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희곡분석] Pozzo는 Godot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도 그에게는 인간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이 있다. 그러한 통찰력은 Beckett의 인간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Pozzo라는 인물이 Waiting For Godot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그가 상반된 자질을 가지고 인간을 대표하기 때문이다 (E: He is all humanity).
결 론
Beckett은 Waiting For Godot를 2막으로 처리하고 보조인물인 Lucky 와 Pozzo를 등장시켜 일관된 극 구성속에서 중심인물들에게 일어나는 변화를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그들의 역할은 중심인물이 자신의 행동을 반추하고 삶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계기를 형성한다. 특히 Pozzo를 통해 Beckett의 인간관을 찾을 수가 있는데 Beckett이 생각하는 궁극적인 결론은 기본적으로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다른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Beckett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지니고 쌍으로 등장하는 것은 인간이 완전할 수 없기 때문에 결핍이 인간과 인간을 맺어주는 기본이 된다는 그의 생각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할 수 있다. 불완전하기 때문에 인간은 서로 보완적인 성격을 타고나고 혼자 있으면 외로움을 느낀다. 따라서 Beckett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서로 같이 있어야 한다. 때로는 이러한 관계가 형식적인 인간 관계로 치우쳐 습관이 되고 인간을 구속하는 굴레가 되기도 한다. Vladmir와 Estragon의 관계는 표면적으로는 그러한 습관적인 인간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그들은 Godot라는 이상적인 관계를 기다린다. 그러나 Pozzo가 Godot일 수도 있다는 가정은 중심인물들이 원하는 Godot와의 진정한 관계가 인간의 삶 속에 존재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한다. Pozzo의 대사에는 이러한 Beckett의 개념이 잘 드러난다.
Pozzo: I too would be happy to meet him. The more people I meet the happier I become. From the means creature one departs wiser, richer, more conscious of one's blessings. Even you ...(he looks at them ostentatiously in turn to make it clear they are both meant)...even you, who knows, will have added to my store.
즉 삶 속에서 사람은 사람을 통해서 삶을 배우고 사람을 통해 삶의 즐거움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Waiting For Godot가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습관적인 삶 속에 숨어있는 인간적인 관계의 추구라고 할 수 있다. Godot가 인간 관계에 대한 막연한 희망을 나타내주고 있다면 Pozzo는 Godot를 기다리는 인간의 바램이 일상화된 삶을 통해 실현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끊임없이 인식시키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1.30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