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숙아
2) 과숙아(postterm)
3) 생리적 황달
4) 모유 황달
5) 신생아 용혈성 질환
6) 핵 황달 Kernicterus ; 빌리루빈뇌증(Birirubin encephalopathy)〕
7) 저혈당증
8) 저칼슘혈증
9) 신생아 가사 (neonatal asphyxia)
10) 특발성 호흡장애 증후군 : 유리질막증 (IRDS, HMD hyaline membrane disease)
11) 태변흡입 증후군 (MAS,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12) 폐기관지 이형성증 (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
13) 무기폐 (atelectasis)
14) 신생아 경련 (neonatal seizure)
15) 두 개 내 출혈(ICH)
16)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17) 신생아 뇌막염(neonatal meningitis)
18) 제대염(omphalitis)
19)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20) 수포성 농가진(impetigo neonatarum)
21) 전염성 설사(infectious diarrhia)
22) 당뇨병 어머니의 영아(Infant of the diabetic mother;IDM)
23) 톡소플라즈마증(toxoplasmosis)
24) 선천성 풍진 증후군(congenital rubella syndrome)
25) 거대세포 봉입질환(cytomegalovirus infection:CMV)
26)단순포진(herpes simplex:HSV)
27)면역결핍증
28)선천성 매독
29)B형간염
30)임균성 안염
31)수두(varicella, chicken pox)
32)다운증후군
33)클라인펠터증후군
34)페닐케톤뇨증(PKU)
35)태아 알콜증후군
36) 항문직장 기형(밀폐항문)
37) 선천성 식도 폐색증/식도 기관루
38) 선천성 횡경막 탈장
39) 제대탈장
40) 선천성 장폐색증
41) 선천성 거대결장
42) 폐쇄나 협착
43) 태변성 장폐색증
2) 과숙아(postterm)
3) 생리적 황달
4) 모유 황달
5) 신생아 용혈성 질환
6) 핵 황달 Kernicterus ; 빌리루빈뇌증(Birirubin encephalopathy)〕
7) 저혈당증
8) 저칼슘혈증
9) 신생아 가사 (neonatal asphyxia)
10) 특발성 호흡장애 증후군 : 유리질막증 (IRDS, HMD hyaline membrane disease)
11) 태변흡입 증후군 (MAS,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12) 폐기관지 이형성증 (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
13) 무기폐 (atelectasis)
14) 신생아 경련 (neonatal seizure)
15) 두 개 내 출혈(ICH)
16)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17) 신생아 뇌막염(neonatal meningitis)
18) 제대염(omphalitis)
19)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20) 수포성 농가진(impetigo neonatarum)
21) 전염성 설사(infectious diarrhia)
22) 당뇨병 어머니의 영아(Infant of the diabetic mother;IDM)
23) 톡소플라즈마증(toxoplasmosis)
24) 선천성 풍진 증후군(congenital rubella syndrome)
25) 거대세포 봉입질환(cytomegalovirus infection:CMV)
26)단순포진(herpes simplex:HSV)
27)면역결핍증
28)선천성 매독
29)B형간염
30)임균성 안염
31)수두(varicella, chicken pox)
32)다운증후군
33)클라인펠터증후군
34)페닐케톤뇨증(PKU)
35)태아 알콜증후군
36) 항문직장 기형(밀폐항문)
37) 선천성 식도 폐색증/식도 기관루
38) 선천성 횡경막 탈장
39) 제대탈장
40) 선천성 장폐색증
41) 선천성 거대결장
42) 폐쇄나 협착
43) 태변성 장폐색증
본문내용
어머니의 흡연이 태아 및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태아 성장지연(저체중아),주산기 사망률의 증가,자연 유산의 기회 증가, 출생 후에는 지능 및 정서발달 장애 등 전반적 성장지연이 나타난다.간호는 임부에게 흡연이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을 설명하고,금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응급 수술을 요하는 선천성 기형
1) 항문직장 기형(밀폐항문)
(1) 원인
태생기 약 8주경에 항문과 직장을 분리하는 막이 흡수되어 배출구가 항문이 되는데 이것이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존재하여 항문과 직장에 열려 있지 않아 생기는 것이다.
① 저위기형 - 내외 갈약근이 다 존재하며 기능도 정상적이고, 다른 누공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②중간기형 - 항문은 막혀 있으나 외괄약근은 정상적으로 위치해 있다.
③고위기형 - 내외 괄약근이 다 없으며 대개 남아의 경우 요도와, 그리고 여아의 경우 질 과누공을 형성해 있다.
(2) 증상
분만실에서 신생아 신체 사정시 항문이 막혀 있을 때, 체온계나 장갑 낀 손으로 새끼 손가락을 신생아의 직장안으로 넣을 수 없을 때, 태변 배출이 없을때(24~36시간 후), 복부팽만이 있을때
(3) 치료
① 저위기형인 경우 예비적 결장루 없이 회음식 항문성형술만으로 수술 후 4~6개월이 지나면 배변조절이 가능해진다
② 고위기형인 경우 반드시 예비적 결장루를 조성한 후 6~12개월이 지난 후 완전 교정술을 시행.
③ 배변 조절능력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후방 중앙 절개식 항문 직장 성형술이다.
수술 전 간호
NPO, 비경구적 수분공급
수술 후 간호
수술부위 압력 낮춤( 둔부높인 측위, 다리 90도 굽힌 앙와위), 위관영양, 대변 즉시 처리
2) 선천성 식도 폐색증/식도 기관루
(1) 원인
태생기 약 4~6주경에 위장과 호흡기계가 분리되는데 이 시기에 이상이 온 것이다.
(2) 증상
① 과도한 타액분비 및 연하
② 3c증상 : coughing, choking, cyanosis
③ 호흡정지
④ 수유시 기도로 들어가 청색증과 호흡곤란 코로 고무관을 식도로 넣으면 저항이 느껴짐:확진증상
⑤ 방사선 촬영 : 식도맹관의 위치와 식도기관루 확인
(3) 치료
① 흡인성 폐렴의 예방과 외과적 치료를 통한 기형의 교정
② 호흡장애 완화시키기 위해 보육기나 방사보온기에 두고 산소를 공급
③ 누공분리 봉합, 식도 문합
3) 선천성 횡경막 탈장
(1) 원인
약 9주말에 횡경막이 완성되고, 복강 밖으로 나갔던 장은 10주경에 환원한다. 이떠 좌측부분이 늦게 환원하며 횡경막 후측부분이 늦게 형성된다. 이러한 횡경막의 형성과정과 복강 내 환원의 시간적 차이 때문에 기형이 초래.
(2) 증상
① 출생후 호흡장애(빈호흡, 청색증, 호흡곤란, 심한 산혈증)가 주증상,
② 복부장기의 미입으로 인한 복부함몰이 나타남.
③ 환측부위에서 호흡음 들을 수 없고 장음이 들린다
(3) 치료
심한 호흡장애 및 산혈증에 대한 긴급중재 후 초응급 수술로써 탈장된 장을 복원시키고 횡경막 결손을 봉합해주는 수술
4) 제대탈장
- 복벽 중앙부 결손으로 제대환을 통하여 복강 내 장기가 밖으로 탈출하고, 얇은 복막으로 형성된막에 의래 둘러싸인 것을 말한다.
* 복벽균열/복벽개열증
- 제대탈장과 달리 복막의 낭이 없으며 배꼽 오른쪽 아래에 위치. 주로 소장이 탈장
(1) 치료
외과적 교정술이 필수적, 수술적 병소가 큰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위내용물을 환원시키게 된다. (탈장된 장기를 무리하게 환원시키면 복압상승으로 인한 호흡과 순환장애를 일으키기 때문)
수술전 간호는 낭부위의 건조 막기위해 소독된 생리 식염수로 드레싱/ 감염예방/ 구강으로 수유 절대 금지
5) 선천성 장폐색증
1500:1의 비울로 발생 폐색의 형태는 4가지 형태로 구분
① 폐쇄나 협착
② 태변성 장폐색증
③ 장 이상회전/ 중장 염전증
④ 선천성 거대 결장
6) 선천성 거대결장
장의 일부에서 부적절한 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계적 폐색증
(1) 원인
장근층의 부교간 신경절이 선천적으로 없음으로 해서 연동운동이 전달되지 않아 정상적인 상부 장의 확장과 함RP 하부에 폐색증이 일어나게 된다. 흔한 발생부위는 직장 및 하부 S결장
(2) 증상
① 신생아기 : 생후 24~48시간 이내 태변의 배출장애, 담즙성 구토, 복부팽만
② 영아기 : 성장장애, 변비, 복부팽만, 구토, 설사, 장염증상(설사, 발열, 발한 등)
③ 아동기 : 변비, 리본과 같고 냄새가 고약한 변, 복부팽만, 외견상 관찰가능한 연동운동 변덩이 쉽게 만져짐, 영양장애 및 빈혈증
(3) 치료
진단 즉시 무신경절 상부의 정상 결장에 임시 결장루 형성술 시행, 약 6~12개월 후 근치수술
수술방법은 신경세포가 결여된 장을 절제하고 신경이 있는 장을 연결해 주게 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Swenson법과 Duhamel법, 그리고 Soave법이다. 그후 다시 결장루 폐쇄술을 하게 된다.
7) 폐쇄나 협착
(1) 원인
태생기의 장간막 형관이상으로 인한 장괴사에 따른 2차적 병변.
(2) 증상
담즙이 섞인 구토로 일반적으로 태변배설의 장애가 동반되기도 함
(3) 치료
외과적 수술 시행. 성공률 95%
8) 태변성 장폐색증
(1) 원인
거의가 췌장효소 결핍을 가진 낭종성 섬유증의 한 증상으로 회장이 태변덩이로 막혀 초래되는 폐색증.
(2) 치료
삼투압이 높은 액(gastrografin)으로 관장치료 시도, 힘들면 외과적 치료.
9) 장이상 회전, 중장염전증
(1) 원인
정상적으로 태생기 약 6주경이 되면 중장의 급격한 발육으로 복강 밖으로 소위 생리적 탈장이 일어난다. 이시기는 위와 십이지장이 90도 회전이 일어난 다음이다. 8~9주 경이 되면 다시 복강내로 환원하게 되는데, 이때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회맹장 구조가 정상으로 고정되며 맹장은 복부 우측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장간막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의 어느 한 단계라도 정지되면 장의 이상회전증이 오게 된다.
(2) 치료
염전증인 경우 소장 전부와 상행결장이 서로 꼬여서 장괴사를 초래하므로 급속히 진행되어 위험하므로 응급 수술이 필요
4. 응급 수술을 요하는 선천성 기형
1) 항문직장 기형(밀폐항문)
(1) 원인
태생기 약 8주경에 항문과 직장을 분리하는 막이 흡수되어 배출구가 항문이 되는데 이것이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존재하여 항문과 직장에 열려 있지 않아 생기는 것이다.
① 저위기형 - 내외 갈약근이 다 존재하며 기능도 정상적이고, 다른 누공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②중간기형 - 항문은 막혀 있으나 외괄약근은 정상적으로 위치해 있다.
③고위기형 - 내외 괄약근이 다 없으며 대개 남아의 경우 요도와, 그리고 여아의 경우 질 과누공을 형성해 있다.
(2) 증상
분만실에서 신생아 신체 사정시 항문이 막혀 있을 때, 체온계나 장갑 낀 손으로 새끼 손가락을 신생아의 직장안으로 넣을 수 없을 때, 태변 배출이 없을때(24~36시간 후), 복부팽만이 있을때
(3) 치료
① 저위기형인 경우 예비적 결장루 없이 회음식 항문성형술만으로 수술 후 4~6개월이 지나면 배변조절이 가능해진다
② 고위기형인 경우 반드시 예비적 결장루를 조성한 후 6~12개월이 지난 후 완전 교정술을 시행.
③ 배변 조절능력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후방 중앙 절개식 항문 직장 성형술이다.
수술 전 간호
NPO, 비경구적 수분공급
수술 후 간호
수술부위 압력 낮춤( 둔부높인 측위, 다리 90도 굽힌 앙와위), 위관영양, 대변 즉시 처리
2) 선천성 식도 폐색증/식도 기관루
(1) 원인
태생기 약 4~6주경에 위장과 호흡기계가 분리되는데 이 시기에 이상이 온 것이다.
(2) 증상
① 과도한 타액분비 및 연하
② 3c증상 : coughing, choking, cyanosis
③ 호흡정지
④ 수유시 기도로 들어가 청색증과 호흡곤란 코로 고무관을 식도로 넣으면 저항이 느껴짐:확진증상
⑤ 방사선 촬영 : 식도맹관의 위치와 식도기관루 확인
(3) 치료
① 흡인성 폐렴의 예방과 외과적 치료를 통한 기형의 교정
② 호흡장애 완화시키기 위해 보육기나 방사보온기에 두고 산소를 공급
③ 누공분리 봉합, 식도 문합
3) 선천성 횡경막 탈장
(1) 원인
약 9주말에 횡경막이 완성되고, 복강 밖으로 나갔던 장은 10주경에 환원한다. 이떠 좌측부분이 늦게 환원하며 횡경막 후측부분이 늦게 형성된다. 이러한 횡경막의 형성과정과 복강 내 환원의 시간적 차이 때문에 기형이 초래.
(2) 증상
① 출생후 호흡장애(빈호흡, 청색증, 호흡곤란, 심한 산혈증)가 주증상,
② 복부장기의 미입으로 인한 복부함몰이 나타남.
③ 환측부위에서 호흡음 들을 수 없고 장음이 들린다
(3) 치료
심한 호흡장애 및 산혈증에 대한 긴급중재 후 초응급 수술로써 탈장된 장을 복원시키고 횡경막 결손을 봉합해주는 수술
4) 제대탈장
- 복벽 중앙부 결손으로 제대환을 통하여 복강 내 장기가 밖으로 탈출하고, 얇은 복막으로 형성된막에 의래 둘러싸인 것을 말한다.
* 복벽균열/복벽개열증
- 제대탈장과 달리 복막의 낭이 없으며 배꼽 오른쪽 아래에 위치. 주로 소장이 탈장
(1) 치료
외과적 교정술이 필수적, 수술적 병소가 큰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위내용물을 환원시키게 된다. (탈장된 장기를 무리하게 환원시키면 복압상승으로 인한 호흡과 순환장애를 일으키기 때문)
수술전 간호는 낭부위의 건조 막기위해 소독된 생리 식염수로 드레싱/ 감염예방/ 구강으로 수유 절대 금지
5) 선천성 장폐색증
1500:1의 비울로 발생 폐색의 형태는 4가지 형태로 구분
① 폐쇄나 협착
② 태변성 장폐색증
③ 장 이상회전/ 중장 염전증
④ 선천성 거대 결장
6) 선천성 거대결장
장의 일부에서 부적절한 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계적 폐색증
(1) 원인
장근층의 부교간 신경절이 선천적으로 없음으로 해서 연동운동이 전달되지 않아 정상적인 상부 장의 확장과 함RP 하부에 폐색증이 일어나게 된다. 흔한 발생부위는 직장 및 하부 S결장
(2) 증상
① 신생아기 : 생후 24~48시간 이내 태변의 배출장애, 담즙성 구토, 복부팽만
② 영아기 : 성장장애, 변비, 복부팽만, 구토, 설사, 장염증상(설사, 발열, 발한 등)
③ 아동기 : 변비, 리본과 같고 냄새가 고약한 변, 복부팽만, 외견상 관찰가능한 연동운동 변덩이 쉽게 만져짐, 영양장애 및 빈혈증
(3) 치료
진단 즉시 무신경절 상부의 정상 결장에 임시 결장루 형성술 시행, 약 6~12개월 후 근치수술
수술방법은 신경세포가 결여된 장을 절제하고 신경이 있는 장을 연결해 주게 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Swenson법과 Duhamel법, 그리고 Soave법이다. 그후 다시 결장루 폐쇄술을 하게 된다.
7) 폐쇄나 협착
(1) 원인
태생기의 장간막 형관이상으로 인한 장괴사에 따른 2차적 병변.
(2) 증상
담즙이 섞인 구토로 일반적으로 태변배설의 장애가 동반되기도 함
(3) 치료
외과적 수술 시행. 성공률 95%
8) 태변성 장폐색증
(1) 원인
거의가 췌장효소 결핍을 가진 낭종성 섬유증의 한 증상으로 회장이 태변덩이로 막혀 초래되는 폐색증.
(2) 치료
삼투압이 높은 액(gastrografin)으로 관장치료 시도, 힘들면 외과적 치료.
9) 장이상 회전, 중장염전증
(1) 원인
정상적으로 태생기 약 6주경이 되면 중장의 급격한 발육으로 복강 밖으로 소위 생리적 탈장이 일어난다. 이시기는 위와 십이지장이 90도 회전이 일어난 다음이다. 8~9주 경이 되면 다시 복강내로 환원하게 되는데, 이때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회맹장 구조가 정상으로 고정되며 맹장은 복부 우측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장간막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의 어느 한 단계라도 정지되면 장의 이상회전증이 오게 된다.
(2) 치료
염전증인 경우 소장 전부와 상행결장이 서로 꼬여서 장괴사를 초래하므로 급속히 진행되어 위험하므로 응급 수술이 필요
추천자료
신생아 case study-간호과정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사용하는 약물
정상 신생아의 특징과 간호
미숙아,신생아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생리적 적응
신생아건강사정, 신생아초기사정, 신생아신체검진, 신생아재태연령, 신생아반응기, 신생아이...
신생아자궁외생활에대한적응, 출생직후적응, 체온조절, 혈액계, 수분과전해질균형, 내분비계,...
미숙아, 과숙아 - 고위험 신생아의 특징 및 성숙이상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의 특징
임신으로 인한 호흡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변화의 따른 징후
신생아 신체사정
아동간호학 - 호흡기계 응급상황 (호흡부전, 심폐소생, 기도폐쇄, 비감염성 물질에 의한 폐기...
[수면장애] 일차성 수면장애(수면곤란증, 수면관련장애), 정신장애 관련 수면장애, 물질관련 ...
[호흡기계 질환] 호흡기 질환(감기, 급성폐렴, 폐결핵)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