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영상] 흡혈의 계보학-드라큘라 (문학 및 영상적 관점에서 접근)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과영상] 흡혈의 계보학-드라큘라 (문학 및 영상적 관점에서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흡혈의 원형 분석
1>흡혈의 신화적 원형
1. 바빌로니아 신화의 릴리트(Lilith)
2. 중국의 강시
3. 그리스 신화의 흡혈귀
4. 성서에 나타난 흡혈 모티브
5. 중세 유럽의 흡혈귀
6. 러시아의 브리콜라카스(Vrykolakas)
7. 루마니아의 스트리고이(Strigoi)
8. 뱀파이어(Vampire)
2>뱀파이어의 역사적 원형
1. 블라드 테페스 드라큘라 공
2. 에르체베트 바토리 여백작
3. 프랑스의 질 드 레 공

Ⅱ.흡혈의 코드분석
1> 피-“피는 생명이다”
2> 성적 코드
3> 영생-전염 “내 생명은 당신 안에 있다.”

Ⅲ.텍스트의 분석
1>브람스토커의 드라큘라
1. 형식상 특징
2. 작품에 나타나는 드라큘라의 모습
3. 여성의 관능 - 억압된 성적 욕망
4. 광기의 모티브 - 생명에 대한 갈망
2>앤 라이스의 뱀파이어 연대기
1. 뱀파이어의 외형적 특징
2. 규칙
3. 흡혈 행위의 에로티시즘
4. 뱀파이어 천적설의 부정
5. 천적(죽음)
6. 뱀파이어의 변신(부활)

Ⅳ.영화의 분석
1> 판타스틱 공포 미학을 발생시키는 전형적 코드들
1. 피
2. 경계선
3. 거울
4. 거울의 나르시스 코드
5. 변신
2> 흡혈귀 테마의 계보
3> 뱀파이어 영화 속의 바로크적 특성

Ⅴ.결론
1> 타나토스와 에로스의 결합으로서의 드라큘라 (심리적 측면)
2> 근대 로맨스의 등장(사회적 측면)
3> 위버멘쉬와 안티크라이스트로서의 드라큘라 (종교-철학적 측면)
4>‘적’으로서의 담론 확대의 기능 (정치적 측면)
5> 맺는말

본문내용

  • 가격1,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12.13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