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4. 발표를 마치며
우선 설화와 전래동화의 장르적 경계선을 설명함에 있어 아기장수 전설을 고른 이유는 아기장수 전설이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어 지는 전설이기에 우리의 정서와 옛이야기의 특성을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아기장수 전설은 친자 살해를 다루고 있기에 동화로 만들기에는 알맞지 않은 소재이며, 그런 소재임에도 여러 작가들이 동화로 다시 쓴 점이 이유이다. 전래동화로서의 아기장수 이야기와 구비전설로서의 아기장수 설화의 공통점은 어머니가 아들의 죽음에 치명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전래 동화에서 어머니의 끔찍스런 면모는 많이 순화되었다. 이청준의 <아기장수의 꿈>에서는 어머니가 남편과 더불어 아들의 날개를 자르고 죽게 만들지만 그것은 멸문에 대한 두려움이나 재물에 대한 욕심 때문은 아니다. 아들과 평범하게 살고 싶었기 때문이다. 또한 송언의 <아기장수 우뚜리>에서도 어머니의 잘못이 아닌 관군의 횡포를 아기장수의 사인으로 삼고 있다.
아이들을 주 독자 계층으로 하고 있는 전래 동화는 구전설화를 어린이와 그 주변 어른들의 정서에 맞도록 변형되고 순화되어 그려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환희 지음, 《옛이야기의 발견》, 우리교육
4. 발표를 마치며
우선 설화와 전래동화의 장르적 경계선을 설명함에 있어 아기장수 전설을 고른 이유는 아기장수 전설이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어 지는 전설이기에 우리의 정서와 옛이야기의 특성을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아기장수 전설은 친자 살해를 다루고 있기에 동화로 만들기에는 알맞지 않은 소재이며, 그런 소재임에도 여러 작가들이 동화로 다시 쓴 점이 이유이다. 전래동화로서의 아기장수 이야기와 구비전설로서의 아기장수 설화의 공통점은 어머니가 아들의 죽음에 치명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전래 동화에서 어머니의 끔찍스런 면모는 많이 순화되었다. 이청준의 <아기장수의 꿈>에서는 어머니가 남편과 더불어 아들의 날개를 자르고 죽게 만들지만 그것은 멸문에 대한 두려움이나 재물에 대한 욕심 때문은 아니다. 아들과 평범하게 살고 싶었기 때문이다. 또한 송언의 <아기장수 우뚜리>에서도 어머니의 잘못이 아닌 관군의 횡포를 아기장수의 사인으로 삼고 있다.
아이들을 주 독자 계층으로 하고 있는 전래 동화는 구전설화를 어린이와 그 주변 어른들의 정서에 맞도록 변형되고 순화되어 그려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환희 지음, 《옛이야기의 발견》, 우리교육
추천자료
한국인의 통과의례(일생의례)
동서양 고전 정리
동서양의 고전에 관한 연구
삼국유사를 읽고난 후 감상문
풍수적 관점에서 살기 좋은 땅이란?
신라향가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분석
[문학과영상] 흡혈의 계보학-드라큘라 (문학 및 영상적 관점에서 접근)
문화의 용어정리완성
고전문학 수업 ppt 자료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대만어][대만어의 특징][대만어의 보통화][대만어의 표기법][TLPA][대만어의 백화음]대만어...
2009년 동계계절시험 동서양고전 시험범위 핵심체크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신화 (신화에 대한 이해, 유아들이 신화에 흥미를 갖는 이유, ...
교과교육론=누리과정의 생활주제 중 만5세를 대상으로 ‘우리나라’에 관한 월간교육계획안(1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