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Ⅱ. 포털 저널리즘의 정의 1
Ⅲ. 포털 저널리즘과 기존 저널리즘의 비교
1. 속보성 2
2. 하이퍼링크와 상호작용 3
3. 편리성 5
Ⅳ. 포털의 영향력 5
Ⅴ. 포털의 뉴스서비스 제공 현황
1. 네이버 8
2. 다음 10
3. 네이트 10
Ⅵ. 포털에 대한 법적규제 11
Ⅶ. 포털 저널리즘의 역할과 저해요인
1. 포털 저널리즘의 역할 12
1) 주요 정보제공자 13
2) 의제설정기능 13
2. 포털 저널리즘의 저해요인 15
1) 편집의 문제 15
2) 상업적, 선정적 문제(황색 저널리즘) 17
3) 정치왜곡과 은폐 20
4) 해결방안 23
Ⅷ. 결론 24
Ⅸ. 우리 조 소감 26
※ 참고 문헌 28
Ⅱ. 포털 저널리즘의 정의 1
Ⅲ. 포털 저널리즘과 기존 저널리즘의 비교
1. 속보성 2
2. 하이퍼링크와 상호작용 3
3. 편리성 5
Ⅳ. 포털의 영향력 5
Ⅴ. 포털의 뉴스서비스 제공 현황
1. 네이버 8
2. 다음 10
3. 네이트 10
Ⅵ. 포털에 대한 법적규제 11
Ⅶ. 포털 저널리즘의 역할과 저해요인
1. 포털 저널리즘의 역할 12
1) 주요 정보제공자 13
2) 의제설정기능 13
2. 포털 저널리즘의 저해요인 15
1) 편집의 문제 15
2) 상업적, 선정적 문제(황색 저널리즘) 17
3) 정치왜곡과 은폐 20
4) 해결방안 23
Ⅷ. 결론 24
Ⅸ. 우리 조 소감 26
※ 참고 문헌 28
본문내용
%)의 비율을 나타냈다.
기사 소재의 선택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뉴스가지가 적고 단순 흥미유발을 위한 소재 위주의 기사가 많다라고 응답한 수가 38명(76%)으로 가장 많았고, ①뉴스가지치가 높은 소재들을 선택하고 있다고 응답한 수가 1명(2%), ③신변잡기나 사생활 위주의 선정적인 소재의 기사가 많다라고 응답한 수가 6명(12%), ④뉴스가치가 전혀 없이 선정적이기만 한 소재의 기사가 많다라고 응답한 수가 5명(10%)의 비율을 나타냈다.
포털의 뉴스 편집이 편파적인가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그렇다고 응답한 수가 24명(48%)으로 가장 많았고, ①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수는 5명(10%), ③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수가 20명(40%), ④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1명(2%), ⑤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0명(0%)의 비율을 나타냈다.
포털뉴스의 상업적인 내용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그렇다고 응답한 수다 25명(50%)으로 가장 많았고, ①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수는 8명(16%), ③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수는 14명(28%), ④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3명(6%), ⑤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0명(0%)의 비율을 나타냈다.
포털뉴스의 선정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 그렇다고 응답한 수다 23명(46%)으로 가장 많았고, ①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수는 7명(14%), ③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수는 16명(32%), ④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4명(8%), ⑤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0명(0%)의 비율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포털의 영향력이 사회적으로 그 파장을 포털저널리즘의 전반적인 내용과 문제점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포털미디어는 이미 우리 사회전반에 기존 미디어보다 속보성,상호작용성 그리고 편리성을 장점으로 하여 그 영향력을 행사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이미 대세라고 볼 수 있을 만큼 막대하다 할 수 있다. 다만 유감스러운 부분은 이러한 포털미디어에 대하여 아직까지도 이를 언론의 범주에 넣어야 할지를 넣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중이며 이는 포털미디어의 규제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다행히 법적규제에 대한 부분에서는 포털을 언론으로 규정해 규제하는 언론중재법이 이미 2009년에 개정 시행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포털에 대해 그 사회적 책임감을 지우는 것들은 포털의 막대한 영향력과 이로 인해 나올수 있는 문제점들을 규제할 수단이 마땅히 없었던 것들을 상기한다면 일면 타당할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결국 포털미디어 혹은 포털저널리즘이 더욱 더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잊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Ⅸ. 우리 조 소감
※ 참고 문헌
김경희, “인터넷 포털의 미디어 특성에 입각한 사회적 기능및 역기능”,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김경희, “포털뉴스의 의제설정과 뉴스가치”, 한국언론학보 제52-3호, 한국언론학회, 2008
김인희김태현, “국내 인터넷 포털의 현황과 특성”, 방송통신정책, 2010
김창룡, “2009년 개정언론중재법과 초기 포털뉴스 피해조정중재분석”, 인제대학교, 2009
박영덕, “인터넷 뉴스의 기사선택과 제목편집”, 한국방송학보 제23-3호, 한국방송학회, 2009
반현, “포털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이용의 상관관계”, 한국언론학회, 2007
송경재, “포털 저널리즘의 등장과 의제설정: 의제설정 과정의 문제와 대안을 중심으로”, 2005
송현주, “포털을 통한 뉴스 유통의 새로운 모델”, 한국방송학회, 2009
안종목, “인터넷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대한 비교 연구”,언론과학연구 제7호, 한국지역언론학회, 2007
안종묵, “포털미디어의 저널리즘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양진웅, “포털사이트 뉴스섹션의 선정성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06
윤영철, “포털사이트 뉴스 편집의 선정성 문제”, 한국언론진흥재단, 2007
이동찬, “포털뉴스의 법적규제에 대한 논의”, 한국법학회, 2008
이재신, “포털중심의 뉴스 소비환경이 뉴스통신사의 역할에 미친 영향”, 언론과학연구 9권 31호, 한 국지역언론학회, 2009
이준용문태준, “포털뉴스의 대두와 다중매체 뉴스이용”, 서울대학교언론정보학과, 2007
이준웅 외, “포털뉴스의 대두와 다중매체 뉴스이용”, 한국방송학회, 2007
이창호이호영, “포털이용자들의 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한국언론정보학보, 2009
이호영 외 3인,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 원, 2008
임종수, “기능적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7
임종수, “미디어로서 포털”, 학국언론학회, 2004
정대필, “포털 미디어의 편집경향에 관한 연구”, 2007
정동훈, “포털뉴스 피해 사례및 현황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8
한국언론학회, “네이버의 포털 시장 내 구조 변화와 사회적 함의”, 한국언론학보, 2010
황용석, “정책대상으로 인터넷언론의 개념화”, 언론학회 2004
황용석, “포털뉴스와 사회갈등 담론”, 한국방송학회, 2007
200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지네딧코리아
뉴스레터 2009.12.13 닐슨코리아
랭키닷컴, 미디어스 2009,12,8일 기사
한국언론재단, 코리아 위클리 2008,8,22일 기사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트,네이버 뉴스캐스트 반사이익 2009년 12월 18일 도형래기자 미디어스
정순봉의 IT School 네이버 블로그
Daum카페/ 기살림연구소
http://penholic.egloos.com/55260
http://blog.daum.net/espoir/8125915
http://blog.naver.com/soonchoi?Redirect=Log&logNo=110023001074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61998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1217#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77495
기사 소재의 선택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뉴스가지가 적고 단순 흥미유발을 위한 소재 위주의 기사가 많다라고 응답한 수가 38명(76%)으로 가장 많았고, ①뉴스가지치가 높은 소재들을 선택하고 있다고 응답한 수가 1명(2%), ③신변잡기나 사생활 위주의 선정적인 소재의 기사가 많다라고 응답한 수가 6명(12%), ④뉴스가치가 전혀 없이 선정적이기만 한 소재의 기사가 많다라고 응답한 수가 5명(10%)의 비율을 나타냈다.
포털의 뉴스 편집이 편파적인가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그렇다고 응답한 수가 24명(48%)으로 가장 많았고, ①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수는 5명(10%), ③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수가 20명(40%), ④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1명(2%), ⑤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0명(0%)의 비율을 나타냈다.
포털뉴스의 상업적인 내용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그렇다고 응답한 수다 25명(50%)으로 가장 많았고, ①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수는 8명(16%), ③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수는 14명(28%), ④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3명(6%), ⑤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0명(0%)의 비율을 나타냈다.
포털뉴스의 선정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② 그렇다고 응답한 수다 23명(46%)으로 가장 많았고, ①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수는 7명(14%), ③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수는 16명(32%), ④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4명(8%), ⑤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수는 0명(0%)의 비율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포털의 영향력이 사회적으로 그 파장을 포털저널리즘의 전반적인 내용과 문제점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포털미디어는 이미 우리 사회전반에 기존 미디어보다 속보성,상호작용성 그리고 편리성을 장점으로 하여 그 영향력을 행사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이미 대세라고 볼 수 있을 만큼 막대하다 할 수 있다. 다만 유감스러운 부분은 이러한 포털미디어에 대하여 아직까지도 이를 언론의 범주에 넣어야 할지를 넣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중이며 이는 포털미디어의 규제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다행히 법적규제에 대한 부분에서는 포털을 언론으로 규정해 규제하는 언론중재법이 이미 2009년에 개정 시행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포털에 대해 그 사회적 책임감을 지우는 것들은 포털의 막대한 영향력과 이로 인해 나올수 있는 문제점들을 규제할 수단이 마땅히 없었던 것들을 상기한다면 일면 타당할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결국 포털미디어 혹은 포털저널리즘이 더욱 더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잊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Ⅸ. 우리 조 소감
※ 참고 문헌
김경희, “인터넷 포털의 미디어 특성에 입각한 사회적 기능및 역기능”,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김경희, “포털뉴스의 의제설정과 뉴스가치”, 한국언론학보 제52-3호, 한국언론학회, 2008
김인희김태현, “국내 인터넷 포털의 현황과 특성”, 방송통신정책, 2010
김창룡, “2009년 개정언론중재법과 초기 포털뉴스 피해조정중재분석”, 인제대학교, 2009
박영덕, “인터넷 뉴스의 기사선택과 제목편집”, 한국방송학보 제23-3호, 한국방송학회, 2009
반현, “포털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이용의 상관관계”, 한국언론학회, 2007
송경재, “포털 저널리즘의 등장과 의제설정: 의제설정 과정의 문제와 대안을 중심으로”, 2005
송현주, “포털을 통한 뉴스 유통의 새로운 모델”, 한국방송학회, 2009
안종목, “인터넷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대한 비교 연구”,언론과학연구 제7호, 한국지역언론학회, 2007
안종묵, “포털미디어의 저널리즘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양진웅, “포털사이트 뉴스섹션의 선정성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06
윤영철, “포털사이트 뉴스 편집의 선정성 문제”, 한국언론진흥재단, 2007
이동찬, “포털뉴스의 법적규제에 대한 논의”, 한국법학회, 2008
이재신, “포털중심의 뉴스 소비환경이 뉴스통신사의 역할에 미친 영향”, 언론과학연구 9권 31호, 한 국지역언론학회, 2009
이준용문태준, “포털뉴스의 대두와 다중매체 뉴스이용”, 서울대학교언론정보학과, 2007
이준웅 외, “포털뉴스의 대두와 다중매체 뉴스이용”, 한국방송학회, 2007
이창호이호영, “포털이용자들의 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한국언론정보학보, 2009
이호영 외 3인,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 원, 2008
임종수, “기능적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7
임종수, “미디어로서 포털”, 학국언론학회, 2004
정대필, “포털 미디어의 편집경향에 관한 연구”, 2007
정동훈, “포털뉴스 피해 사례및 현황 연구”, 한국언론학회, 2008
한국언론학회, “네이버의 포털 시장 내 구조 변화와 사회적 함의”, 한국언론학보, 2010
황용석, “정책대상으로 인터넷언론의 개념화”, 언론학회 2004
황용석, “포털뉴스와 사회갈등 담론”, 한국방송학회, 2007
200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지네딧코리아
뉴스레터 2009.12.13 닐슨코리아
랭키닷컴, 미디어스 2009,12,8일 기사
한국언론재단, 코리아 위클리 2008,8,22일 기사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트,네이버 뉴스캐스트 반사이익 2009년 12월 18일 도형래기자 미디어스
정순봉의 IT School 네이버 블로그
Daum카페/ 기살림연구소
http://penholic.egloos.com/55260
http://blog.daum.net/espoir/8125915
http://blog.naver.com/soonchoi?Redirect=Log&logNo=110023001074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61998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1217#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77495
키워드
추천자료
나는 신문편집 이렇게 하겠다..
정보가치 평가를 위한 접근법
텔레비전 연구
지상파 방송 산업의 문제와 대안
[신문]신문산업환경 변화, 신문시장 정상화, 신문개혁 필요성, 신문개혁과 신문개혁입법 당위...
웹 2.0의 개념 및 활용
경영조직론 포탈업에서의 구글과 네이버 조직특성및 전략비교
전자정부와_행정서비스의_제공
소비자 행동 관점에서의 싸이 월드 분석 - 성공전략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 (SK Communic...
싸이월드 경영전략
[시민미디어센터, 미디어센터, 시민미디어]시민미디어센터의 개념, 시민미디어센터의 의의, ...
신세대론,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자원봉사센터-기능, 목적, 사업현황, 발전방향 (실제 사원봉사센터 방문 보고서 포함 - 경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