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80,90년대의 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980년대의 문학-
1. 시대상황
2. 1980년대 문학
3. 1980년대의 소설
(1) 광주 민주화 운동 소설
(2) 분단 소설
(3) 노동소설
(4) 대중소설
4. 1980년대의 시
(1) 해체시(실험시)
(2) 민중시(노동시)
1) 산업 노동시
2) 교육노동시
(3) 후기 산업 사회의 인간 조건에 관심을 가진 시(도시시)

-1990년대의 문학-
1. 1990년대 시대 상황
2. 1990년대의 문학
3. 1990년대 소설
(1) 포스터모더니즘의 강세
(2) 리얼리즘 소설의 약화
(3) 장편의 활성화
(4) 여성주의문학의 등장과 페미니즘
(5) 젊은 작가의 동시대의 의식과 문화적 감흥력
4. 1990년대 시
(1) 도시적 일상성의 시- 일상, 대중문화, 테크놀로지
(2) 삶의 원형에 대한 탐색-자연, 생명, 환경
(3) 서정시의 심화와 리얼리즘시의 변모
(4) 여성성의 시쓰기-어미, 무당, 주모, 새로운 존재론
(5) 죽음의 시학, 육체의 시학, 실험적 정신분열시

본문내용

중심의 부재라는 내면적 회의 속에 허무와 권태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이 회의를 견디며 저항하기 위해 시인들은 크게 두 가지 방식의 전략을 추구한다. 하나는 도시적 일상이 지닌 퇴폐와 비인간적 양상을 그대로 그려내어 비판하는 방식이고, 또 하나는 대중문화를 패러디함으로써 도시적, 자본주의적 삶의 질서에 마비된 의식을 전복시키려는 방식이다. 이는 90년대 중반 이후 첫 시집을 상재한 젊은 시인들의 작업에 의해 급진화되어 테크놀로지적 상상력으로 나타난다. 작가와 작품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함민복은「붉은 겨울」에서 신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일상성이 먹고 자고 즐기는 것이 아닌, 타나토스적이고 해학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승욱은「꿈이 없는 빈집에는」에서 일상세계를 빈집으로 인식하면서 거기에서 일상의 공허, 권태를 노래했으며, 최정례는「내가 한 잎 나뭇잎이었을 때」에서 집안 식구의 식사를 최상하는 일상세계를 그리고 있다. 이선영은 「기정사실」에서 기정 사실을 자신의 사유재산으로, 온갖 잡동사니들의 총목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장정일은「천국에 못 가는 이유」에서 퇴폐적이고 허무적인 목소리로 도시시편을 지배하고 있다.
(2) 삶의 원형에 대한 탐색-자연, 생명, 환경
90년대 들어 전일화되어 가는 소비자본주의의 병폐에 대한 항체로서, 도시문명과 대척점에 있는 자연, 고향, 혹은 본원적 생명을 탐색하는 시들이 하나의 흐름을 이룬다. 이 흐름은 우리 시대가 상실한 삶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과 관계가 있다. 삶의 원형에 대한 탐색은 크게 자연 탐구의 경향과 근원적 생명을 탐구하는 경향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두 흐름을 포괄하여 90년대 시의 새로운 영역으로 부각된 경향으로 정신주의시와 환경생태시를 들 수 있다. 환경생태시는 자연 탐구의 시와 생명 탐구의 시가 일정한 관련성을 지니면서 결합되어 외향적 방향으로 전개된 자리에서 생겨나며, 정신주의시는 그것이 내면적 방향으로 전개되어 생겨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생태시는 생태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환경 문제를 다루고 있는 시를 의미한다. 우리 사회가 당면한 환경 위기와 생태계 파괴의 현실에 주목하고, 그 극복을 당면한 환경 위기와 생태계 파괴의 현실에 주목하고 그 극복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는 경향이다. 작가와 작품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고재종은「여름 다저녁 때의 초록 호수」에서 환경적인 이야기가 개입되면서도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지만' 자신은 숲으로 간다면서 자신이 초록 호수에서 발견하는 자연에 대한 여러 가지 것들을 이야기한다. 이는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길이 아니라, 새로운 자연의 발견, 그 초기적인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장석남은「새떼들에게로의 망명」,「젖은 눈」등에서 생명긍정의 따뜻하고 고즈넉한 시세계가 보인다. 또한 정현종의『한 꽃송이』,『리틀보이』(반핵 내용을 담고 있는 서사시)를 들 수 있다.
(3) 서정시의 심화와 리얼리즘시의 변모
90년대 시들이 지닌 전반적인 특징은 현실과 자아를 차분히 성찰하고 내면화하는 서정시의 흐름이다. 따라서 다른 유형으로 분류된 시인들도 전반적으로 서정성의 축을 공유하고 있다. 한편 새로운 서정시의 모습은 이데올로기나 거시담론이 사라진 자리에서 시인들이 제각기 작은 삶의 진실들을 고뇌하며 찾아가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상을 섬세한 마음의 풍경을 통해 드러내는 경향은 여성 시인들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얼리즘시의 변모를 살펴보자. 80년대 시의 가장 뚜렷한 특징을 이루었던 민중시와 노동시는 90년대의 탈정치적 흐름에 따라 상당히 약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90년대 리얼리즘시는 일정한 자기 반성을 거치면서 서정성의 회복과 언어미학 탐구 등의 시의 본질적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작품의 예를 들면 박노해의「그 해 겨울나무」에서 그는 자신의 과거 신념을 패배로 규정하고 있다.
(4) 여성성의 시쓰기-어미, 무당, 주모, 새로운 존재론
90년대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여성 시인들의 활발한 활동이다. 여성 시인들의 시를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사실 무리가 있다. 그러나 여성 시인들의 시적 특징은 다양한 개성과 시적 지향에도 불구하고, 여성적 정체성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여성적 정체성의 추구가 시적 표현으로 드러나는 방식은 크게 진정한 여성성을 찾기 위한 방법적 위반의 방식과 모성성의 회복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90년대 여성시의 향방은 크게 모성적 상상력, 무당적 상상력, 주모적 상상력, 새로운 존재론을 추구하는 시 등의 네 가지 흐름으로 세분될 수 있다.
여성성에 근원을 둔 모성적 세계 인식의 서정성을 보여준 작품으로는 이진명의『밤에 용서라는 말을 들었다』등이 있고, 여성적 정체적을 탐구한 이선영의『오, 가엾은 비눗갑들』(1992),『글자속에 나를 구겨넣는다』(1996),『평범에 바치다』(1999) 등이 있다.
(5) 죽음의 시학, 육체의 시학, 실험적 정신분열시
앞서 살핀 다섯 가지 기본 유형과 복합적인 관련성을 지니면서 그것을 급진화하여 자신의 영역을 구축한 90년대 시의 경향이 있다. 죽음의 시학, 육체의 시학, 실험적 정신분열시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 유형의 시인들은 앞의 유형들에서 거론된 시인들과 상당 부분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향들은 이전의 시와 구분되는 90년대 시의 변별성을 첨예하게 드러내며 생태환경시와 함께 새로운 세기의 주요한 시적 흐름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 1945-1990』, 민음사, 1991
권영민 편저, 『한국문학 50년』, 문학사상사, 1995
맹문제, 『한국 민중시 문학사』, 도서출판 박이정, 2001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민음사, 1992
김종희, 『문학과 전환기의 시대정신』, 민음사, 1997.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조남현, 『1990년대 문학의 담론』, 문예출판사, 1998.
황종연 외,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문학사상』, 1999, 가을호.
http://www.seelotus.com/frame_h.htm
http://www.bluenohl.ye.ro/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2.1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