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중국의성장이한국에미치는영향과대처방안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거대중국의성장이한국에미치는영향과대처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Ⅱ. WTO가입이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1. 거시경제적 영향
2. 산업별 영향
Ⅲ. 중국의 국제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조치
1. 직접적 조치
Ⅳ. 중국기업의 대외수출 현황과 구조
1. 대외수출 현황과 추이
2. 대외수출 구조
V. 한·중 산업협력 방안과 정책시사점
Ⅵ.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추이와 특징
1. 해외직접투자의 추이
2. 해외직접투자의 특징
Ⅶ. 결 론

본문내용

, 신발류 등의 노동집약적인 상품 중심에서 기전제품 등의 자본 및 기술집약적 제품으로 빠르게 다양화 및 고도화 되어가고 있다. 한편 해외투자의 경우는 아직 규모면에서 개발도상국의 평균 수준에도 못미치는 214만 달러에 불과하고, 국유기업 증심으로 일부지역에 진출해 있지만, 90년대이후 투자지역과 규모면에서 확대되고 있을 뿐 아니라 투자구조 및 형식도 다원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중국기업의 이러한 국제시장 진출 추세는 현재 중국의 산업구조가 빠르게 고도화 되어가고 있고, 또한 국제경제 환경이 급속하게 개방화 되어가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 더욱 가속화 될 것이 분명하다. 특히 중국이 WTO에 가입된 후에는 그 동안 국제시장 진출에 장애가 되어왔던 보호장벽의 개선과 회원국 상호간에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최혜국대우를 자동적으로 부여받게 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에서 국제시장 진출 확대가 이루어 질 것이다.
중국기업의 국제화 진출 확대는 국제시장에서 경쟁을 심화시켜 적지 않은 국가들에게 영향을 가하게 될 것이다. 특히 중국기업의 국제시장 진출이 선진국 시장은 물론 남미지역이나 아프라카 신흥시장까지 빠른속도로 진출하고 있는데, 이는 그 동안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국가들은 물론 중국보다 산업발전 단계가 높고 선진국 보다는 낮은 중간정도의 기술 및 자본집약적 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한국을 포함한 신흥공업국가군(NIEs)에 속하는 국가들에게도 경쟁력 유지와 신흥시장 개척에 적지 않은 부담을 가져다 줄 것이다.
실제로 한국의 경우 이미 선진국시장에서 중국에게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다. 예컨대 한국의 전통적인 수출시장인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에서 중국의 가죽제품, 신발류, 잡제품 등 저가의 공산품이 한국보다 시장점유율을 앞지르고 있을 뿐만 아나라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기계류 및 전기기기 등에서도 계속 개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1998년말 현재 중국의 대표적 노동집약적 제품인 가죽제품, 신발류, 잡제품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각각 3.22%, 5.55%, 7.33%이나, 한국의 이들제품 미국시장 점유율은 불과 1.30%, 1.86%, 1.06%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한국의 주력수출품인 기계류 및 전기기기의 비교우위지수는 한국이 1.770, 중국이 0.931를 나타내 한국이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이들 제품을 포함한 자본 및 기술집약적 제품의 비교우위지수가 계속 개선되고 잇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全載旭, 崔義炫, "미국시장에서 韓·中경쟁관계 분석," 『세계경제」(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제2권6호(통권9호), 1999년, pp.47-57참조.
이는 현단계 중국의 산업고도화 수준으로 볼 때 앞으로 한국의 시장점유율을 잠식할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원이 부족하고 경제발전을 국제시장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중국의 국제시장 진출의 특징과 추세는 물론 중국의 제품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강구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김병호, `중국 서부대개발의 정치·경제적 의의`, 『평화연구』, 제 9 호 (2000).
2). 김정균, `위협과 기회의 한·중 경제`, 『경영계』, 제278호 (2001).
3). 김주수, `WTO가입 앞두고 경제체제 변화 가속`, 『수은해외경제』, 2001년 2월호.`서부 대개발 추진으로 균형발전 도모`, 『수은해외경제』, 2001년 5월호.
4). 김종현, `지방분권의 전개와 그 영향`, 『중국학연구』, 제 18집 (2000).
5). 박병관, `개혁시기 중국의 지역발전불균형 :지역간 경제격차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제 23권 (1999).
6). 박상수, `중국의 제 9 기 전인대 3차회의에 대한 평가`, 『세계경제』,2000년 4월호.
7). 박인성, `중국 서부개발 정책의 배경과 동향`, 『국토』, 2001년 2월호.
8). 한내희, `중국의 WTO가입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무역구제논단』, 제4호 (2001).
9). 홍성범, `중국의 서부대개발과 기술혁신전략`, 『과학기술정책』, 2000년 7/8호.
10). 이영조 ·박정자, `중국의 지역개발정책이 지역균등화에 미친 영항분석`,『한국행정논집』, 제 2 권 제 3 호 (2000).
11). 장연생, `중국 중서부지역의 외자이용 전망과 외국기업의 참여방식`, 『중국의 서부 개발전략과 한국기업의 진출가능성』, 대회정책연구원·중국거시경제연 구원, (2000).
12). 이진영, `중국서부지역개발과 민족문제`, 『현대사회연구』, 제 8 집 (2000).
13). 김익수, `중국의 WTO 가입이 동아시아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정책연구 (1999).
14). 대우경제연구소, `중국 WTO 가입전망과 영향 분석`, 통권 99-D-05, (1999).
15). 배수룡,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성과와 주요 경제현안`, 한국은행 조사국업무참고 자료, (1999)
16). 산업연구원, `중국의 WTO 가입전망과 우리의 대응방안`, 정책자문자료 (1999).
17). 김태만 『장쩌민과 신중국 건설의 청사진』, 동방미디어, 1998.
18). 박두복 외, 『중국의 정치와 경제』, 집문당, 1993.
19). 박병석, 『중화제국의 재건과 해체』, 교문사, 1999.
20). 신태용, 『중국의 서부지역 투자환경 및 진출방안』, 산업연구원, 2001.
21). 임반석, 『중국경제 : 두 가지 기적과 딜레마』, 도서출판 해남, 1999.
22). 정명기, 『중국경제론』, 한남대학교 출판부, 1999.
23). 중국학회 편,『중국의 개혁』, 21세기북스, 1999.
24). 황의각, 『중국의 지역경제』, 삼영사, 1998.
25). 이남구, 『세계지역경제』, 무역경영사, 2001.
26). 『중국경제건설의 전략과 계획』국토개발연구원, 1988.
27). 『중국의 제9차 5개계획 및 2010년까지의 장기발전계획』,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5.
28). 『중국 서부 대개발과 우리 기업의 진출방향 』, 수출입은행, 2001. 논문 및 연구보고서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5.03.06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