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박씨전 朴氏傳》 - 도술의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줄거리
3. 도술의 양상
4. 도술의 의미
4.1. 변신의 의미
4.2. 천의사상-도술과 예지력의 의미
5. 나오기

본문내용

은 우리나라의 힘이 부족하거나 인재가 없어서가 아니다. 어디까지나 天意에 의한 것이며 이것은 또한 天意에 의해서 다시 國運의 回復될 것임을 暗示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 작품에서 道術이 갖는 의미가 매우 큰 것은 道術이라는 능력을 통해 정신적인 면에서나마 위로 받고 또한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고자 하는 우리 民族의 意志가 반영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朴氏傳》은 弱小民族의 정신적인 勝利意識이 形象化된 작품이라고 볼 수 있겠다.
5. 나오기
《朴氏傳》은 儒敎思想을 바탕으로 家父長的인 사회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면서도 특이하게 女人을 英雄으로 상정하여 그 활약상을 그린 소설이다. 그 과정에서 道術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크게 몇 가지로 縮約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道術的 風貌를 가진 仙人도 하늘의 뜻은 거스를 수 없다는 天意思想을 반영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현실에 대한 敗北意識을 다른 방향으로 轉移하여 정신적인 勝利意識으로 승화시키는 民族精神을 반영하고 있다. 道術은 仙人만의 전유물로서 현실적인 능력을 초월하는 도구이므로 이러한 능력을 가졌음에도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胡亂의 패배를 정당화 시켜주는 역할로써 도술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兩 亂을 겪고 허탈감에 빠진 백성들에게 道術로서 얻어내는 승리는 희망과 대리만족을 주어 현실적 좌절감을 견디게 해 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예언적 능력을 가진 朴氏의 예언을 통해 우리나라의 불운이 극복될 수 있는 것이며 현재의 패배가 끝이 아니라는 밝은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즉, 미래에 대한 낙관적, 긍정적 세계관이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또 다른 의의이다.
또한 女性의 身分上昇의 도구로서의 기능으로 도술의 역할을 들 수 있다. 儒敎에서는 볼 수 없는 家父長的 社會에서의 女性의 身分上昇이 道術이라는 神異한 능력을 통해 충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道術이나 變身이 사회적 구성원이 되기 위한 하나의 通過儀禮로 해석될 수도 있어 女性이 家父長的인 封建 社會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김기현, 韓國古典文學全集,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미란, 「朴氏傳」의 變身 모티프, 문학과 비평,
김장동, 「朴氏傳」論考, 한양어문연구3
김흥국, 한국고전소설해제집上, 보고사, 1997
심동복, 「朴氏傳」小考, 한국언어문학, 1995
윤경수, 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1998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1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