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기능용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기능용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비기능요 >

1. 개념

2. 기능요와 비기능요의 전환

3. 시기

4. 종류
① 비기능요 중에서 전국적으로 널리 불리는 대표적인 민요형태 - 아리랑
② 지역마다 부르는 독특한 노래
③ 여인들의 비극적인 삶이나 신세를 한탄한 노래

본문내용

과 고통을 스스로 달래고 극복해 왔던 것이다. 이러한 〈시집살이 노래〉는 문화적 측면에서도 매우 주목되는데, 그것은 이 노래가 여성들의 삶의 재치와 뛰어난 시적 상상력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노래의 유형으로 〈진주남강요〉,〈꼬댁각시요〉,〈부모부음요〉등과 같이 긴 사설의 서사민요로 불리는 작품이 많다는 점도 〈시집살이 노래〉의 특수한 성격이다.
〈예시 작품〉
시집살이 노래 아강아강 메눌아강
아강아강 메눌아강 웬밥에다 요다지도 뉘를뒀누
웬밥에다 요다지도 돌을뒀누 그맛뉘를 뉘라하면
그맛돌이 돌이라면 갱피닷섬 보고지구
시내강변 보고지구
아강아강 메눌아강
아강아강 메눌아강 웬대답을 요리하누
웬밥에다 요다지도 물을뒀누 그맛말이 대답이면
그맛물이 물이라면 아전관청 보고지구
대동강물 보고지구 안변지방(安邊地方)
《任東權編, 韓國民謠集 Ⅰ, p.133》
〈참고도서〉
한국문학강의, 조동일외 6인 공저, 길벗, 1994.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박경수, 국학자료원, 1998.
國文學槪論, 李鍾出, 李相寶외 공저, 敎學硏究社, 1986. /한국의 고전문학, 강동엽, 최웅, 김의숙, 이경수 저, 淸文閣, 1997.
韓國婦謠硏究, 任東權, 집문당, 1982.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3.12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8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