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신학과 정신분석학의 관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기독교신학과 정신분석학의 관계

마이쓰너 교수의 여섯 가지 테제

• 프로이드가 발견한 정신 치료의 비결 :
치료 관계에서 전이 해소를 통한 질적으로 새로운 인간관계의 경험

• 프로이드 이후의 꿈 이해

• 꿈의 상징에 대한 연구.

멜라니 클라인

•놀이 치료

• 어떤 환상 내용들이 있는가?

• 어린이 정신분석

• 대상 관계

• 초자아

• 환상 Phantasy

• 대상

Melanie Klein(1882~1960)
󰋮 편집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

초기정신기능 - D.W.Winnicott

1. 통합됨과 통합되지 않음.

2. 몸과 정신의 통합

3. 초기대상관계와 전능경험

4. 침범과 심리적 상처

5. 자기방어

6. 거짓자기

7. 지적능력과 거짓자기

8. 박해에의 기대

9. 환상과 현실원리(Reality principle)

10. 중간대상과 중간현상

11. 놀이(playing)

• 어린이 놀이의 현상.

참자기와 거짓자기의 문제(True Self & False Self)

• 거짓자기의 다섯 가지 정도

참자기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이해 - 대상관계심리학을 중심으로

청소년 범죄(Juvenile delinquency)의 심리적 고찰 - D. W. Winnicott(1946)

선과 악의 뿌리와 성질- 클라인 & 위니캇
• 악에 대한 클라인의 견해

• 선

• 위니캇의 악의 견해

• 선의 요소

W. R. D. Fairbairn의 대상관계 이론

정신병과 신경증의 정신병리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견해

축적된 심적 상처(Trauma)로서의 잔소리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이해

죄책감과 정신분석 --- D.W. Winnicott

히스테리와 성 ― 대상 관계 심리학의 관점에서

무드의 정신분석학 --Christopher Bollas의 대상관계심리학의 입장에서

본문내용

sual self)는 생기 없는 부모 환경(parenting environment)을 인격화하고 있으며 무드 안의 행복한 자기는 부모에 의해서 인지 받음을 거절당한 어린 자기(child self)를 실제로 표상하고 있음. 또는 평소에 피상적으로 모든 것에 만족스럽게 살아가는 사람이 때로 슬픔에 가까울 정도의 무기력에 걸려 넘어지게 될 때 이 무드는 그의 삶의 다른 면들에 대한 기록일 수 있음. 그의 행복은 부모의 욕구에 동조함으로써 얻어진 행복이고 그의 어색한 슬픔이 오히려 부모에게 버려져 슬픔과 취약함에 노출된 자신의 진정한 경험의 순간임을 나타내고 있음.
보존대상 (conservative object)
무드는 지금은 없는 과거의 어떤 것을 보존하고 있음. 내적 세계 안에 저장된 경험 기억인 무드는 보존 대상임. 그것은 개인의 내면세계 안에 온전히 보전된 하나의 존재 상태. 특별한 자기상태를 담아 주는 회상적인 행동이며 그것은 초기 부모 환경과 어린 자기 사이의 계속적인 타협과 관련되어 있음.
어린아이는 내면화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서 대상 경험을 저장할 분만 아니라 어떤 자기상태를 보존하기도 함. 어린아이의 어떤 자기 경험은 상징화 과정을 거부하고 그 상태로 머무르기를 강요한다. 한 예로 두 살 반된 어린아이가 무가치함의 느낌에 의해서 압도당했을 때 그는 이 경험을 어떤 대상 표상 안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그대로 그의 내면세계 안에 하나의 보존대상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즉 경험의 표상화 대신에 경험의 보존이 일어난 것임. 정신과정(elaboration)이 일어나지 못한 채로 그 안에 있음으로 해서 “알지만 알지 못하는 것”(unthought known)이 됨.
어린아이는 자신의 능력 바깥의 문제에 부딪힐 때 그것은 해결 불가능한 문제(unresolvable problem)라고 인식. 그래서 그것은 자신의 정체성 느낌의 불가피한 부분이 됨. 한 예로 아빠가 일년간 집을 떠난 동안 이 이별이 부모를 통해 적절히 처리되지(work through) 못할 경우 이 상실은 아이에게 하나의 자기규정 사건이(a self-defining event) 됨. 즉 삶의 사건으로 경험되지 못하고 삶을 규정하는 상처(trauma)가 됨. 부모의 공감적 이해를 통해서 변형되어지지 못하면 그것은 특수한 고정(fix)을 만들어 내고, 그 고정은 하나의 정체성 느낌(an identity sense)이 되어 보존되어서 부분적으로 삶 자체를 규정하고자 한다.
어린이의 내적 고정들 중 얼마는 너무 사적인 것이어서 부모의 최상의 공감적 인식까지도 거부함. 우리 모두는 어떤 자기 상태들을 표상화하기 보다는 보존하고 있다. 이 부분이 우리 각자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이 부분과의 관계는 표상화한 대상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관계로 계속된다. 이 무드 안에서 우리는 보존대상이 풀려 나오도록 허락하며 거기에서 표상할 수 없어 저장되었던 삶의 경험들과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참자기와 보존대상
무드 경험이 일반적인 정서경험과 다른 것은 그 안에서 보존대상의 경험이 이루어질 때 참자기의 요소가 허용된다는 점. 무드는 허용적이며 침범당하지 않는 특별한 표현의 자유를 제공하기 때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드에 사로잡힌 순간은 취약성을 느끼는 순간이기도 한데 그것은 그 순간 그 모습 안에서 그 인격 존재의 핵요소를 발견하기 때문. 치료관계에 있어서 무드의 발전과정이 성급한 도전 없이 허용되어야 함.
한편 어느 때인가는 그가 무드 안에 있을 때 그의 인격에 도달할 필요가 있음. 이것은 그의 참자기의 부분과 접촉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 그 참자기는 자기표현이 상처를 입고 사로잡힌 순간에 얼어붙은 것임. 이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무드 안의 아이로 하여금 자신의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rapport)를 지속시켜 주고 그의 인격적 실재의 상실을 지탱해 주게 된다.
이러한 시도는 강렬한 저항에 부딪침. 어떤 이들에게는 무드야말로 가장 중요한 어린 시절의 진정한 기억들이며 이 무드를 통해서만 진정한 자기 경험과의 연결을 경험할 수 있음. 이는 변형대상(trans- formational object)으로서의 부모의 능력의 결핍에 의한 결과. 변형대상의 기능이란 아이의 소원과 전능적 요구를 채워 주는 것만을 뜻하지 않음. 때로는 좌절을 주기도 함. 그러나 부모가 아이가 자신에게 제시한 요소를 태도와 행동을 통해서 인지하고(perceive) 확인시켜 주고(identify) 언어로 표현해 주지 않을 때 이 어린 자기의 면은 고립된 상태로 남게 됨. 발견되지 않고(unnoticed), 언급되지 않은(uncommented) 그리고 촉진적으로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머물게 됨. 어떤 아이도 자신의 고착을 스스로 만들지 않음. 어린아이의 한 부분에 대해 언급하기를 거부하는 것은 암묵적으로 “내 버려 둬”(let it be)와 같다. 이것이 바로 무드 경험의 본질이 되기도 한다. 그가 그러고 있는 동안에는 그대로 내버려 둬.(Let's just let him be while he is like this.)
보존대상은 엄청난 치료적 잠재력을 지님. 그것은 바로 그 본질적 성격으로써 부모에 의해 버려진(disowned) 아이의 참자기 요소들을 보존하고 있기 때문. 즉 부모와의 관계의 단절의 순간들, 변형대상으로서의 기능의 실패가 그 안에 있음. 무드의 경험은 감각적인 앎(sentient knowing)으로 변형될 수 있음. 치료자가 점차로 무드를 인지하고 확인하고 언급함으로써 그는 이미 과거의 부모들이 감당하지 못했던 변형대상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임.
무드와 참자기/거짓자기의 관계
무드는 변형되지 못한 참자기의 요소를 담고 있으며 내면화되지 못하고 투입된(introjected) 경험의 순간들이 있음. 생생한 느낌으로서의 앎 대신에 희미한 느낌으로서의 앎(unthought known)이 자리잡음. 이 부모로부터 버려진 상황(let it be)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방어체제가 형성됨. 정서의 고립. 이 방어체제는 거짓자기의 요소를 이루나 그 안에 숨겨진 내용은 참자기의 요소임. 무드는 수용되고 해석됨으로써 참자기의 삶을 촉진시키게 됨.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5.02.1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