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이해-별곡, 악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별곡
1.별곡이란
2.별곡의 형식
3.별곡의 내용
1)풍류적인 성격
2)송도적인 성격
3)도덕적인 성격

◆별곡
1. 별곡의 내용
2. 별곡의 특질

악장
1. 악장이란
2. 악장의 형식
3. 악장의 내용
4. 악장의 특색

본문내용

비어천가』의 구성은 내용상 3단으로 나눌 수 있는데, 1단은 1장으로 서사, 2단은 2~109장으로 개국의 원대함과 왕업의 지난함을, 3단은 110~125장으로 2단의 노래 뜻을 반복해 세손(世孫)으로 하여금 귀감(龜鑑)이 되게 했다.
『월인천강지곡』은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나열하고 부처님의 위대한 공덕과 언행이며 전세의 내력을 찬양하고 있다. 그런데 억불정책을 실천한 세종이『월인천강지곡』을 비롯해서 불경언해사업을 추진한 이유라도 있을까? 세종도 인간이며 불교는 종교인 때문일 것이다. 그러기에 세종 또한 만년에는 불교에 귀의했는지도 모른다.『월인천강지곡』은 석가의 일대기를 서사시 형태로 지은 것이다. 세종의 의도는 불교의 교리와 석가의 행적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더욱이『월인천강지곡』은『용비어천가』보다 표현이 자유롭고 한문 문투가 적으며 풍부한 어휘를 구사해 석가의 생애담을 간결하게 표현했다. 기교의 세련됨은 물론 정음의 아름다움을 발휘했기 때문에『용비어천가』보다 우수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4. 악장의 특색
첫째, 악장의 특색은 작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악장은 개인적인 서정을 노래한 작품이 아니라 조선조의 개국을 송축하고 석가의 행적을 찬송한 장편 서사시라는 데 그 특색이 있다.
둘째, 형식상 특색으로는 악장이 창작되기 이전이나 이후 어떤 시가의 형식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형식을 가진 점이다.
연시형에 있어 분연되는 각 연의 대구법을 쓴 2행시는 악장만이 가진 독특한 형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특한 형식을 가진 우리 나라의 유일한 서사시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4.1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