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친화적 리모델링기술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2. SI의 이론적 고찰
2.1 SI의 개념 및 정의
2.2 S(Skeleton)과 I(Infill)의 구분 기준

3. 환경친화 건축과 SI의 상관관계
3.1 건축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3.2 기존건축시스템과 순환형 건축시스템
3.3 자원순환형건축 기술

4. SI 주택의 특징사례
4.1 Skeleton으로 부터의 관점
4.2 Infill의 특징
4.3 리모델링이 용이한 SI주택 설계기준

5. 결

참고문헌

본문내용

필요하다.
그러나 물리적인 내구성만으로서는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것은 이미 우리가 보아왔으며, 인필의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는 skeleton의 Capacity가 중요한 것이다.
공용공간의 여유도 건설후에는 가공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며, 계획당시부터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0년간을 지속하는 건축물이기 위해서는 그만한 가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가로를 배려하며, 오래동안 지속될 수 있는 design을 갖고, 거리의 infra-structure로서 지역에 주어진기능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100년이라는 긴 시간축에서 건축물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유지관리와 건축물의 가변성을 유효하게 기능하기위한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하드웨어적인 시스템의 계획과 이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체제와 정보, 그리고 룰을 정비하고 이를 받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4.3.1 skeleton주택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
앞서의 skeleton주택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전제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Skeleton과 Infill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한다.
건축물의 주요부위를 명확하게 구분한다면 다음과 같다
○ I : 장기에 걸쳐 존속하는 부분(기초, 기둥 및 내력벽등)
○ II :보수·갱신이 필요한 공용의 부분 (예: 외벽마무리, 공용설비 등)
○ Ⅲ : 일정한 rule에 따라서 개인의 의사로 변경이 가능한 부분
(예: 창문 sash, 현관문등)
○ Ⅳ : skeleton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인의 의사로 변경이 가능한 부분
(예: 주호내부의 내장, 설비등)
한편 설비의 경우에는 공용의 배관·배선, meter box를 주호내부에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배관·배선을 skeleton(I)에 묻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skeleton(I)의 기본성능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대규모의 보수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100년간(마감 등의 처리를 통한 구체보호방식도 포함)의 사용에 견디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차음성능, 단열성능등의 확보를 위해 필요한 skeleton의 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住戶의 가변성을 위해 skeleton의 capacity를 확보한다.
skeleton면적은 Infill의 다양성 및 가변성을 방해하지 않은 충분한 넓이로 하는 것이며, skeleton면적이란, 구조구체의 벽등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을 말한다.
한편 skeleton천장고는 Infill의 다양성, 가변성을 방해하지 않는 충분한 높이로 해야 하는데 여기에서 skeleton천장고란, 구조구체의 슬라브위에서 천장조립기준면 아래 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그리고 외벽의 경우 Infill의 다양성, 가변성을 방해하지 않은 정도에 외기에 접하는 외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공용공간의 여유 확보를 통해 사회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공용공간이 장래의 사회변화에 대하여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여유, 풍부함을 갖아야 하는데, 공용의 복도·계단폭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이동경로에 barrier free가 설계시 반영되어야 하며 설비배관의 space, 전기용량등의 설비용량에 여유를 갖도록 한다. 미래의 거리 형성을 배려하여, 장래의 거리의 변화속에서도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건축 design을 도모한다.
예를 들면 녹화된 외벽 또는 공간을 확보하고 지역에 개방된 공용광장등을 갖는다. 한편 집회소, 보건소, 커뮤니티 center등의 지역시설과의 복합화를 꾀한다
넷째, 유지관리, 보수·교환이 용이하여야 한다.
설비나 배관·배선의 maintenance용의 점검구가 마련되어야 하며, 보수공사시에 발판이 굳이 필요하지 않은 구조로 한다. 그리고 유지관리등이 적절히 행하여지는 체제·기구를 준비하므로서 건축허가 도면, 그 밖의 건물의 현황을 알 수 있는 서류·정보가 축적, 정비되어 있어여 한다. 장기수선계획, Infill 설계의 rule등도 관리규약등으로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4.3.2 Skeleton주택의 특징
결국 skeleton주택에서는, skeleton과 Infill이 구분된다. 이것은 물리적, 공간적으로 구분되는 것은 물론이며, 동시에 소유권리관계나 유지관리, 변경등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주체, 비용부담에 관해서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skeleton은 고내구성과 Infill의 다양성, 가변성을 확보하는 capicity가 요구되며, 주거 요구에 대응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 집합주택과의 상이점 가운데 skeleton주택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는 skeleton주택의 특징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① skeleton(建物軀體)은 장수명화를 지향한다
② Infill(내장 간막이등)의 자유도나 가변성을 높이는 기구를 갖고 있다.
③ skeleton과 Infill의 설계·시공에 관해서 건축공사의 구분이 명확하여야 한다
④ skeleton과 Infill의 소유·재산적 구분이 명확하여야 한다.
⑤ 건물의 사용·관리에 관한 주체의 구분이 명확하여야 한다.
5. 결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위기의식이 전세계적인 이슈로 등장하고 있으며, 건축산업에서도 자원의 재활용, 공해요인의 절감, 자연과의 공생, 에너지 절약등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지금까지의 신축및 철거의 시대에서 신축 및 유지관리의 시대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건축물을 유용하게 관리하는 건축물의 리모델링은 현재 당면한 우리의 과업이라 할 수 있다. 리모델링은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 외에도 사회상황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기능과 질적향상에 대응하고 에너지절약을 도모하기위한 적극적인 행위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보전형 주택시스템 개발, 건설교통부, 1995.12.
2. 김수암, 지속가능한 건축과 자원절약요소로서 장수명화, 건축, 1998.9, PP19-24.
3. 김수암, 환경친화적 건축의 계획과 설계, 건축, 1997.12, PP28-35
4 김수암, 자원절약 및 자원순환형 건축, 건설기술정보, 2000. 11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3.1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