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 中國語란 무엇인가

1-2 중국어 口語와 文語의 역사

1-3 중국어의 유형적 특징

1-4 중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과 이들의 유형적 특징 비교.

1-5. 중국어와 이웃언어들과의 교류

1-6. 중국어와 한국어의 관계

1-7. 중국어 방언.

본문내용

西南관화 대표 방언: 北京語
②오(吳)방언: 강소(江蘇)성에서 長江 이남지역 진강(鎭江)의 동쪽, (鎭江, 南京은 관화 방언 )
절강(浙江)성 대부분-강소+절강- 江浙話라고도 함. 한족의 약 8.4%사용, 대표방언: 蘇州語
上海는 정치, 경제적으로 많이 발달하여 여러 언어가 많이 섞여서 언어의 순수성을 잃었다.
③상(湘)방언: 湖南省의 서북 모퉁이를 제외한 전체, 한족의 약 5%사용, 대표방언: 長沙語
④공()방언: 江西省 대부분 지역, 湖北省의 일부, 한족의 약 2.4%사용, 대표방언: 南昌語
⑤객가(客家)방언: 하천, 성 이름 아니고 북방에서 이주한 이주민을 가리키는 말,
서진 말 영가의 난, 당말 황소의 난 등. 서진 말부터 청까지 5차례 이동, 정착.
강서, 광동, 광서, 복건, 해남, 대만등지에 정착했으나 동화되지 않고 중원과 연계를 끊긴 채 자신들의 말을 보존하여 형성된 독특한 방언, 분포지역이 여기저기 흩어져 방언의 섬을 이룸.
한족의 약 4%사용, 대표방언: 梅縣語-조선어와 비슷한 말이 많다.
⑥월()방언: 廣東語, 은 춘추시대 越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명칭 -越방언이라 하지는 않음.
廣東省의 客家방언 지역 제외한 중, 서남부 , 廣西省의 동남부, 동남아화교, 북미화교 대부분
한족의 약 5%사용, 대표방언: 廣州語
⑦민()방언: 福建省, 가장 복잡한 갈래에 음도 복잡 동남아,
남양 군도의 화교가 방언 많이 사용 臺灣은 전체가 방언 지역 臺灣語- 南방언.
한족의 약 4.2%사용, 대표방언: 南- 廈門, 東- 福州, 北- 建(건구)
◎중국어 방언의 역사
춘추시대부터 방언 존재: 「左傳」, 제자서등에 실려있음. 詩經: 북방 방언, 楚辭: 남방 방언
제후국마다 말이 다르지만 외교 석상에서는 주나라의 말이 기초된 공통어로 의사소통
예> 『논어. 술이편』 “子所雅言, 詩, 書, 執禮, 皆雅言也”
-공자는 평소에는 魯語을 썼지만 시, 서를 읽고, 예를 받들 때는 아언, 즉 周語를 사용했다.
최초의 방언 서적: 전, 후한 교체기의 학자 양웅이 지은「方言」이라는 방언 어휘 목록집.
※南京이 長江 이남지역이지만 官話方言지역인 이유:
西晉 말 영가의 난을 피해 양자강 이남으로 이주한 西晉의 귀족들이 南京을 도읍으로 東晋을 설립. 이후 南北朝 시대에 北朝는 이민족 왕조, 南朝는 한족의 왕조로 역사적 전통을 계승.
南朝의 宋, 齊 , 梁, 陳의 4나라가 南京에 도읍- 中原의 연속
∴南京은 官話方言 지역.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2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