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보관리의 개념
2.정보관리의 의미
3.정보관리의 전산화
4.정보관리의 시스템
5.정보시스템의 디자인
6.정보시스템의개발과 참여
2.정보관리의 의미
3.정보관리의 전산화
4.정보관리의 시스템
5.정보시스템의 디자인
6.정보시스템의개발과 참여
본문내용
지정보와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서비스제공자들 즉, 복지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관건이다. 일방적으로 복지기관 및 종사자들에게 협력과 지원을 요구한다면 그렇지 않아도 바쁜 사람들이 복지정보통신망이라는 새로운 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을 위해 협조 할 리 만무하다.
그러므로 복지기관 및 복지 종사자들을 위한 유인책이 있어야 한다. 즉, 복지정보통신망에서 이들을 위한 전문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각 전문 분야별로 전문포럼을 개발 운영하거나 전문 정보제공자를 개발하여 실무에 필요한 각종 자료와 정보들을 제공하여야 한다.
가상복지대학이나 산학협동의 전문포럼은 가장 효과적인 유인책이 될 것이다. 정부가 공문서 수발이나 실적보고 등에 이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복지기관의 광범위한 참여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복지 서비스가 새로운 전달체계인 복지정보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복지 종사자들이 정보통신 이용능력을 갖추도록 교육도 실시해야 한다.
(3) 정보관리를 위한 예산 확보
사회복지기관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복지관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전문인력을 교육배치시키기 위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관에서 사회복지 일년 예산을 편성할 때, 정보관리 항목이 들어가야 한다.
(4) 국립사회복지연수원 On/Off-Line 교육시스템
정부는 사회복지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현업 종사자들을 재교육하기 위해 국립 사회복지연수원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의 교육은 앞에서 설명했던 기존 교육방식의 한계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이제 연수원의 모든 강의와 자료를 통신망에서 공유하고 온라인 교육방식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복지정보통신망에 국립사회복지연수원 전용 서비스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곳에서의 교육은 모든 강의록이 책으로 만들어지고 있고 그 내용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교재를 얻기를 원하고 있지만 수강생의 수만큼만 인쇄를 하기 때문에 충분히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통신망 자료실에 등록해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오프라인 교육을 폐지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적 수단으로서 온라인 연수원을 운영하자는 것이다. 교육할 내용을 사전에 온라인 강의실 및 주제 토론실에 올려 충분히 숙지하고 토론을 하게 하며, 실제 연수원에 와서 집단 교육을 하는 시간에는 실무에의 적용을 위한 최종 응용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워크샵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복지기관 및 복지 종사자들을 위한 유인책이 있어야 한다. 즉, 복지정보통신망에서 이들을 위한 전문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각 전문 분야별로 전문포럼을 개발 운영하거나 전문 정보제공자를 개발하여 실무에 필요한 각종 자료와 정보들을 제공하여야 한다.
가상복지대학이나 산학협동의 전문포럼은 가장 효과적인 유인책이 될 것이다. 정부가 공문서 수발이나 실적보고 등에 이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복지기관의 광범위한 참여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복지 서비스가 새로운 전달체계인 복지정보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복지 종사자들이 정보통신 이용능력을 갖추도록 교육도 실시해야 한다.
(3) 정보관리를 위한 예산 확보
사회복지기관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복지관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전문인력을 교육배치시키기 위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관에서 사회복지 일년 예산을 편성할 때, 정보관리 항목이 들어가야 한다.
(4) 국립사회복지연수원 On/Off-Line 교육시스템
정부는 사회복지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현업 종사자들을 재교육하기 위해 국립 사회복지연수원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의 교육은 앞에서 설명했던 기존 교육방식의 한계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이제 연수원의 모든 강의와 자료를 통신망에서 공유하고 온라인 교육방식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복지정보통신망에 국립사회복지연수원 전용 서비스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곳에서의 교육은 모든 강의록이 책으로 만들어지고 있고 그 내용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교재를 얻기를 원하고 있지만 수강생의 수만큼만 인쇄를 하기 때문에 충분히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통신망 자료실에 등록해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오프라인 교육을 폐지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적 수단으로서 온라인 연수원을 운영하자는 것이다. 교육할 내용을 사전에 온라인 강의실 및 주제 토론실에 올려 충분히 숙지하고 토론을 하게 하며, 실제 연수원에 와서 집단 교육을 하는 시간에는 실무에의 적용을 위한 최종 응용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워크샵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경영정보시스템][MIS][경영정보시스템 사례][MIS 사례][맥도날드][LG전자][에버랜드]경영정...
[MIS]경영정보시스템(MIS)의 정의, 경영정보시스템(MIS)의 발전단계, 경영정보시스템(MIS)의 ...
[경영정보시스템][MIS][경영정보]경영정보시스템(MIS)의 발전, 경영정보시스템(MIS)의 구조와...
[지리정보시스템]지리정보시스템(GIS) 개념,특성,기능,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성요소,용어정...
[전략정보시스템][SIS]전략정보시스템(SIS)의 정의, 전략정보시스템(SIS)의 배경, 전략정보시...
[금융정보시스템][전략정보시스템(SIS)][물류정보시스템]금융정보시스템, 전략정보시스템(SIS...
지리정보시스템(GIS) 발전과정, 지리정보시스템(GIS) 필요성,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요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추진배경,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목표,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
[기업정보화][기업정보시스템][중소기업 정보시스템][기업 인사정보시스템][기업정보시스템 ...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필요성과 목표, NGIS(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계획, NGIS(국가지...
[금융정보시스템, 금융시스템 선진화, 금융시스템, 금융정보]금융정보시스템의 선진화, 금융...
인터넷 정보검색시스템과 정보검색수법, 인터넷 정보검색시스템과 질의 트리, 인터넷 정보검...
[기업정보시스템]기업정보시스템의 평가지표, 기업정보시스템의 인트라넷, 기업정보시스템의 ...
[회계정보시스템][AIS][회계정보][회계][정보][회계정보시스템 선행연구]회계정보시스템(A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