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및 지상파DMB 추진동향과 시사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 및 지상파DMB 추진동향과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위성 및 지상파DMB 추진동향과 시사점

한국 DMB가 `황금알 표준`

본문내용

ㆍ방송 융합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그 파급효과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만일 유럽, 중국, 동남아 등의 여러 국가에서 지상파DMB를 채택할 경우, 국내에서 관련 장비 일체를 턴키로 수출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ETRI가 지난해 하반기에 작성한 `방송 통신 융합을 주도하는 DMB 서비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까지 6년간 14조7000억원 규모의 국민경제 파급효과를 내는 동시에 같은 기간동안 16만3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상파DMB 이용자는 2010년까지 연평균 70%씩 빠르게 증가해 모두 851만명의 이용자 확보 및 연간 1056억원의 광고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ETRI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해 말부터 해외진출 가능성이 엿보이면서 수출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업유발 효과액은 지난해 전망치 보다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단말ㆍ시스템사업자들도 단말기를 포함, 관련 제품의 수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지난달 14일부터 프랑스 칸에서 열린 3세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3GSM세계회의'에서 삼성전자의 한 임원은 "유럽에서 한국 DMB가 채택될 경우 단말기 판매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DMB가 현재 휴대전화 시장 2위인 모토로라를 꺾을 수 있는 `신무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두 회사는 또 이 전시회에서 DMB 단말기를 일제히 출시했으며 특히 삼성전자는 유럽형 휴대방송(DVB―H) 단말기까지 출시해 노키아를 긴장시키기도 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3.06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