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장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 상상력의 세계임을 주장하며, 이점에서 최인훈의 문학론의 진보성을 인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문학사회적인 입장에서 보는 견해이다. 문학사회학적인 입장에서 <광장>이 내재하고 있는 세계관에 대한 해석을 보이는 평가들이다. 대표적인 글로 정과리의 것을 들 수 있다. 그는 최인훈의 소설들이 현실을 억압하는 실체를 이론적으로 파헤치고 있기 때문에 난해하며, 이는 구체적인 생명과 만나지 못하면 유희 혹은 환상으로 떨어질지도 모른다고 평가한다. 최인훈의 인물은 외로움을 속성으로 하는 순례자이며, 올바른 광장이 없어진 곳에서 올바른 삶을 살아야 하는 고립된 개인이자 외로운 자아라는 공통성을 갖고 있음을 분석한다.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에게 있어서 이념은 타인을 헤치며 살아가는 위악이 되며, 이념에 의한 자아 배반은 밀실의 사랑으로 치닫게 된다는 것이다. 자아와 세계의 대립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는 최인훈 작품의 작중 인물들은 현실에서 진정한 공적 이념을 받아들일 수 없으나, 살아야 한다는 명제를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현실의 가짜 이념을 방패막이로 하여 밀실로 도피하는 숨어사는 자가 된다고 평가한다.
또한 염무웅은 최인훈의 문학은 관념의 유희, 기교의 희롱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동시대 작가와 구별이 되는 독자적인 문학적 달성의 높이는 인정이 되어야 하며, 특히 <광장>은 419세대의 자유로운 감성을 반영, 특정한 시대의 특정한 산물로서의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는 전제를 두고 주인공을 분석한다. <광장>의 주인공은 고립적인 개인주의자의 도피 행각이 보이기는 하나, 단지 그러한 측면만이 아니라, 주인공이 자기 부정적 추구를 일관되게 보이는 것은, 역설적으로 보아서 작품의 의미를 주인공의 비판에서 얻어져야 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점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입장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한국의 역사적 상황을 포괄적으로 담으면서 개인주의가 넓은 현실의 자리에서 실험된 결과라고 평가한다. 다시 말해서 최인훈의 관념성은 지적되어야 하지만, 그의 주인공들의 현실 소외는 한국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에 넣어야만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써, 전쟁과 얼남으로 전통사회의 기반에서 떨어져 나오지 않을 수 없었던 한국인 어느 부류의 전형적인 대변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최인훈, 「광장」, 문학과 지성사. 1989.
공저(최창길권순종손종훈이옥선김일영), 한국명작해설집, 민성사, 1991.
구재진, 「광장」에 대한 연구, 『한국현대문학의 이론과 지향』, 문학과 문학교육연구소, 1997.
김영화, 분단상황과 문학, 국학자료원, 1992.
http://mulsal21.dotple.com/fiction/writer/cih2.htm
http://sms63.netian.com/%C3%D6%C0%CE%C8%C6-%20%B1%A4%C0%E5.htm
http://ock5659.netian.com/hyundaisosiel/goangzang.htm
http://novelbank.net/record/record_1.htm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2.0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