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가족과 윤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가족과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의 중요성과 그 변천
2. 가족의 성격 변화
3. 현대가족윤리의 정립
4. 제도·윤리의 정립 (대안)
5. 이상적 가족상
6. 가족의 어제와 오늘
7. 바람직한 가족상, 기본방향
8. 구체적 문제

Ⅲ.결론

본문내용

른스러운 태도라 하겠다.
며느리의 처지에서는 시부모의 경험을 존중하는 듯에서 배우는 자세로 임하는 겸허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신도 장차 시어미니의 입장에서 노년을 맞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깊이 고려해야 할 것이다. 자신이 늙은 시어머니가 되었을 때 며느리로부터 어떠한 대우를 받고자 하는가를 생각해 가며 오늘의 며느리로서 슬기롭게 처신함은, 남편의 뿌리인 시댁을 위하는 길일뿐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하는 길이기도 하다.
Ⅲ.결론
이상으로 현대사회의 가정에 대해 알아보았고, 가정내의 구조, 구성원들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해 보았다.
우리의 전통적 대가족제도는 우리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효의 윤리를 발달시키며 효행의 정신이 학습전이도어 경로사상으로 다소 일반화되었다. 그리고 오늘날 핵가정에서 생장하는 신세대는 인간적 수난기에 처해있다.
부모는 대체로 대가족제도에서 생장 양육되었으므로 기성세대의 자녀관 즉, 자녀의 인격적 독립성과 평등을 허용하는데에 인색하지만 신세대는 시대의 풍조에 따라 인격적 독립성과 평등성을 강렬히 요구한다. 이러한 대립이 오늘날 가정에서 소위 '세대갈등'의 근본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사회에서의 세대갈등으로 이어진다.
우리 사회의 조직원리는 가족주의이며, 우리의 윤리 지향성은 바로 여기에 터하고 있다. 부모와 그 핏줄을 타고 난 자식의 관계는 가장 기본이 되는 관계이고 그것은 가장 자연스런 관계이며, 그것은 위계 친밀의 관계이며 그것은 절대의 가치를 지닌다. 이 관계의 핵심은 효(孝)이며, 그것이 첫째가는 행위의 동인이다.
이것을 원형으로 삼아 모든 인간 관계와 행위를 판단하고 그 범위를 점차 넓혀 가고자 하는 것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윤리 지향성이다. 이는 우리의 역사 속에서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에 정치 권력이나 경제체제의 변화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고 우리들의 삶을 지배하고 우리들의 행위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적 윤리체제를 분석하는데 서구의 개념을 따와 쓰는 것은 우리 특유의 체제와 행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실로 학구열의 소모와 탕진을 촉발하는 어리석고 무의미한 일에 매달리고 있는 격이다.
오늘날 가족이 깨지고 가족윤리가 다 허물어졌다고 비통해하는 소리가 식자층뿐만 아니라 양복을 입은 식자층의 입에서도 흘러나오고 있지만, 가족도 가족윤리도 그렇게 쉽게 무너질 만큼 허약하지 않다고 본다.
현대 가정에서 집안의 문제는 곧 '결손가정'이요, '문제집안'이라는 사회의 오명과 치욕이 뒤따른다.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은 이러한 의식의 세계에 둘러싸여 '집안의 문제는 영구히 집안의 문제로 가두어 두어야 한다'는 압력 속에서 살아간다. 그것을 사회문제로 해결하고자 하는 데는 사뭇 이르지 못하고 있다. 아무리 집안의 문제가 힘들어도 집안에서 스스로 해결하게 내버려둘지라도 이를 사회 공동의 문제로 설정하고 처리하려는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오직 가족의 테두리 안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밖으로는 나아가지 않는다. 그런 과정을 통하여 사회 구성원이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사회나 국가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여지를 숫제 없애 버리게도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가족주의 윤리 지향성은 변화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그러나 유연하게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과 행위를 다스리는 힘을 행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현대사회의 구조와 이론. (서울 : 일지사, 1978) 5장, 6장
역사와 사회변동 (서울 : 민영사/한국사회학연구소, 1987) 3부
우리사회의 성찰적 인식 (서울 : 현상과 인식, 1995)
윤리와 우리 사회 (현상과 인식, 1998) p.186 192
현대사회의 윤리문제들 (황필홍 著, 1998)
한국윤리의 제정립 (金泰吉 著, 1995) p.278 282
현대사회와 윤리 (한국국민윤리학회 編, 1998) p.13 16 , p.156 160
교육과학사 (이민태 著, 1994) p.196
현대인의 생활과 윤리 (이을호 著. 학문사, 이상비 편저, 1994) p.153
한국윤리의 검토 (趙南旭 編著, 부산대학교출판부, 1993)
조선가족제도연구 (김두헌 저, 서울:을유문화사, 1949) p.411 412
한국인의 가치관 (손인수 저, 서울:문음사, 1978) p.56 57
The World of Man, (George Groddeck. New York, Vision Press. 1951)
L. Broom and Others (Sociology, New York : Harper and Row,1963) p.356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2.21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