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

I. 서 론

II. 쿰란 공동체와 엣세네 공동체
(1) 두 공동체 사이의 유사성
(2) 두 공동체 사이의 차이점
(3) 결 론

III. 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
(1) 쿰란 공동체의 특성과 신약성서 기독교의 비교
(2) 쿰란 공동체와 세례 요한
(3) 쿰란 공동체와 예수의 연관성
(5) 쿰란 공동체와 요한복음

IV. 결 론

본문내용

지 못하도록 그들의 이빨을 다물게 하셨나이다.
그리고 당신은 칼과 같은 그들의 혀가 당신의 종의 생명을 죽이지
못하도록 칼집에 강제로 집어넣으셨나이다(1QH 5.13-15).
- 후에 ‘가난한 자’의 개념은 쿰란 공동체 전체에 해당하게 되었는데, 그 때는 “은혜에
가난한 모두”(1QH 5.22)라는 개념으로 자신들을 언급하였다.
- 마가의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말씀과 마찬가지로 쿰란 공동체 역시 하나님 나라에서 의 유익을 위해 모든 추종자들이 가난하게 될 것을 명했다.
가라. 네가 가진 것을 팔아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주고 하늘에 보물이
있게 하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막 10:21).
(5) 쿰란 공동체와 요한복음
- W.F.Albright가 요한복음과 쿰란문서의 특징적 어휘 중 접촉점이 될만한 몇 가지 용어 들을 발견하였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빛의 아들들”, “생명의 빛”, “어둠에 다님”, “진리를 행함”, “하나님의 일” 등
- 요한은 쿰란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우주를 빛과 어두움, 선과 악, 진리와 거짓 등이 첨예하게 대립한다고 본다(Bruce 222).
- 다마스커스 문서에서는 세계를 지배하는 창조된 두 지도자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하 나님께서 사랑하는 자이며, 다른 하나는 미워하는 자라고 언급한다.
사랑하는 자 : 진리의 영, 빛의 왕, 하나님의 진리의 사자, 성령.
미워하는 자 : 타락의 영, 어둠의 천사, 파괴의 사자, 벨리알.
- 요한은 쿰란문서의 사상과는 달리 창조된 빛의 영을 거부하며, 빛의 세력의 지도자는 창조되지 않은 영원한 로고스인 그리스도라고 주장한다(오 병세 129)
- 요한과 쿰란의 유사성은 빛과 어두움의 투쟁에서 빛의 궁극적인 승리를 내다보는 종말 론적 이원론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 요한과 쿰란의 차이점은 하나님의 공의 실현에 있어서 쿰란은 악의 세력과의 투쟁을 강조하는 반면 요한은 투쟁적인 부분보다 성육신한 로고스이신 빛이 어두움에 속한 자들을 그에게로 초청한다는 사상을 담고있다(G.E.Ladd 269).
(5) 쿰란 공동체와 초대교회 공동체
- 두 공동체는 모두 스스로를 진정한 이스라엘이며 하나님의 선택을 받아 설립된 공동체 라고 주장하였다.
(하나님의) 마음에 든 선택받은 사람들..(1QS 8.6).
당신의 기뻐하심을 입은 아들들.....(1QH 11.9).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입은 사람들...(눅 2:14).
- 두 공동체 사이의 유사점
① 쿰란 공동체가 의의 교사의 인도를 통해 시작되었듯이 초대교회 역시 성령강림으로 시작되었다(1QS 3.13ff; 행 2:38).
② 입회할 때에 사유재산을 바쳐서 이를 공동으로 관리하게 하였다(1QS 1.12;행 2:44).
③ 쿰란 종파는 12명의 족장들에 의해서 인도되었으며 종파의 최고 위원회는 12명의 평 신도들과 3명의 제사장으로 구성되었다(1QSa 1.27-2.1; 1QS 8.1). 초대교회 역 시 핵 심사도 3사람을 포함한 사도, 장로들의 지도하에서 운영되었다(행 15:6).
- 두 공동체 사이의 차이점(Bruce 227-8)
① 쿰란 공동체와 초대교회 공동체는 동일하게 물로 씻는 정결의식을 가졌지만 기독교 적인 독특하고도 영원히 한번만 가지는 요소를 쿰란 공동체는 갖지 않는다.
② 두 공동체는 공동식사를 가졌는데, 기독교의 성찬과 같이 성례전적이며 기념적인 요 소가 쿰란 공동체에 있어서는 결핍되고 있다. 차라리 쿰란 공동체의 공동식사는 초대교회 공동체의 애찬(Agape)의 형식을 띠고 있다
고 보아야 한다.
③ 초대교회 공동체에 있어서 물건과 재산 통용은 쿰란과 같이 강제적인 것이 아닌 자 발적 성격이 강하다.
④ 쿰란 공동체는 자신들을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서 자신들의 거룩함을 지키려 한 반면
예수와 그의 제자들은 모든 종류와 상황 속에 있는 사람들과 사귀었으며, 그들을 향 한 선교에 열심이었다는 점이다.
IV. 결 론
-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쿰란 공동체와 초기 기독교 공동체 사이에는 수많은
유사성과 차이점이 나타난다. 이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도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사
상적 배경을 놓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드러났듯이 쿰란 공동체와 초
기 기독교 공동체 사이에 나타난 여러 사상적, 생활의 유사성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 대한
쿰란 공동체의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더우기 쿰란 공동체의 말기와 기독교의 출발점이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은 두 공동체의 연관
성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2.1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