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함수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소비함수론

Ⅰ 의 의

Ⅱ 절대소득가설 (케인즈)

1. 개 념

2. 가 정

3. 내 용

4. 시사점

5. 한 계

Ⅲ 소비함수논쟁과 쿠즈네츠 실증분석

1. 논쟁의 배경

2. 쿠즈네츠 실증분석

Ⅳ 상대소득가설 (듀젠베리)

1. 서 론

2. 가 정

3. 내 용

4. 경기변동과 소비의 이동경로

5. 한 계

Ⅴ 항상소득가설 (프리드만)

1. 의 의

2. 기본개념

3. 내 용

4. 시사점과 한계점

Ⅵ 생애주기가설 (모딜리아니, 앤도)

1. 가 정

2. 소득-소비의 패턴

3. 내 용
4. 시사점

본문내용

.
2. 기본개념
1) 항상소득
① 정상적인 소득흐름으로 볼 때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는 장기기대소득
② 항상소득에는 임금등 인적 자본소득과 지대, 채권증권 등의 이자수입 등의
비인적 자본소득의 합
2) 임시소득
① 비정상적인 소득으로 예측불가능한 임시적인 소득
② 단기적으로 + 혹은 - 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평균은 0이 된다.
③ 복권당첨수익등이 있다.
3) 실제소득과 실제소비의 구성 및 관계
① Y = YP + YT (소득은 항상소득(YP)과 임시소득(YT)으로 구성)
② C = CP + CT (소비는 항상소비(CP)와 임시소비(CT)으로 구성)
③ C = kYP{항상소득(YP)과 항상소비(CP)는 일정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④ 항상소득(YP)과 임시소비(CT), 임시소득(YT)과 항상소비(CP), 임시소득(YT)과 임시소 비(CT)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
3. 내 용
1) 단기소비함수
① 항상소비는 항상소득과 일정한 관계를 갖고 있다.
CP = kYP
→C = k(Y - YP)
→APC = = k(1 - YT/Y)
② 경기가 호황인 경우에 YT가 + 이다. APC가 하락하고, 소비점은 H점으로 이동한다.
③ 경기가 불황인 경우에 YT가 - 이다. APC가 상승하고, 소비점은 L점으로 이동한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APC는 하락하게 된다.
LC
소비 SC
H
A
L
0 Y2 Y0 Y1 Y(소득)
(불황시) (호황시)
2) 장기소비함수
① Y = YP + YT에서 장기적으로 YT = 0이므로 APC는 일정하다.
② 장기에 YT = 0인 장기소비함수에서 APC = MPC가 성립한다.
4. 시사점과 한계점
1) 시사점
① 항상소득과 임시소득으로 구분해서 소비함수를 설명함으로써 상대소득가설의
논리적 비대칭성을 극복하였다.
② 임시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은 장기적으로 큰 효과를 줄수 없고, 항상소득을
변화시키는 정책만이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2) 한계점
① 임시소득과 임시소비가 관련성 없다는 가정은 현실에 부적합하다.
② 실제소득을 항상소득과 임시소득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Ⅵ 생애주기가설 (모딜리아니, 앤도)
1. 가 정
① 소비는 소비자의 전 생애를 통한 총소득의 현재가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② 소득은 노동소득과 자산소득으로 구분된다.
2. 소득-소비의 패턴
개인의 인생에서 청년기와 노년기에 소득이 낮고, 중년기에는 소득이 높다.
따라서, 청년기와 노년기에 APC가 높고, 중년기에 APC가 낮다. 단기적으로 소비성향은 가변적이지만, 전생애를 통해서는 일정하다.
소득 (+) 저축
소비
소비
저축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0 시간
3. 내 용 (-) 저축
소비함수
CT = aYT + bAT
근로소득 자산소득
1) 단기소비함수
① 단기에는 자산소득(AT)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노동소득(YT)이 0일 때, bAT
만큼의 소비가 가능하다.
② 단기에 노동소득(YT)이 커지면 이에 따라 소비가 증가하므로 단기소비함수는
우상향하게 된다.
→ → → 단기적으로는 APC > MPC 이다.
2) 장기소비함수
① 장기적으로는 자산소득이 증가하므로 단기소비곡선은 상방 이동하게 된다.
② 장기적으로 보면 노동소득도 증가하므로
장기적 관점에서는 소비점은 A →B →C점으로 이동한다.
장기소비곡선은 OABC가 된다.
따라서, 장기에는 APC = MPC가 된다.
LC SC3
소비 C
SC2
E
B SC1
D
A
0 Y1 Y2 Y3 소득
4. 시사점
① 프리드만의 항상소득가설에서 항상소득과 임시소득을 근로소득과 자산소득으로
구체화하였다.
② 현재의 소득에만 영향을 미치는 재정정책은 그 효력은 미약하다.
(항상소득가설과 동일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2.0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