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콜 중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알콜의 흡수

2.흡수관련 요인

3.알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실패이다. 따라서 환자에게 강한 불쾌감이 생기면 이러한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거나 이러한 감정의 원인을 알아 극복하게 만들어야 한다.
알코올 중독자는 음주문제가 생기기 전부터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성취하는데 실패하였고, 술을 마시지 않는 친구는 없으며,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는 손상을 입었거나 상실되어 있는 등 주변에 자신을 이해하고 격려해 주는 사람이 없어진다. 적절한 사회적 지지는 알코올 중독의 재발을 방지하므로, 사회적 지지체계를 새롭게 조직해 두어야 한다
4. 재발 방지
알코올 중독자가 되기까지는 수십여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듯이, 알코올 중독에서 회복되는 데에도 최소한 1년이상, 흔하게는 수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환자에 대해서도 실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성급한 기대는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 중독 환자의 입원치료 후 자연경과를 보면, 1/3 정도는 어느 정도 금주에 성공을 하게되고, 1/3 정도는 수주 내지 수개월간 금주하다가 다시 마시기 시작하며, 1/3정도는 퇴원하는 날부터 다시 마시기 시작한다고 한다. 환자가 술을 끊는 생활에 익숙하려면 적어도 9 - 15개월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재발은 금주생활의 첫 15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따라서 병원에서 퇴원한다고 하여 치료가 끝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절대 아니고 재발방지를 위한 재가관리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지속적으로 술을 끊으려면 적어도 2 - 3년 동안 재발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석해야한다.
재발을 유발하는 흔한 의험요인들로는 분노, 외로움, 우울감, 불안, 초조 등의 부정적인 감정상태, 부부간의 갈등과 같은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술 권하는 동료나 잦은 회식참석 등의 사회적인 압력, 그리고 배고픔이나 목마름 같은 생리적인 현상들이 있다.
5 술에 관하여
1. 숙취 해소법 : 효과적인 숙취해소는 알콜 중독의 하나의 예방 편이 될 수 있다.
1) 위장속의 알코올 찌꺼기를 토해내고 위장약을 복용한다.
동의보감 : 술이 지나치면 토해 버리는 것이 상책이다.
2) 따뜻한물에 꿀이나 차를 진하게 타서 마신다.
갈증해소, 탈수현상예방
3.) 잘익은 홍시를 먹는다.
감의성분 : 알코올 흡수지연, 위벽보호, 알코올 대사촉진, 이뇨효과
4) 따뜻한물에 샤워를한다.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알코올 대사촉진
5) 몸이 흥건히 젖을 정도로 운동(격렬하지 않는)을한후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여 준다. 노폐물제거, 알코올 대사촉진
6) 지압을한다.
2. 술과 관계되는 문제들
1) 범죄
알코올 중독이 대부분의 범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가정내 폭력, 특히 아내학대, 어린이학대, 폭력사고, 성범죄는 모두 음주와 관련이 크다.
이것은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통합되지 않은 인격의 일면이 상습적 범죄자와 알코올 중독자 양자의 공통된 특징이며, 음주 시에는 성적, 공격적 충동을 해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음주는 여러 사고의 원인이 된다.
2) 교통사고
현재사회에서 차량 증가와 비례해서 알코올 중독자의 차량사고의 위험은 여러 가지 중대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음주 시에 판단력장애, 반응시간의 지연, 반응의 부적합 등에 의해서 차량사고 위험이 증가 하는 것이다. 음주자중 자동차 사고로 죽은 사람의 대부분은 혈중 알코올 농도가 0.1%이상이다.
혈중 농도가 80mg/100ml에서는 어둠에서 적응 장애가 나타나며 다른 차의 통과에 대한 판단력 저하, 주위 식별의 저하, 감각자극의 저하, 장시간 운전시의 주의력 감퇴 등이 나타난다. 혈중 농도가 100mg/100ml에서는 음주를 안 할 때보다 사고 가능성이 10배 가량 증가된다.
3) 자살
알코올 중독자에서 자살은 다른 파괴적 행동과 같이 많이 일어나며 2-4%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대부분 만성 중독에 따른 우울증이 원인이며 수주간의 과음 후 자살을 기도하기도 하고, 음주 중에 다른 사람(주로 가족)에게 분노나 공격심을 터뜨린 후 자살을 기도하기도 한다.
용어 - 병적인 음주
1. 분류
음주에는 사회적 또는 사교적으로 하는 정상적인 음주와 병적인 음주가 있다. 알코올 중독의 진단은 각 문화권 및 정치적 배경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치료원칙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1) 알코올 사용 장애 (Alcohol use disorders)
① 알코올 남용 Alcohol abuse
알코올 의존 Alcohol dependence
(2) 알코올 유발성 장애 (Alcohol induced disorders)
ⓐ 알코올 중독 Alcohol intoxication
ⓑ 알코올 금단 Alcohol withdrawal
ⓒ 알코올 중독 섬망 Alcohol intoxication delirium
ⓓ 알코올 금단 섬망 Alcohol withdrawal delirium
ⓔ 알코올 유발성 지속적 치매 Alcohol-induced persisting dementia
ⓕ 알코올 유발성 지속적 기억상실 장애 Alcohol-induced persisting amnestic disorder
ⓖ 알코올 유발성 정신증적 장애, 동반된 망상 Alcohol-induced psychotic disorder, with delusions
ⓗ 알코올 유발성 정신증적 장애, 동반된 환각 Alcohol-induced psychotic disorder, with hallucinations
ⓘ 알코올 유발성 기분 장애 Alcohol-induced mood disorder
ⓙ 알코올 유발성 불안 장애 Alcohol-induced anxiety disorder
ⓚ 알코올 유발성 성기능 장애 Alcohol-induced sexual dysfunction
ⓛ 알코을 유발성 수면 장애 Alcohol-induced sleep disorder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알코올 관련 장애 Alcohol-related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참고자료
http://www.neuropsychiatry.co.kr/
http://www.alhappylife.or.kr/happy2_3.htm
http://godislove.net/jesus0691/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3.1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