정한 삶 또는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그러기 위해서 먼저 삶의 중요한 결정권자는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에 있어 자신의 삶의 비중이 아무리 작더라도 우리는 우리 삶을 소중히 가꾸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연극공연에 주연과 단역이 있을 때 주역만이 연기를 한다고 해서 연극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연극은 주연과 단역이 함께 호흡하여 연기할 때 비로서 하나의 작품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삶도 마찬가지다. 사회에서 우리의 위치가 다른 사람에 비해 작다고 하더라도 우리 개개인의 삶이 없다면 사회라는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아무리 우리의 삶이 사회의 단역에 불과하더라도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삶은 바로 우리 자신이 이끌어 가야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단순히 사회가 부여한 삶을 책임지는 수동적인 관리인이 아니다. 또한 우리 삶의 가치 기준은 사회의 체제나 권력 구조에 의해 좌우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 삶에 있어 행복과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타인을 존중하는 공동체 생활 속에서 자기 삶을 현실 그대로 인정하고, 보다 나은 삶의 미래를 위해 자기 자신을 스스로 발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백화점][현대백화점 핵심역량][현대백화점 6시그마][현대백화점 사원교육]현대백화점의 ...
[현대사회][현대사회문제]현대사회의 변화, 현대사회의 컴퓨터, 현대사회의 매스컴, 현대사회...
[현대음악][현대음악 성격][현대음악 시기][현대음악 위기][현대음악 방향]현대음악의 개념, ...
현대 i30 자동차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SWOT 분석, STP전략, 4P...
[A+] 현대호텔 사업계획서 타당성 분석 평가 (사업계획실패요인, 포지셔닝전략, 경제적환경, ...
하버마스, 현대성의 구상과 비판적 논쟁 [하버마스 현대성 구상 비판적 논쟁 소개][하버마스 ...
현대중공업 (요약 재무제표, 비율 분석, 공통형 재무제표와 지수형 재무제표, 종합적 비율분...
신용카드사용현황, 국내카드시장, 현대카드, 삼성카드, bc카드, 브랜드마케팅, 서비스마케팅,...
[현대소설][분단문학][환상문학][근대문학][반공문학][신소설][일본]현대소설과 분단문학, 현...
현대건축의 흐름, 건축가의 흐름, 근대사회의 흐름, 근현대사상의 흐름, 현대철학의 흐름, 그...
[현대철학, 현대철학 전개, 실존철학, 생철학, 영미철학, 현상학]현대철학의 전개, 현대철학...
[현대][현대자동차][현대차][현대그룹][현대백화점][현대중공업][자동차][백화점][중공업]현...
현대 그룹 소개-현대 경영이념,현대 정신,현대 계열사,현대 가족 관계도,정주영 정몽헌 성공...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분석철학 -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의 등장 배경, 논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