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투자함수론
Ⅰ 투자이론의 기초
1. 투자의 개념
2. 투자의 역할
3. 투자의 종류
Ⅱ 현재가치법 (고전학파)
1. 의 의
2. 내 용
3. 투자의사결정
4. 이자율과 투자
Ⅲ 내부수익률법 (IRR법, 케인즈)
1. 의 의
2. 투자의 결정요인
3. 투자의 한계효율(MEI)곡선
4. 내부수익률법(케인즈)과 현재가치법(고전학파)의 차이
Ⅳ 가속도 원리
1. 개 념
2. 내 용
3. 특 징
4. 시사점 및 한계
Ⅴ 자본스톡 조정모형
1. 개 요
2. 투자결정원리
3. 투자수준의 결정
4. 평 가
Ⅵ q - 이론
1. 의 의
2. 투자결정원리
3. 평 가
Ⅰ 투자이론의 기초
1. 투자의 개념
2. 투자의 역할
3. 투자의 종류
Ⅱ 현재가치법 (고전학파)
1. 의 의
2. 내 용
3. 투자의사결정
4. 이자율과 투자
Ⅲ 내부수익률법 (IRR법, 케인즈)
1. 의 의
2. 투자의 결정요인
3. 투자의 한계효율(MEI)곡선
4. 내부수익률법(케인즈)과 현재가치법(고전학파)의 차이
Ⅳ 가속도 원리
1. 개 념
2. 내 용
3. 특 징
4. 시사점 및 한계
Ⅴ 자본스톡 조정모형
1. 개 요
2. 투자결정원리
3. 투자수준의 결정
4. 평 가
Ⅵ q - 이론
1. 의 의
2. 투자결정원리
3. 평 가
본문내용
념
① 소득의 증가는 소비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러한 소비수요의 변화가 그 몇 배로
투자를 증가시킨다.
② 유발투자를 가정하고 있다.
2. 내 용
① 소득의 변동이 소비의 변화를 통해 투자변동을 유발한다.
ΔI →→→ ΔY →→→ ΔC →→→ ΔI'
투자증가 투자승수 소득증가 한계소비성향 소비증가
② 가속도 원리에 의한 투자함수
I = f(ΔY) 〓≫ I = βΔY
( β: 가속도 계수 )
3. 특 징
①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유발투자가 증가한다.
② 소득증가분이 클수록 유발투자가 증가한다.
4. 시사점 및 한계
① 소비변화 혹은 소득변화율보다 투자변화율이 더 큰 현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
② 자본이 완전이용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③ 가속도계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④ 자본재가격이나 예상수익률을 무시하고 있다.
Ⅴ 자본스톡 조정모형
1. 개 요
기존의 자본스톡과 바람직한 자본스톡을 조정하기 위해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가설로써, 투자조정속도를 고려하였다.
2. 투자결정원리
① t기의 자본량(Kt)과 t-1기의 자본량(Kt-1)의 차이가 투자이다.
② 바람직한 자본량(K*)과 전기자본량 사이의 격차를 메꾸어 가는 것이 투자이다.
③ 일시적으로 K*와 Kt-1의 차이를 완전히 메꾸기 위해서는 높은 조정비용이 소요된다.
④ 따라서, 기업은 (K* - Kt-1)의 일정비율( λ)만큼만 투자를 한다.
It = Kt - Kt-1 = λ( K*- Kt-1 )
( 0 < λ < 1 )
It : t기의 투자, Kt : t기 자본량, Kt-1 : t-1기의 자본량
λ: 조정계수, K*: 바람직한 자본량
3. 투자수준의 결정
국민소득↑
명목이자율↓ K*↑ I↑
감가상각비↓
기대물가상승률↑
4. 평 가
단순한 가속도 이론보다는 훨씬 더 현실적이다.
Ⅵ q - 이론
1. 의 의
주식시장에서 평가된 기업의 가치와 실물자본의 대체비용을 비교하여 투자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2. 투자결정원리
① q =
② 투자비용
q의 크기
금융시장과 실물자본시장의 비교
투자의 결정
q > 1
주식시장가치 > 실물자본가치
투자 증대
q < 1
주식시장가치 < 실물자본가치
투자 감소
q = 1
주식시장가치 = 실물자본가치
투자 균형
3. 평 가
전통적인 투자이론이 이자율, 국민소득 등을 설명변수로 하는 자본재수요이론인데 비해, q-이론은 주식시장에서 평가된 자본가치를 포함하여 투자유인에 대한 정보를 보다 포괄 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① 소득의 증가는 소비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러한 소비수요의 변화가 그 몇 배로
투자를 증가시킨다.
② 유발투자를 가정하고 있다.
2. 내 용
① 소득의 변동이 소비의 변화를 통해 투자변동을 유발한다.
ΔI →→→ ΔY →→→ ΔC →→→ ΔI'
투자증가 투자승수 소득증가 한계소비성향 소비증가
② 가속도 원리에 의한 투자함수
I = f(ΔY) 〓≫ I = βΔY
( β: 가속도 계수 )
3. 특 징
①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유발투자가 증가한다.
② 소득증가분이 클수록 유발투자가 증가한다.
4. 시사점 및 한계
① 소비변화 혹은 소득변화율보다 투자변화율이 더 큰 현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
② 자본이 완전이용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③ 가속도계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④ 자본재가격이나 예상수익률을 무시하고 있다.
Ⅴ 자본스톡 조정모형
1. 개 요
기존의 자본스톡과 바람직한 자본스톡을 조정하기 위해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가설로써, 투자조정속도를 고려하였다.
2. 투자결정원리
① t기의 자본량(Kt)과 t-1기의 자본량(Kt-1)의 차이가 투자이다.
② 바람직한 자본량(K*)과 전기자본량 사이의 격차를 메꾸어 가는 것이 투자이다.
③ 일시적으로 K*와 Kt-1의 차이를 완전히 메꾸기 위해서는 높은 조정비용이 소요된다.
④ 따라서, 기업은 (K* - Kt-1)의 일정비율( λ)만큼만 투자를 한다.
It = Kt - Kt-1 = λ( K*- Kt-1 )
( 0 < λ < 1 )
It : t기의 투자, Kt : t기 자본량, Kt-1 : t-1기의 자본량
λ: 조정계수, K*: 바람직한 자본량
3. 투자수준의 결정
국민소득↑
명목이자율↓ K*↑ I↑
감가상각비↓
기대물가상승률↑
4. 평 가
단순한 가속도 이론보다는 훨씬 더 현실적이다.
Ⅵ q - 이론
1. 의 의
주식시장에서 평가된 기업의 가치와 실물자본의 대체비용을 비교하여 투자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2. 투자결정원리
① q =
② 투자비용
q의 크기
금융시장과 실물자본시장의 비교
투자의 결정
q > 1
주식시장가치 > 실물자본가치
투자 증대
q < 1
주식시장가치 < 실물자본가치
투자 감소
q = 1
주식시장가치 = 실물자본가치
투자 균형
3. 평 가
전통적인 투자이론이 이자율, 국민소득 등을 설명변수로 하는 자본재수요이론인데 비해, q-이론은 주식시장에서 평가된 자본가치를 포함하여 투자유인에 대한 정보를 보다 포괄 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추천자료
[경영학] 경영혁신을 위한 ERP구축에 관한 고찰
[부동산 증권화][부동산금융][부동산투자신탁][부동산시장][부동산][부동산투자]부동산 증권...
부동산 리츠제도
기업의 배당정책
자본시장
[현금흐름][현금흐름 필요성][현금흐름 측정][현금흐름 현황][현금흐름표 문제점][현금흐름표...
주식투자 시 좋은 종목을 고르기 위한 방법
퇴직연금제에 대한 인식과 선택기준
ETF 및 파생결합증권 과세제도 개선방안
[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의 특징과 유형
펀투상요약-부동산펀드
펀드투자상담사 합격서브노트
[정부][기업][정부와 대기업][정부와 공기업][정부와 중소기업][정부와 벤처기업][대기업][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