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론 기술적 분석의 종류 조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자론 기술적 분석의 종류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술적 분석의 기본개념

기술적 분석의 종류

기타 기술적 분석의 종류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 시스템 트레이딩

본문내용

평균선 ADR = 최근 20일간 ADR합계 / 20
ADR은 대개 100%를 기준으로 해서 75%이하이면 안전지대로 매입시점이면, 125% 이상이면 경계지대로 매도시점으로 판단한다.
5. 스윙차트 (swing chart)
스윙차트는 주가의 등락을 직선의 굴정형태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작성방법은 P&F차트를 작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나, 차이점은 P&F차트에서는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 으로 표시하고 스윙차트는 직선을 이어 나타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을 무시하고 오로지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만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P&F차트의 원리와 유사하나 P&F차트보다 간단하다. P&F차트에서는 주가의 상승과 하락의 폭을 미리 정하여야 하지만 스윙차트에서는 한간의 크기를 정할 필요가 없다. 스윙차트는 주가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6. 삼선전환도
삼선전환도는 주가의 추세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발된 기법으로서 주가의 상승은 흰색(양선)으로 표시하고, 주가의 하라가은 검은색(음선)으로 표시한다. 삼선전환도는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로, 혹은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하는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트기법이다. 주가의 상승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지속적으로 양선을 그려나가다가 주가가 하락하여 직선의 양선을 세 개 이상 돌파한다면 음선을 그리기 시작한다. 반대로 음선을 그려 나가다가, 직선의 음선을 세 개 이상 돌파하는 상승움직임이 나타난다면 양선을 그리기 시작한다. 주가는 종종 하락할 수도 있고 상승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직선의 양선이나 음선을 3개 이상 무너뜨릴 정도가 아니라면 일시적인 조정으로 간주될 뿐이지 아직 추세가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전의 양선이나 음선을 세 개 이상 무너뜨렸다면 최근 주가의 반전움직임은 추세를 바꿀 정도로 강력해 졌고, 이제 그간의 추세는 끝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기에 삼선전환도에서는 양선이 그려지는 순간을 매수신호로 인식하여, 음선이 그려지는 순간을 매도신호로 인식한다. 삼선전환도의 장점은 그림을 그리기가 간단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양선, 음선이 나타날 때마다 매수·매도를 번갈아 하면 되므로 기계적인 거래도 가능하다. 또한 하루 이틀 약간의 조정을 보이는 것을 무시되기에 주가가 소폭, 단기간의 조정을 보일 때 초조하게 생각하여 섣불리 팔아버리는 위험도 막을 수 있다. 단 매수, 매도 신호가 늦게 나타난다는 점이 단점이다.
7. 스토캐스틱 (stochastics)
스토케스틱 기법은 현재의 주가수준을 측정하여 미래의 추세를 예측하는 기법이다. 스토캐스틱에 사용되는 지표는 기본적K, %K, %D 등 세 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 기본적 K는 중심이 되는 지표로서 단순히 최근일 동안의 주가변동폭과 당일종가와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계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 K =
{당일종가 - 최근 n일 동안의 최저가} over {최근 n일 동안의 최고가 - 최근 n일 동안의 최저가}
100
기본적 K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기간 설정은 분석자의 합리적인 판단과 경험을 통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기본적 K는 그 변동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현재의 주가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3일간의 기본적 K를 지수이동평균한 %K, %D를 실전분석에 주로 이용한다.
%K = 기본적 K를 지수이동평균한 값
%D = %K를 지수이동평균한 값
%K선과 %D선을 이용한 매매투자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일반적으로 %K선이 70%이상을 나타내면 상승추세라 말하며 30% 이하의 값을 나타내면 하락추세라 말한다. 특히 %D선이 80%이상일 경우 과매입 상태가 되어 과열권에 진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매수는 위험하며, %D선이 20%이하일 경우 과매도 상태가 되어 침체권에 진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매도는 자제하여야 한다.
<그림 - 스토케스틱>
② %K선과 %D선이 교차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K선이 %D선을 하향 돌파하는 순간을 매도신호로 인식하고 %K선이 %D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입신호로 인식한다. 하지만 이러한 매매투자전략은 %K선 값이 어느 수준이상일 경우에만 거래신호로 인식하여야 한다.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 시스템 트레이딩
최근 고성능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과 확산으로 과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기술적 기법들은 자동으로 처리되어 이동평균선과 스토캐스틱 지표 등을 프로그램화하여 시장에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시스템 트레이딩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술적분석의 지표들을 프로그램화 하고 일정한 규칙을 정한 후 그 프로그램의 지시대로 기계적으로 매매하는 방법을 말한다. 시스템 트레이딩의 기원은 2차 대전에서 독일군의 폭격지점을 예측하기 위하여 미군이 예전의 폭격지점을 지수평균화하면서 쓰였던 이동평균 방법이 전쟁 이후에 Donchian에 의해서 2중 또는 3중의 이동평균 교차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Richard Dennis의 프로그래머였던 Eckhardt에 의해 컴퓨터를 이용한 트레이딩 시스템으로 전환되면서 비로소 현대적인 시스템 트레이딩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기술적 분석에 의하여 증권투자를 하는 경우 많은 투자자들은 개인의 감정에 따라 동일한 분석결과도 상이하게 해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분석의 단점을 컴퓨터가 알아서 매매 해주는 첨단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시스템 트레이딩이다.
이처럼 시스템 트레이딩은 투자를 손실로 이끄는 인간의 감정을 배제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거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상당한 수익이 증명된 논리를 프로그램화하므로 투자결과를 어느 정도 자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과거의 자료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미래의 상황이 반드시 과거와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시스템 트레이딩은 실패로 끝나게 된다. 즉 주가의 움직임이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나타날 때 시스템 트레이딩은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투자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많다.
<참고문헌>
증권투자의 이해 이의경 저 신론사 2000년
증권투자의 이해 곽철효, 정정현, 정기식 공저 도서출판 대명 2001년
현대증권 시장론 허화 저 삼명사 2002년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4.1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