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Japan's reluctant realism>에 대하여
<Chapter 1. 전략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
1. 요시다 독트린
2. 변화된 상황들
3. 작지만 빛나는 일본? 보통 일본?
4. 더 깊은 문제들
5. 일본의 선택
6. Reluctant realism (내키지는 않지만 마지못해 하는 현실주의)
<Capter 2. 국내제도와 대외정책>
1. 불확실한 정치적 재정렬의 시대
2. 정당과 외교정책
3. 관료들
4. The Business Community, Think Tanks, and Media
5. 결론: “새로운 체제에 대한 기회가 무르익었는가?”
<Chapter 1. 전략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
1. 요시다 독트린
2. 변화된 상황들
3. 작지만 빛나는 일본? 보통 일본?
4. 더 깊은 문제들
5. 일본의 선택
6. Reluctant realism (내키지는 않지만 마지못해 하는 현실주의)
<Capter 2. 국내제도와 대외정책>
1. 불확실한 정치적 재정렬의 시대
2. 정당과 외교정책
3. 관료들
4. The Business Community, Think Tanks, and Media
5. 결론: “새로운 체제에 대한 기회가 무르익었는가?”
본문내용
), LDP
3. 관료들
: 1955년 체제 하에서 “일본은 삼류 정치인들에 의해 고통받고 일류 관료들에 의해 이익을 얻는다” 라는 말이 있었음. 하지만 내적외적인 정치세계 변화로부터 관료들 또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와 ’the Japan Defense Agency'를 비교.
① MOFA: 1980년대 일본경제의 국제화와 함께 각 부처들이 MOFA의 영역을 침식함. 또한 1990년대에는 독립적인 일본 외교정책을 분명히 하는데 실패한 것에 대한 언론의 비난에 종속되어 있음.
② JDA: 냉전이 끝난 이후로, 외교정책에 있어서 JDA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이유> ① 걸프전과 캄포디아에의 성공적인 평화유지군 파병, ② 미일 동맹의 관리에 있어 중심된 역할을 맡음. ③북한과 중국의 실질적인 위협이 지역의 안정에 대한 불안과 일본 대중의 안보정책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킴.
4. The Business Community, Think Tanks, and Media
5. 결론: “새로운 체제에 대한 기회가 무르익었는가?”
★ 일본 정치 체제에 대한 효과
① 일본 정책결정과정의 제도들이 덜 규율화 됨
-비정부 조직의 대외정책에 대한 영향력이 강화됨. 덜 위계적, 덜 예측적, 더 기업가적.
② 관료에 대한 줄어드는 자율성과 신뢰는 일본 내에서 인기없는 외교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듬.
③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지배연합 형성은 대외정책에 관한 이슈를 눌러버림.
④ 일본 안보와 외교정책에 관한 제도적 제약이 약해짐.- 좌파정당의 약화
3. 관료들
: 1955년 체제 하에서 “일본은 삼류 정치인들에 의해 고통받고 일류 관료들에 의해 이익을 얻는다” 라는 말이 있었음. 하지만 내적외적인 정치세계 변화로부터 관료들 또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와 ’the Japan Defense Agency'를 비교.
① MOFA: 1980년대 일본경제의 국제화와 함께 각 부처들이 MOFA의 영역을 침식함. 또한 1990년대에는 독립적인 일본 외교정책을 분명히 하는데 실패한 것에 대한 언론의 비난에 종속되어 있음.
② JDA: 냉전이 끝난 이후로, 외교정책에 있어서 JDA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이유> ① 걸프전과 캄포디아에의 성공적인 평화유지군 파병, ② 미일 동맹의 관리에 있어 중심된 역할을 맡음. ③북한과 중국의 실질적인 위협이 지역의 안정에 대한 불안과 일본 대중의 안보정책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킴.
4. The Business Community, Think Tanks, and Media
5. 결론: “새로운 체제에 대한 기회가 무르익었는가?”
★ 일본 정치 체제에 대한 효과
① 일본 정책결정과정의 제도들이 덜 규율화 됨
-비정부 조직의 대외정책에 대한 영향력이 강화됨. 덜 위계적, 덜 예측적, 더 기업가적.
② 관료에 대한 줄어드는 자율성과 신뢰는 일본 내에서 인기없는 외교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듬.
③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지배연합 형성은 대외정책에 관한 이슈를 눌러버림.
④ 일본 안보와 외교정책에 관한 제도적 제약이 약해짐.- 좌파정당의 약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