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라산의 고도에 따른 식물 분포]
[한라산의 자원식물]
(1)달구지풀
(2)곰취
(3)구름떡쑥
(4)섬잔대
(5)제주황기
(6)구름체꽃
(7)사철란
(8)게박쥐나물
(9)네귀쓴풀
(10)금방망이
(11)산수국
(12)한라고들빼기
(13)타래난초
...
(19)술패랭이꽃
[한라산의 자원식물]
(1)달구지풀
(2)곰취
(3)구름떡쑥
(4)섬잔대
(5)제주황기
(6)구름체꽃
(7)사철란
(8)게박쥐나물
(9)네귀쓴풀
(10)금방망이
(11)산수국
(12)한라고들빼기
(13)타래난초
...
(19)술패랭이꽃
본문내용
다.
-두상화서, 설상화로만 구성되어 있고 열매는 가느다란 수과이며 관모는 흰색이다.
(13)타래난초
-학명은 Spiranthes sinensis
-난초과에 속한다.
-잔디밭이나 논둑에서 자란고 높이는 10∼40cm이다.
-뿌리는 짧고 약간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5∼20cm, 나비 3∼10mm이고 주맥이 들어가며 밑부분이 짧은 잎집으로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대는 줄기 하나가 곧게 서며 길이 5∼15cm이다.
-꽃은 5∼8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나선 모양으로 꼬인 수상꽃차례에 한쪽 옆으로 달린다.
-포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8mm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 4∼6mm로서 점점 좁아진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짧으며 위꽃받침잎과 함께 투구 모양을 이룬다. 입술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서 꽃받침보다 길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난다.
-씨방은 대가 없고 열매는 삭과로서 곧게 서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 6∼7mm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국·일본·중국·타이완·사할린섬·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타래난초(for. albiflora)라고 한다.
(14)돌매화나무(암매)
-학명은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돌매화나무과의 상록 반관목
-암매(岩梅)라고도 한다.
-한라산의 고지대에서 자란다.
-한 군데에서 많이 뭉쳐나고 가는 가지에 잎이 빽빽하게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은 뾰족하며 잎자루의 밑이 줄기를 약간 싸고 길이 7∼15mm, 나비 3∼5mm로 톱니는 없다.
-꽃은 지름 15mm이며 가지 끝에 백색 또는 분홍색으로 6∼7월에 1개씩 달린다. 포(苞)는 타원형으로 2∼3개가 있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밑쪽의 것은 가끔 꽃가지 가운데쪽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긴 원형이고 화관(花冠)은 백색이며 5개의 수술은 화관통부(花冠筒部) 끝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는 둥글고 지름 3mm 정도이며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3개로 갈라진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무이다.
(15)흰바늘엉겅퀴
-국화과이다.
-학명은 Cirsium rhinoceros for. albiflorum SAKATA
-바늘엉겅퀴의 변종.
-흰바늘엉겅퀴는 기본정에 비해 꽃이 약간 일찍 핀다.
(16)절굿대
-학명은 Echinops setifer
-국화과에 속한다.
-개수리취·절구대라고도 한며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1m 내외이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솜 같은 털로 덮여서 전체가 흰색이 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색이다. 또한 가장자리가 엉겅퀴같이 갈라지며 가시가 있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형이며 5∼6쌍으로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피고 남자색이며 지름 5cm 정도로서 관상화이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말리고 총포는 끝이 가시처럼 된다.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빽빽이 나고 관모는 비늘조각처럼 생긴다.
-어린 잎은 식용하고 뿌리를 부스럼에 사용한다.
-일제강점기에 퍼졌던 잔존식물로 추정된다.
(17)시로미
-학명은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시로미과의 상록관목
-암고란(岩高蘭)·조이(鳥李)라고도 한다.
-한라산 정상에서 자란다며 높이는 10∼20cm이다.
-줄기는 옆으로 벋지만 가지는 곧게 선다. 잎은 뭉쳐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5∼6mm, 너비 0.7∼0.8mm이다. 두껍고 윤이 나며 뒤로 젖혀져서 사방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흰 잔털이 나나 곧 없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거나 암수딴그루이며 6∼7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양성화 또는 잡성화이고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 조각·꽃잎·수술은 3개씩이며 수술대는 가늘고 길다. 꽃밥은 붉은빛이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 5mm 정도이고 8∼9월에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는다. 번식은 꺽꽂이·포기나누기·종자로 한다.
(18)구상나무
-학명은 Abies koreana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 교목
-높이는 18m정도까지 크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인데 노목이 되면 껍질이 거칠어
진다.
-잎은 바늘모양의 선형으로 길이 9~14mm, 나비 2.1~2.4mm 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백색이다.
-암수한몸이며, 암꽃이삭은 짙은 자줏빛이고 자라서 타원형의 솔방울이 된다.
-수꽃이삭은 타원형으로 길이 1cm정도이며 꽃은 6월경에 피고, 솔방울은 둥근 통 모양으로 녹갈색 또는 자갈색을 띠며 종자는 길이 6mm정도이다. 솔방울의 빛깔이 검은 것은 푸른구상, 검은 것을 검은구상, 붉은 것을 붉은구상이라고 한다.
-한국특산종으로 한라산의 중턱이상에 구상나무숲이 있고 무등산, 덕유산, 지리산 등지에도 분포되어 있다.
-재목은 건축, 토목, 펄프재로 이용하고, 정원수 또는 크리스마스트리로도 많이 이용됨.
(19)술패랭이꽃
-학명은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술패랭이, 장통구맥이라고도함.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고 여러 줄기가 한 포기에서 모여나는데, 자라면서 가지를 치고 털이 없으며 전체에 분백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10cm, 나비 2∼10mm의 줄 모양 바소꼴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합쳐져서 마디를 둘러싼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 피고 지름 5cm 내외이며 연한 홍자색이다. 꽃받침의 끝이 5개로 갈라진 갈래조각은 바소꼴이며 끝은 날카롭다. 꽃잎은 5개로 끝이 깊고 잘게 갈라지며 그 밑부분에 자줏빛을 띤 갈색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로 길게 나오며 암술대는 2개이고 씨방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9월에 익는다.
-높이는 30~100cm이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관상용으로도 심으며, 꽃이나 열매가 달린 식물체를 그늘에 말린 것을 이뇨제, 통경제로 쓴다.
-두상화서, 설상화로만 구성되어 있고 열매는 가느다란 수과이며 관모는 흰색이다.
(13)타래난초
-학명은 Spiranthes sinensis
-난초과에 속한다.
-잔디밭이나 논둑에서 자란고 높이는 10∼40cm이다.
-뿌리는 짧고 약간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5∼20cm, 나비 3∼10mm이고 주맥이 들어가며 밑부분이 짧은 잎집으로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대는 줄기 하나가 곧게 서며 길이 5∼15cm이다.
-꽃은 5∼8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나선 모양으로 꼬인 수상꽃차례에 한쪽 옆으로 달린다.
-포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8mm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 4∼6mm로서 점점 좁아진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짧으며 위꽃받침잎과 함께 투구 모양을 이룬다. 입술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서 꽃받침보다 길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난다.
-씨방은 대가 없고 열매는 삭과로서 곧게 서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 6∼7mm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국·일본·중국·타이완·사할린섬·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타래난초(for. albiflora)라고 한다.
(14)돌매화나무(암매)
-학명은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돌매화나무과의 상록 반관목
-암매(岩梅)라고도 한다.
-한라산의 고지대에서 자란다.
-한 군데에서 많이 뭉쳐나고 가는 가지에 잎이 빽빽하게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은 뾰족하며 잎자루의 밑이 줄기를 약간 싸고 길이 7∼15mm, 나비 3∼5mm로 톱니는 없다.
-꽃은 지름 15mm이며 가지 끝에 백색 또는 분홍색으로 6∼7월에 1개씩 달린다. 포(苞)는 타원형으로 2∼3개가 있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밑쪽의 것은 가끔 꽃가지 가운데쪽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긴 원형이고 화관(花冠)은 백색이며 5개의 수술은 화관통부(花冠筒部) 끝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는 둥글고 지름 3mm 정도이며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3개로 갈라진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무이다.
(15)흰바늘엉겅퀴
-국화과이다.
-학명은 Cirsium rhinoceros for. albiflorum SAKATA
-바늘엉겅퀴의 변종.
-흰바늘엉겅퀴는 기본정에 비해 꽃이 약간 일찍 핀다.
(16)절굿대
-학명은 Echinops setifer
-국화과에 속한다.
-개수리취·절구대라고도 한며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는 1m 내외이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솜 같은 털로 덮여서 전체가 흰색이 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색이다. 또한 가장자리가 엉겅퀴같이 갈라지며 가시가 있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형이며 5∼6쌍으로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피고 남자색이며 지름 5cm 정도로서 관상화이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말리고 총포는 끝이 가시처럼 된다.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빽빽이 나고 관모는 비늘조각처럼 생긴다.
-어린 잎은 식용하고 뿌리를 부스럼에 사용한다.
-일제강점기에 퍼졌던 잔존식물로 추정된다.
(17)시로미
-학명은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시로미과의 상록관목
-암고란(岩高蘭)·조이(鳥李)라고도 한다.
-한라산 정상에서 자란다며 높이는 10∼20cm이다.
-줄기는 옆으로 벋지만 가지는 곧게 선다. 잎은 뭉쳐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5∼6mm, 너비 0.7∼0.8mm이다. 두껍고 윤이 나며 뒤로 젖혀져서 사방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흰 잔털이 나나 곧 없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거나 암수딴그루이며 6∼7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양성화 또는 잡성화이고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 조각·꽃잎·수술은 3개씩이며 수술대는 가늘고 길다. 꽃밥은 붉은빛이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 5mm 정도이고 8∼9월에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는다. 번식은 꺽꽂이·포기나누기·종자로 한다.
(18)구상나무
-학명은 Abies koreana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 교목
-높이는 18m정도까지 크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인데 노목이 되면 껍질이 거칠어
진다.
-잎은 바늘모양의 선형으로 길이 9~14mm, 나비 2.1~2.4mm 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백색이다.
-암수한몸이며, 암꽃이삭은 짙은 자줏빛이고 자라서 타원형의 솔방울이 된다.
-수꽃이삭은 타원형으로 길이 1cm정도이며 꽃은 6월경에 피고, 솔방울은 둥근 통 모양으로 녹갈색 또는 자갈색을 띠며 종자는 길이 6mm정도이다. 솔방울의 빛깔이 검은 것은 푸른구상, 검은 것을 검은구상, 붉은 것을 붉은구상이라고 한다.
-한국특산종으로 한라산의 중턱이상에 구상나무숲이 있고 무등산, 덕유산, 지리산 등지에도 분포되어 있다.
-재목은 건축, 토목, 펄프재로 이용하고, 정원수 또는 크리스마스트리로도 많이 이용됨.
(19)술패랭이꽃
-학명은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술패랭이, 장통구맥이라고도함.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고 여러 줄기가 한 포기에서 모여나는데, 자라면서 가지를 치고 털이 없으며 전체에 분백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10cm, 나비 2∼10mm의 줄 모양 바소꼴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합쳐져서 마디를 둘러싼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 피고 지름 5cm 내외이며 연한 홍자색이다. 꽃받침의 끝이 5개로 갈라진 갈래조각은 바소꼴이며 끝은 날카롭다. 꽃잎은 5개로 끝이 깊고 잘게 갈라지며 그 밑부분에 자줏빛을 띤 갈색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로 길게 나오며 암술대는 2개이고 씨방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9월에 익는다.
-높이는 30~100cm이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관상용으로도 심으며, 꽃이나 열매가 달린 식물체를 그늘에 말린 것을 이뇨제, 통경제로 쓴다.
추천자료
나비의 종류와 특성에 관한 보고서
설악산 산행 계획서
[과외]고등 일반사회 1학기 기말 예상문제 03
[초지학]질소순환에서 두과목초의 역할에 대하여
[질소고정][질소고정 개념][질소고정 중요성][질소고정하는 공생 미생물][질소고정하는 단생 ...
[소나무][소나무의 개념][소나무의 특성][소나무의 종류][소나무의 세대교대][소나무에 관련...
[생태][생물생태][동물생태]멧돼지의 생태,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생태, 사슴의 생태, 명태의 ...
[천연기념물]우리나라&천연기념물&정의와 종류&천연기념물에 관한 분석한 레포트
포도의 재배와 관리
변성전분과 기능성당- 한글 7차
꼬리조팝나무
[숲과 삶 B형]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 방법에 대...
황사 (黃砂)
주요조림수종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