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승수이론
Ⅰ 승수의 개념 및 도출
1. 개 념
2. 가 정
3. 국민소득변동의 경로
독립지출의 변동
국민소득의 변동
소비의 변동
4. 승수의 도출 (2부문모형: 가계, 기업)
Ⅱ 여러 가지 승수 : 승수모형의 확장
1. 3 부문모형 (가계, 기업, 정부)
2. 4부문 모형 : 가계, 기업, 정부, 해외 (개방경제下의 승수)
Ⅲ 승수분석의 유용성과 한계
1. 유용성
2. 한계점
Ⅳ 승수의 종합분석
Ⅰ 승수의 개념 및 도출
1. 개 념
2. 가 정
3. 국민소득변동의 경로
독립지출의 변동
국민소득의 변동
소비의 변동
4. 승수의 도출 (2부문모형: 가계, 기업)
Ⅱ 여러 가지 승수 : 승수모형의 확장
1. 3 부문모형 (가계, 기업, 정부)
2. 4부문 모형 : 가계, 기업, 정부, 해외 (개방경제下의 승수)
Ⅲ 승수분석의 유용성과 한계
1. 유용성
2. 한계점
Ⅳ 승수의 종합분석
본문내용
다(물가, 이자율의 변화를 무시).
② 한계소비성향이 일정하다는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③ 잉여생산능력이 존재한다는 가정(불황의 경제를 상정하고 있다.)
Ⅳ 승수의 종합분석
구분
승수
봉 쇄 경 제
개 방 경 제
조세가 정액세인 경우
조세가 비례세인 경우
조세가 정액세인 경우
조세가 비례세인 경우
기초소비승수
1 OVER {1-b}
1 OVER { 1-b+b·t}
1 over {1-b+m}
1 over {1-b+b·t+m}
정부지출승수
1 OVER {1-b}
1 OVER { 1-b+b·t}
1 over {1-b+m}
1 over {1-b+b·t+m}
투자승수
1 OVER {1-b}
1 OVER { 1-b+b·t}
1 over {1-b+m}
1 over {1-b+b·t+m}
조세승수
-
b OVER {1-b}
-
b OVER {1-b+b·t}
-
b over {1-b+m}
b over {1-b+b·t+m}
정부이전지출승수
b OVER {1-b}
b OVER {1-b+b·t}
b over {1-b+m}
b over {1-b+b·t+m}
수출승수주1
1 over {1-b+m}
1 over {1-b+b·t+m}
균형재정승수
1
{1-b} OVER {1-b+b·t}
{1-b}over {1-b+m}
{1-b}over {1-b+b·t+m}
비례세와 유발투자가
존재하는 개방경제하의
정부지출승수
1 over {1 - b +b·t - i + m}
(b : 한계소비성향, t :세율, m :한계수입성향, i :유발투자계수)
주 1. (기초)수입승수는 수출승수의 부호와 반대이다.
② 한계소비성향이 일정하다는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③ 잉여생산능력이 존재한다는 가정(불황의 경제를 상정하고 있다.)
Ⅳ 승수의 종합분석
구분
승수
봉 쇄 경 제
개 방 경 제
조세가 정액세인 경우
조세가 비례세인 경우
조세가 정액세인 경우
조세가 비례세인 경우
기초소비승수
1 OVER {1-b}
1 OVER { 1-b+b·t}
1 over {1-b+m}
1 over {1-b+b·t+m}
정부지출승수
1 OVER {1-b}
1 OVER { 1-b+b·t}
1 over {1-b+m}
1 over {1-b+b·t+m}
투자승수
1 OVER {1-b}
1 OVER { 1-b+b·t}
1 over {1-b+m}
1 over {1-b+b·t+m}
조세승수
-
b OVER {1-b}
-
b OVER {1-b+b·t}
-
b over {1-b+m}
b over {1-b+b·t+m}
정부이전지출승수
b OVER {1-b}
b OVER {1-b+b·t}
b over {1-b+m}
b over {1-b+b·t+m}
수출승수주1
1 over {1-b+m}
1 over {1-b+b·t+m}
균형재정승수
1
{1-b} OVER {1-b+b·t}
{1-b}over {1-b+m}
{1-b}over {1-b+b·t+m}
비례세와 유발투자가
존재하는 개방경제하의
정부지출승수
1 over {1 - b +b·t - i + m}
(b : 한계소비성향, t :세율, m :한계수입성향, i :유발투자계수)
주 1. (기초)수입승수는 수출승수의 부호와 반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