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춘향전」과 「옥단춘전」- 비교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춘향전」
1. 「춘향전」 연구
2.「춘향전」의 이본
3.「춘향전」의 주제에 대한 논의
3-1.「춘향전」의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
3-3. 「춘향전」의 주제
4. 「춘향전」의 주제와 계승

「옥단춘전」
1. 「옥단춘전」 연구
2.「옥단춘전」의 이본
3.「옥단춘전」의 근원설화
4.「옥단춘전」과 의기설화와의 비교
5.「옥단춘전」과 「춘향전」

본문내용

이 아니라 역으로 春香傳의 구성원리가 끊임없이 玉丹春傳의 구성원리로 작용하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玉丹春傳은 義妓說話의 구조와 春香傳의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라 볼 수 있다.
春香傳의 근원설화 : 春香傳의 근원이 된 설화로는 烈女, 義妓설화 (金宇杭說話와 盧 說話는 여기에 포함됨), 암행어사설화, 신원설화, 염정설화 등이 중심이 되며, '꿈 징조 설화', '수기 설화', '한시 설화' 등도 부수적 요소로 첨가되어 있다.
玉丹春傳은 '妓女의 순정과 의리'를 찬양하고, '친구간의 신의'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신분해방을 갈구하고 선의 승리를 신뢰하는 민중의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玉丹春傳은 이러한 작가의식에 따라 義妓說話를 윤색하고 재구성한 것으로, 春香傳의 단순한 모방작으로만 볼 수는 없다. 즉 玉丹春傳과 春香傳은 동일한 의기설화를 모태로 하여 파생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玉丹春傳과 春香傳은 등장인물 면에서 이혈룡/이몽룡, 옥단춘/춘향, 김진희/변학도의 대응관계가 어느 정도 성립되나, 구체적 실상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주제도 두 작품이 겹치는 부분도 있으나, 차이도 분명하다. 그리고 근원설화의 경우도 春香傳의 근원설화라고 주장되었던 義妓說話가 오히려 玉丹春傳의 근원설화임이 밝혀졌다. (최근 春香傳의 근원설화에 대한 연구는 신화적 원형을 바탕으로 단군신화에 그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처럼 두 작품 사이에는 공유하는 부분과 어긋나는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이는 두 작품이 조선후기의 당대 현실을 반영함에 있어서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2.1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