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이후 한반도 통일의 전개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민족통일을 위한 노력

한반도 분단의 과제

1970년대 이후 남북간의 접촉

본문내용

관련 실무접촉 라. 제3차 북경회담(1995.9.26-10.1)
5. 4자회담
가. 공동설명회(1997.3.5,뉴욕)
나. 공동설명회 후속협의(1997.4.16,뉴욕)
다. 차관보급 3자협의(1997.6.30,뉴욕)
라. 4자회담 예비회담
마. 4자회담 본회담
6. 대북구호물자 전달을 위한 남북적십자 대표접촉(1997.5.3-1998.3.25,북경)
7.남북정상회담
김대중 대통령이 1998년 2월 취임사에서 ■■북한이 원한다면 정상회담을 개최할 용의가 있다■■고 한 이래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남북정상회담과 특사교환을 제의해 왔으며, 또한 기존 채널과 여러 경로를 통해 남북 당국간 대화를 강조했고 북한의 호응을 촉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베를린 선언(2000.3.9) 이후 북한이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할 수 있다는 의사를 표명해 옴에 따라 2000년 3월 17일 중국 상해에서 남북 당국자간 첫 접촉을 가졌으며 그 후 북경에서 수차례 비공개 협의를 가진 결과 4월 8일 우리측 박지원 문화관광부 장관과 북측 아시아·태평양 평화위원회 송호경부위원장간에 최종적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초청에 따라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참고 싸이트 참고서적
http://nada.netian.com/h37-4.html 민족통일 운동사<한백사 출판사>
http://www.history21.co.kr/kooksa/bonmun_.htm
http://www.shinseong.org/2002school/13.htm
1970년대이후 한반도 통일의 전개과정
과목: 역사재인식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2.10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