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1. 생활언어의 혼란
2. 전문언어 사용의 위축
3. 동아시아 국가간 교류에 따른 필요성
1) 경제적 교류, 인적 교류
2) 문화적 교류의 요구
Ⅲ.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쟁점
Ⅳ.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반대론
Ⅴ. 한자병용(국한문혼용) 관련 기사
Ⅵ. 향후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방향
참고문헌
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1. 생활언어의 혼란
2. 전문언어 사용의 위축
3. 동아시아 국가간 교류에 따른 필요성
1) 경제적 교류, 인적 교류
2) 문화적 교류의 요구
Ⅲ.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쟁점
Ⅳ.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반대론
Ⅴ. 한자병용(국한문혼용) 관련 기사
Ⅵ. 향후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쟁점,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반대론, 한자병용(국한문혼용) 관련 기사, 향후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방향 분석
Ⅰ. 개요
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1. 생활언어의 혼란
2. 전문언어 사용의 위축
3. 동아시아 국가간 교류에 따른 필요성
1) 경제적 교류, 인적 교류
2) 문화적 교류의 요구
Ⅲ.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쟁점
Ⅳ.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반대론
Ⅴ. 한자병용(국한문혼용) 관련 기사
Ⅵ. 향후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방향
참고문헌
Ⅰ. 개요
한자병용은 이미 현실이다. \'말\' 그 자체만 떼어놓고 보면 한글전용론이란 아주 우습게 보인다. 반대로 한자병용론은 훨씬 현실적인 말로 들린다. 왜냐면 길게 생각하고 말고 할 여지도 없이 한글 전용론이라 할 때 전용론 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한자\'에서 비롯된 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글전용이란 말자체가 웃기는 말이다. 그런데 소위 <한글전용론>이란 것이 이렇게 한자의 씨를 말리자는 무정부주의적인 주장은 애초부터 아니다. 이른바 한글전용론 진용(적당한 용어가 없어 이렇게 부름)은 \'현실 긍정 진영\'이다. 우리의 말글살이 속에서 한자를 깡그리 몰아낼 수는 없다. \'한자\'가 우리말의 짜임새에 보탬이 된 측면도 있다. 영어에서는 사람이 만든 법이건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법칙이건 그냥 다 LAW로 한다. 두 개념사이에 구분이 없는 것이다. 반면 우리는 법률과 법칙을 구분한다. \'생각\'을 하려면 \'개념\'이 우선 필요한데 법률과 법칙이라는 엄연히 다른 말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개념을 분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법\'이라는 공통분모에 의해 양자가 관련된 것이라는 것도 한눈에 알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도 단순 무식 과격하게 한자전부를 몽땅 몰아내자는 주장이 성립할 수는 없다. 국한혼용은 결코 한자를 많이 쓰자는 것이 아니며, 漢文 중심의 어문생활을 하자 함도 아니다. 2000字 정도의 상용한자를 제정해 내실 있게 교육하고, 어의 전달에 혼란이 없을 정도의 한자를 적절히 섞어 쓰자는 것이다. 국한혼용과 한글전용 문제는 양시양비론적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한자를 교육할 것이나, 교육하지 말 것이냐 』하는 선택의 문제다.
일제의 우리말 말살정책은 한글 운동 자체가 곧 애국운동이라는 데까지 민족정신을 승화시켰고, 이와 같은 분위기는 광복 직후 「한글전용만이 애국」이라는 단순논리로 이어졌는데, 일제에 대한 배척이 엉뚱하게 수천 년 간 우리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이루어온 한자 배척으로 변질되고 만 것은 지극히 유감스러운 일이다. 당시의 한글운동은 일면 당위성이 있다고 할 수도 있겠으나 한 번 더 숙고해 합리적인 시각으로 문자정책을 성안했더라면 국가 실익과 전통문화 계승에도 훨씬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1. 생활언어의 혼란
PC 통신이나 인터넷상의 언어 사용을 보면 문제는 보다 심각하다. 요즘 학생들이 즐겨 쓰는 통신상의 언어도 편의상의 조어에 치우치거나, 간략화하는 데에만 치중하여 우리말이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심지어 극단적으로 논하면, 언어의 파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황당한 상황은 대중들이 어원을 모르고 단지 소리로서만 배운 표음문자로서의 기능만을 전부인 줄 알고 있는 데서 비롯한 것이다. 이렇게 그릇된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잘못인 것조차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안냐세여(안녕하세요.)’ ‘캄
Ⅰ. 개요
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1. 생활언어의 혼란
2. 전문언어 사용의 위축
3. 동아시아 국가간 교류에 따른 필요성
1) 경제적 교류, 인적 교류
2) 문화적 교류의 요구
Ⅲ.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쟁점
Ⅳ.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반대론
Ⅴ. 한자병용(국한문혼용) 관련 기사
Ⅵ. 향후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방향
참고문헌
Ⅰ. 개요
한자병용은 이미 현실이다. \'말\' 그 자체만 떼어놓고 보면 한글전용론이란 아주 우습게 보인다. 반대로 한자병용론은 훨씬 현실적인 말로 들린다. 왜냐면 길게 생각하고 말고 할 여지도 없이 한글 전용론이라 할 때 전용론 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한자\'에서 비롯된 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글전용이란 말자체가 웃기는 말이다. 그런데 소위 <한글전용론>이란 것이 이렇게 한자의 씨를 말리자는 무정부주의적인 주장은 애초부터 아니다. 이른바 한글전용론 진용(적당한 용어가 없어 이렇게 부름)은 \'현실 긍정 진영\'이다. 우리의 말글살이 속에서 한자를 깡그리 몰아낼 수는 없다. \'한자\'가 우리말의 짜임새에 보탬이 된 측면도 있다. 영어에서는 사람이 만든 법이건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법칙이건 그냥 다 LAW로 한다. 두 개념사이에 구분이 없는 것이다. 반면 우리는 법률과 법칙을 구분한다. \'생각\'을 하려면 \'개념\'이 우선 필요한데 법률과 법칙이라는 엄연히 다른 말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개념을 분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법\'이라는 공통분모에 의해 양자가 관련된 것이라는 것도 한눈에 알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도 단순 무식 과격하게 한자전부를 몽땅 몰아내자는 주장이 성립할 수는 없다. 국한혼용은 결코 한자를 많이 쓰자는 것이 아니며, 漢文 중심의 어문생활을 하자 함도 아니다. 2000字 정도의 상용한자를 제정해 내실 있게 교육하고, 어의 전달에 혼란이 없을 정도의 한자를 적절히 섞어 쓰자는 것이다. 국한혼용과 한글전용 문제는 양시양비론적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한자를 교육할 것이나, 교육하지 말 것이냐 』하는 선택의 문제다.
일제의 우리말 말살정책은 한글 운동 자체가 곧 애국운동이라는 데까지 민족정신을 승화시켰고, 이와 같은 분위기는 광복 직후 「한글전용만이 애국」이라는 단순논리로 이어졌는데, 일제에 대한 배척이 엉뚱하게 수천 년 간 우리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이루어온 한자 배척으로 변질되고 만 것은 지극히 유감스러운 일이다. 당시의 한글운동은 일면 당위성이 있다고 할 수도 있겠으나 한 번 더 숙고해 합리적인 시각으로 문자정책을 성안했더라면 국가 실익과 전통문화 계승에도 훨씬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Ⅱ. 한자병용(국한문혼용)의 필요성
1. 생활언어의 혼란
PC 통신이나 인터넷상의 언어 사용을 보면 문제는 보다 심각하다. 요즘 학생들이 즐겨 쓰는 통신상의 언어도 편의상의 조어에 치우치거나, 간략화하는 데에만 치중하여 우리말이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심지어 극단적으로 논하면, 언어의 파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황당한 상황은 대중들이 어원을 모르고 단지 소리로서만 배운 표음문자로서의 기능만을 전부인 줄 알고 있는 데서 비롯한 것이다. 이렇게 그릇된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잘못인 것조차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안냐세여(안녕하세요.)’ ‘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