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출현과 발전.
3. 方向补语의 기원
4. 方向补语의 종류.
5. 각 방향보어의 특징
6. 방향 보어의 어법적 특징.
7. 결론
2. 출현과 발전.
3. 方向补语의 기원
4. 方向补语의 종류.
5. 각 방향보어의 특징
6. 방향 보어의 어법적 특징.
7. 결론
본문내용
搬上. --장소 목적어
--짐을 차에 실으시오.
복합 방향보어와 목적어의 위치.
복합 방향보어와 목적어가 동시에 사용될 때 다음의 두 가지 위치에 놓인다.
●목적어가 대상인 경우
①동사+방향보어(上, 下...)+방향보어(, 去)+ 목적어.
放下去一只.
--바구니 하나를 내려놓았다.
②동사+방향보어(上, 下...)+ 목적어+ 방향보어(, 去)
他端上一杯茶.
--그는 차 한 잔을 내왔다.
●목적어가 장소인 경우.
동사+방향보어+(上, 下..)+목적어+방향보어(, 去)
生走室裏去.
--학생들이 교실로 들어갔다.
방향보어와 了
●목적어가 없을 때
동사 뒤에 목적어가 없으면 시태조사 ‘了’를 동사 뒤에 놓아서 완성을 표시한다.
他在口站了一,就走了去。
-- 그는 문 앞에 잠깐 서 있다가, 걸어 들어갔다.
他完站了起。
--그는 말을 끝내고 일어섰다.
시태조사 ‘了’는 방향 보어 뒤에 놓일 수 있으며, 이 때는 어기조사‘了’와 구별되지 않는다.
●목적어가 있을 때
동사 뒤에 목적어가 있으면 시태조사 ‘了’는 일반적으로 문장 끝에 오는데 어기조사 ‘了’와 같다. 장소목적어가
와도 ‘了’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孩子上山了.
--아이가 산으로 뛰어 올라왔다.
姐姐回水果了,
--언니가 과일을 사서 돌아왔다.
동사 뒤에 사물을 나타내는 목적어가 오면 항상 시태조사 ‘了’를 단순 방향보어와 함께 쓴다.
他都下山了。
--그들은 모두 하산했다.
유사 방향 보어의 비교.
起와 上
단순 방향 보어 중에서 기와 상은 그 의미가 매우 유사하다. 그래서 이 두 방향 보어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1)유사점.
●사람이나 사물이 동작에 의해서 아래에서 위로 향할 경우.
卷起袖口- 卷上袖口
-- 소매를 걷어 올리다.
●동작의 완성을 표시할 경우.
收起磨力石- 收上磨力石
-- 숫돌을 거두다.
●동작이 시작되어서 지속됨을 표시할 경우
起 - 上
-- 뒷말을 하다.
2) 차이점
●起는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을 강조하는 반면, 上은 종점에 중점을 두고 높은 곳에 올라가서 그곳에 도달한다는 의미를 표시한다.
☆ ㅣ
ㅣ ㅣ
ㅣ ☆
上 起
●起는 단지 아래에서 위로 향함을 표시할 뿐이므로, 기점을 밝혀주지 않아도 잘 알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上은 종점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장소를 나타내는 목적어를 지니게 되며 목적지를 표시한다.
起旗。
-- 붉은 깃발을 들다.
上梢。
--나무 꼭대기로 날아오르다.
●起와 上은 동작이 시작되어서 지속됨을 나타낼 수 있는데 起가 강조하는 것은 시작이다. 그러나 上은 강조작용이 없다.
抽起了烟。
--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다.- 어떤 동작이 특수한 시점에서 시작됨을 강조
抽上了烟。
-- 담배를 피운다. - 동작의 시작 및, 동작이 지속되어야 할 시간의 길이를 표시.
●上은 와 결합해서 복합방향보어를 형성할 수 있지만 起는 어느 한 평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올라감을 표시해줄 뿐이다. 이때 평면은 화자보다 낮은 곳에 있다. 그러므로 起는 와는 결합하지만 去와는 결합할 수 없다.
下와 下去
下와 下去는 모두 동작의 지속됨을 나타내지만 구체적인 시간의 단위에는 차이가 있다.
●下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됨을 나타내고, 하거는 현재부터 미래로 계속됨을 나타낸다.
●下는 착안점이 동작의 종점에 있으며 동작이 지속되다가 이미 종점에 도달함을 의미하는 반면, 下去는 착안점이 동작의 시작이고, 아직까지 종점에 도달하지 않고 계속 진행됨만을 가리킨다.
我持下。
--이런 훈련으로 끝까지 견뎌왔다.
我持下去。
--이런 훈련으로 끝까지 견뎌 나갈 것이다.
起來와 下來
起來와 下來는 모두 형용사 뒤에서 상태가 변화됨을 나타낼 수 있다.
聽了老王這番話, 他的心情平靜起來.
聽了老王這番話, 他的心情平靜下來.
--老王의 말을 듣고 난 뒤에 그의 마음은 안정되었다.
平靜起來와 平靜下來는 모두 새로운 상태의 시작 및 지속됨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이들의 용법이 완전히 같지는 않다. 起來와 下來는 결합할 수 있는 형용사가 다른데, 起來는 결합할 수 있는 형용사의 종류가 광범위한데 비하여, 下來는 결합할 수 있는 형용사의 범위가 매우 좁아서 일부분의 형용사, 밝기의정도(暗, 黑), 소리의 상태(低, 安靜), 속도(慢), 정서(冷, 情, 平靜), 건강상태(弱)등과만 결합할 수 있다.
夏至以後, 天短下來了
--하지 이후로 해가 짧아졌다.
이 문장에서 短은 시간 상태에 일어나는 변화를 나타내므로 앞에서 말한 형용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한다.
夏至以後, 天短起來了.
또한 起來는 이동의 방향을 나타낼 경우 종점이 없는 것과 같이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경우에도 새로운 상태의 시작만을 나타낼 뿐 종결됨을 나타낼 수는 없다. 그러나 下來는 상태의 변화가 종결됨은 나타낼 수 있다.
還不到六點鍾, 天却全黑起來了.
--겨우 여섯시밖에 안되었는데 하늘이 어두워지기 시작했다.
還不到六點鍾, 天却全黑下來了.
--겨우 여섯시밖에 안되었는데 하늘이 어두워졌다.
7. 결론
방향보어는 동사 혹은 형용사의 뒤에서 보어의 역할을 하는 방향성 동사로, 실제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대부분의 방향보어의 의미는 단순히 동작 혹은 행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 의미에서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인신된 의미가 더 많이 쓰인다. 이렇듯 방향보어는 구체적인 언어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그 성격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의미의 결정에 있어서 체계적인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방향보어를 단순 방향보어, 복합 방향보어로 분류하여 일반적인 의미와 확장된 의미로 나누어서 각각의 구별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방향보어와 목적어가 함께 쓰였을 때의 방향보어와 목적어의 위치와 방향보어와 목적어와 了가 함께 쓰였을 때 방향보어와 목적어와 了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몇몇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방향보어를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방향보어가 어떻게 결과 의미와 상태 의미로 발전할 수밖에 없었는가 하는 문제와 이외의 다른 확장된 의미는 없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연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마친다.
--짐을 차에 실으시오.
복합 방향보어와 목적어의 위치.
복합 방향보어와 목적어가 동시에 사용될 때 다음의 두 가지 위치에 놓인다.
●목적어가 대상인 경우
①동사+방향보어(上, 下...)+방향보어(, 去)+ 목적어.
放下去一只.
--바구니 하나를 내려놓았다.
②동사+방향보어(上, 下...)+ 목적어+ 방향보어(, 去)
他端上一杯茶.
--그는 차 한 잔을 내왔다.
●목적어가 장소인 경우.
동사+방향보어+(上, 下..)+목적어+방향보어(, 去)
生走室裏去.
--학생들이 교실로 들어갔다.
방향보어와 了
●목적어가 없을 때
동사 뒤에 목적어가 없으면 시태조사 ‘了’를 동사 뒤에 놓아서 완성을 표시한다.
他在口站了一,就走了去。
-- 그는 문 앞에 잠깐 서 있다가, 걸어 들어갔다.
他完站了起。
--그는 말을 끝내고 일어섰다.
시태조사 ‘了’는 방향 보어 뒤에 놓일 수 있으며, 이 때는 어기조사‘了’와 구별되지 않는다.
●목적어가 있을 때
동사 뒤에 목적어가 있으면 시태조사 ‘了’는 일반적으로 문장 끝에 오는데 어기조사 ‘了’와 같다. 장소목적어가
와도 ‘了’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孩子上山了.
--아이가 산으로 뛰어 올라왔다.
姐姐回水果了,
--언니가 과일을 사서 돌아왔다.
동사 뒤에 사물을 나타내는 목적어가 오면 항상 시태조사 ‘了’를 단순 방향보어와 함께 쓴다.
他都下山了。
--그들은 모두 하산했다.
유사 방향 보어의 비교.
起와 上
단순 방향 보어 중에서 기와 상은 그 의미가 매우 유사하다. 그래서 이 두 방향 보어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1)유사점.
●사람이나 사물이 동작에 의해서 아래에서 위로 향할 경우.
卷起袖口- 卷上袖口
-- 소매를 걷어 올리다.
●동작의 완성을 표시할 경우.
收起磨力石- 收上磨力石
-- 숫돌을 거두다.
●동작이 시작되어서 지속됨을 표시할 경우
起 - 上
-- 뒷말을 하다.
2) 차이점
●起는 동작이 시작하는 시점을 강조하는 반면, 上은 종점에 중점을 두고 높은 곳에 올라가서 그곳에 도달한다는 의미를 표시한다.
☆ ㅣ
ㅣ ㅣ
ㅣ ☆
上 起
●起는 단지 아래에서 위로 향함을 표시할 뿐이므로, 기점을 밝혀주지 않아도 잘 알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上은 종점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장소를 나타내는 목적어를 지니게 되며 목적지를 표시한다.
起旗。
-- 붉은 깃발을 들다.
上梢。
--나무 꼭대기로 날아오르다.
●起와 上은 동작이 시작되어서 지속됨을 나타낼 수 있는데 起가 강조하는 것은 시작이다. 그러나 上은 강조작용이 없다.
抽起了烟。
--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다.- 어떤 동작이 특수한 시점에서 시작됨을 강조
抽上了烟。
-- 담배를 피운다. - 동작의 시작 및, 동작이 지속되어야 할 시간의 길이를 표시.
●上은 와 결합해서 복합방향보어를 형성할 수 있지만 起는 어느 한 평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올라감을 표시해줄 뿐이다. 이때 평면은 화자보다 낮은 곳에 있다. 그러므로 起는 와는 결합하지만 去와는 결합할 수 없다.
下와 下去
下와 下去는 모두 동작의 지속됨을 나타내지만 구체적인 시간의 단위에는 차이가 있다.
●下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됨을 나타내고, 하거는 현재부터 미래로 계속됨을 나타낸다.
●下는 착안점이 동작의 종점에 있으며 동작이 지속되다가 이미 종점에 도달함을 의미하는 반면, 下去는 착안점이 동작의 시작이고, 아직까지 종점에 도달하지 않고 계속 진행됨만을 가리킨다.
我持下。
--이런 훈련으로 끝까지 견뎌왔다.
我持下去。
--이런 훈련으로 끝까지 견뎌 나갈 것이다.
起來와 下來
起來와 下來는 모두 형용사 뒤에서 상태가 변화됨을 나타낼 수 있다.
聽了老王這番話, 他的心情平靜起來.
聽了老王這番話, 他的心情平靜下來.
--老王의 말을 듣고 난 뒤에 그의 마음은 안정되었다.
平靜起來와 平靜下來는 모두 새로운 상태의 시작 및 지속됨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이들의 용법이 완전히 같지는 않다. 起來와 下來는 결합할 수 있는 형용사가 다른데, 起來는 결합할 수 있는 형용사의 종류가 광범위한데 비하여, 下來는 결합할 수 있는 형용사의 범위가 매우 좁아서 일부분의 형용사, 밝기의정도(暗, 黑), 소리의 상태(低, 安靜), 속도(慢), 정서(冷, 情, 平靜), 건강상태(弱)등과만 결합할 수 있다.
夏至以後, 天短下來了
--하지 이후로 해가 짧아졌다.
이 문장에서 短은 시간 상태에 일어나는 변화를 나타내므로 앞에서 말한 형용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한다.
夏至以後, 天短起來了.
또한 起來는 이동의 방향을 나타낼 경우 종점이 없는 것과 같이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경우에도 새로운 상태의 시작만을 나타낼 뿐 종결됨을 나타낼 수는 없다. 그러나 下來는 상태의 변화가 종결됨은 나타낼 수 있다.
還不到六點鍾, 天却全黑起來了.
--겨우 여섯시밖에 안되었는데 하늘이 어두워지기 시작했다.
還不到六點鍾, 天却全黑下來了.
--겨우 여섯시밖에 안되었는데 하늘이 어두워졌다.
7. 결론
방향보어는 동사 혹은 형용사의 뒤에서 보어의 역할을 하는 방향성 동사로, 실제 언어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대부분의 방향보어의 의미는 단순히 동작 혹은 행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 의미에서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인신된 의미가 더 많이 쓰인다. 이렇듯 방향보어는 구체적인 언어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그 성격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의미의 결정에 있어서 체계적인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방향보어를 단순 방향보어, 복합 방향보어로 분류하여 일반적인 의미와 확장된 의미로 나누어서 각각의 구별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방향보어와 목적어가 함께 쓰였을 때의 방향보어와 목적어의 위치와 방향보어와 목적어와 了가 함께 쓰였을 때 방향보어와 목적어와 了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몇몇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방향보어를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방향보어가 어떻게 결과 의미와 상태 의미로 발전할 수밖에 없었는가 하는 문제와 이외의 다른 확장된 의미는 없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연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마친다.
추천자료
[제7차 교육과정][경제교육]제7차 교육과정 경제교육의 방향과 내용 및 개선방안(경제교육과 ...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방향][통일교육의 개선과제]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필요성, 통...
녹색성장(현정부의 정책 방향, 다른 나라의 상황, 문제점, 나아가야할 방향)
[감귤][귤][밀감][감귤산업]감귤(귤, 밀감)의 역사, 감귤(귤, 밀감)의 효능과 감귤(귤, 밀감)...
[언어교육][언어]언어교육(언어학습, 언어지도)의 의의, 언어교육(언어학습, 언어지도)의 영...
학습장애아동 연산지도(연산능력신장교육) 기본방향과 원리, 학습장애아동 연산지도(연산능력...
[한자병용][국한문혼용][국한문][한자]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한자병용(국한문혼용)...
[지역학습][지역학습의 방향][지역학습과 지역지리교육 비교]지역학습의 정의, 지역학습의 필...
포털저널리즘,포털저널리즘 발전방향, 포털 저널리즘 개선방향
[규칙성][학습모형][지도방법][지도방향 및 유의점][함수][패턴][문제해결]규칙성의 학습모형...
[사업전략]사업전략(기업전략, 경영전략)의 활동공유능력, 정보화, 사업전략(기업전략, 경영...
[문화관광 커뮤니케이션전략] 문화관광정보 커뮤니케이션전략의 기본방향과 구축방향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비즈니스모델(정보전달형인터넷서비스-일방향, 정보교류형인터넷서비스...
[테러리즘 유래] 테러리즘의 사례와 정책방향 ; 테러리즘의 연원과 특성분석 {테러리즘 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