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의 유형과 성격, 박경수, 국학자료원, 1998.
國文學槪論, 李鍾出, 李相寶외 공저, 敎學硏究社, 1986. /한국의 고전문학, 강동엽, 최웅, 김의숙, 이경수 저, 淸文閣, 1997.
韓國婦謠硏究, 任東權, 집문당, 1982. < 비기능요 >
1. 개념
2. 기능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는 그대로 유지될 수 없는 사태가 벌어졌으나, 그 유산은 오늘날의 예술로 풍부하게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3) 마무리
이상에서와 같이 '풍요'에 대해 짧게나마 검토한 결과 <풍요>는 처음부터 민요로서 노동요의 모습을 보였다기보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래서 비기능요의 분류는 그 실상을 가능한 포괄할 수 있는 별도의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그 기준이 기능요 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일관된 방법 모색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한국문학강의> 조동일외 6인 공저/ 길벗/ 199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현되기도 한다.
(4) 비기능요
비기능요는 말 그대로 일정한 기능을 갖지 않고 노래 자체의 즐거움 때문에 부르는 유흥적인 성격의 민요이다. 그런데 유흥적인 성격 자체가 유희성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비기능요를 따로 설정하지 ㅇ낳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는 아이들이 생활하는 가운데 경험한 어른들의 행태를 흉내내며 노는 놀이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H.조형유희요
조형유희요에는 그리기요와 만들기요가 있다.
I.가창유희요
가창유희요에는 비기능창곡요와 비기능사설요가 있다. 비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