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의 범주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의 범주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구비문학 개관
(1) 구비문학의 연구 대상과 분류
(2) 신화, 전설, 민담의 일반적 차이

II. 본론
1. 설화란
(1) 설화의 개념
(2) 설화의 일반적 특징
신화
1) 신화의 개념
2) 신화의 성질
3) 신화의 기능
4) 한국의 신화
전설
1) 전설의 개념
2) 전설의 특징
3) 전설의 역사
4) 전설의 구조
민담
1) 민담의 개념
2) 민담의 특징
3) 민담의 기능
4) 민담의 구조

본문내용

옛적에'하면 그 다음 '어떤 곳에 어떤 사람이 살고 있었다.'고 하여 사건의 장소가 이야기되는데 이것 역시 현재 이야기하고 있는 곳이 아닌 다른 곳임을 나타낼 뿐 구체적인 장소를 제시하지 않는다. 이처럼 민담의 서두에 나오는 시간과 장소는 이야기하고 있는 현재가 아닌, 과거의 어느 곳에 있었던 일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낼 뿐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증거물을 제시하지도 않는다. 이것은 전설이 역사적 사건에 집착하여 사실성과 진실성을 보장받으려 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셋째: 민담의 주인공들은 신화의 주인공처럼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도 아니고, 전설의 주인공처럼 예기치 않던 사태에 직면하여 왜소해지지도 않는다. 민담의 주인공들은 대개 일상적인 인간인데, 어떠한 난관에 부딪혀도 이를 극복하고 운명을 개척한다.
넷쩨: 민담은 신화나 전설처럼 신성성이나 진실성이 문제되지 않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흥미본위의 사교적 교환 물로 꾸며지기 때문에 우리 조상들의 꿈과 낭만, 교훈, 역경을 이겨내는 지혜 등을 지닌 문학적 한 형태이다.
(3) 민담의 기능
1. 민담은 수용자에게 즐거움을 준다. - 민담은 흥미 위주의 이야기 이기 때문에 이야기하는 화자나 이야기를 듣는 청자가 함께 웃으며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2. 민담은 수용자에게 즐거움과 함께 삶의 교훈을 제공해 준다. - 민담은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교훈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민담 중에는 교훈적 의미를 찾기 어려운 짤막한 이야기나 우스갯 이야기도 있지만, 대부분의 이야기 중에는 꿈과 낭만 생활 속에서 얻은 생활의 지혜나 교훈, 역경을 이겨내는 힘과 용기, 심념 등이 용해되어 있다. 그래서 수용자들은 민담을 통해 충, 효, 우애, 신의 등의 윤리적인 교훈을 얻을 수 있고, 인생이 무엇이며,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배우게 된다.
3. 민담은 수용자들에게 현실로부터의 해방감을 맛보게 해 주고, 보상적 만족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 민담 속에는 현실과는 달리 어떠한 고난이나 결핍 상황도 극복되고, 선과 악의 대립에서는 반듯이 선이 승리하며,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대결에서는 피지배자가 승리하며, 스스로 노력하는 자에게 반드시 하늘의 도움이 따른다. 민담의 수용자들은 이러한 민담을 통해 현실로부터 해방감과 소원충족의 자족감을 맛보는 한편, 어려운 현실에 처한 자신의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면서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게 된다.
4. 민담은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해 준다. - 민담은 구연을 통해 전달 되는 경우가 많은데, 구연은 화자와 청자의 대면이 필수적이다. 민담은 대면을 통한 전달 과정, 그 과정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의식의 교감을 통하여 화자와 청자의 인간관계를 따뜻하고 깊게 해준다. 특히 어린이는 가족들과 교감을 통해서 따뜻한 사랑과 훈훈한 인정을 체감하게 된다.
5. 민담은 상상력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민담의 수용자는 이를 통하여 상상력과 문학적인 형상력을 기를 수 있다. - 민담은 시간과 장소, 증거물 등의 제약 없이 흥미 본위로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펴서 구성한 것이므로, 민담의 수용자는 이를 즐기는 가운데 교훈적 의미를 깨닫고, 현실로부터 해방감과 보상적 만족을 느끼는 한편, 상상력과 문학적 형상력을 기를 수 있게 된다.
(4) 민담의 구조
구조란 전체 안에서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맺고 있는 내적인 관계를 말한다. 구조 안에서 각 부분, 즉 구성 요소들은 그 자체의 내적인 법칙에 의해 운용되며, 그 자체가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떤 틀을 넘어설 수 없는 구속력을 가지고 있다.
민담의 구조는 민담 외적인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민담의 내적 일관성에 근거한다. 또 그것은 스스로 변형하는 힘을 갖는데, 이는 민담의 구조가 여러 개의 변이를 지닌 가능성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민담의 구조는 민담이 민담의 고유한 특성을 넘어서는 것을 스스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參考 文獻
李鍾出 외 다수 공저, < 국문학개론 >, 서울:敎學硏究社,2002
조동일 외 6인 공저, < 한국문학강의 >, 서울:길벗,2002
崔東元 외 10인 공저, < 한국문학개론 >, 서울:삼영사,1986
張德順 저, < 한국설화문학연구 >, 서울:박이정출판사,1995
민속학회 편, < 한국민속학의 이해 >, 서울:민속아카데미,1994
한국문학편찬위원회 편, < 한국문학개설 >, 서울:형설출판사,1990
안진태, < 신화학 강의 >, 서울:열린책들,2001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3.14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