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 제 제 기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방법
Ⅳ.연구 결과 및 해석
※ 연령과 전자 상거래에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
Ⅴ.요약 및 결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방법
Ⅳ.연구 결과 및 해석
※ 연령과 전자 상거래에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
Ⅴ.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용해 보지 않은 응답자의 경우 52.2%가 전자 상거래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인터넷사용여부에 따라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이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 교차표에서 χ²값은 6.123으로 나타났다. 자유도 1이고 α가 0.05일 때 임계치는 3.8414이므로 유의 확률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인터넷 경험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도 전자 상거래에 대해 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가설 2를 지지한다.
(3) 가설 3에 대한 분석
⊙ 영 가 설 :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은 아무런 관계가 없을 것이다.
⊙ 대립가설 : 연령이 낮을수록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 것이다.
<표 3.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관계에 대한 교차분석>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
연 령
고 연 령
저 연 령
긍 정
41.6% (72)
52.1% (63)
부 정
58.4% (101)
47.9% (58)
합 계
100% (173)
100% (121)
χ²= 3.130 P > .05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고연령'의 경우 41.6%가 전자상거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58.4%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저연령'의 경우는 52.1%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47.9%가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다. 위의 교차표 분석에서 연령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χ²값은 3.130으로 나타나 자유도가 1이고 α가 0.05일 때의 임계치인 3.8414보다 작게 나타나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두 변인간에는 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보면 가설 1과 가설 2는 지지되고 가설 3은 부정됨을 알 수 있다.
즉 연령과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은 관계가 없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가설 1과 2에서 알 수 있듯이 연령에 따라 인터넷 사용여부가 달라지고 또한 인터넷 사용여부에 따라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연령과 전자 상거래에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
가설 3이 기각된 결과로 나왔기 때문에 이 가설 대신 다른 종속변인들을 통제해 보았으나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에 연령이라는 독립 변인과 전자 상거래에 경험여부라는 종속 변인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여기서 제시한다.
⊙ 영 가 설: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과 관련이 없을 것이다.
⊙ 대립가설: 연령이 높을수록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이 적을 것이다.
<표 4. 연령과 전자상거래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
전자상거래 경험여부
연 령
고 연 령
저 연 령
예
34.7% (60)
47.5% (57)
아 니 오
65.3% (113)
52.5% (63)
합 계
100% (173)
100% (120)
χ²= 4.853 P < .05
연령과 전자상거래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을 보면 만 35세를 기준으로 '고연령'과 '저연령'으로 나누었을 때 연령이 '고연령'인 사람은 34.7%가 전자상거래를 이용해 보았다고 대답했으며 '저연령'인 사람은 47.5%가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고연령'의 65.3%가 이용한 경험이 없으며 '저연령'의 52.5%가 이용한 경험이 없다고 말했다. 이 수치만을 보았을 때 '고연령'의 사람들이 비교적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경험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χ²값이 4.853으로, 자유도가 1이고 α가 0.05일 때의 임계치인 3.8414보다 크기 때문에 연령과 인터넷 사용자 수와의 관계는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가설은 기각되어 대립가설 '연령이 높을수록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이 적을 것이다'는 채택될 수 있다.
Ⅴ.요약 및 결론
이상의 결과를 보면 처음에 우리가 세웠던 가설이 기각되었으므로 재연구를 해야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가설설정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제점을 하나씩 지적해 보면 첫째로 처음에 조사하려고 했던 전자 상거래의 범위가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의 방식에서 통신판매나 TV 홈쇼핑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면서 "연령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 이라는 주제에 따른 의미가 희석된 데 있다 하겠다.
처음 가설을 세울 때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급속히 확산된 신용판매, 특히 인터넷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아무래도 연령이 낮은 사람들이 연령이 높은 사람들보다 잘 적응하여 새로운 소비형태를 많이 이용하고 또한 그에 대한 인식과 전망에 대해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소비형태의 범주를 넓게 잡음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알아낼 수 없는 한계에 부딪혔다. 하지만 우리가 세운 가설과는 달랐지만 연령에 따른 전자 상거래 여부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참고로 제시하였다.) 인식과 실제 행동과는 다른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빈도 분포에서 상황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자 상거래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지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지 상관없이 전자 상거래에 대한 전망을 좋게 보고 있으며 대부분이 기회가 된다면 전자 상거래를 이용할 것이라고 대답한 사실을 볼 때 우리의 소비형태에 대한 인식은 이미 신용판매의 극점인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것은 정보통신의 발달이 곧 세계화 선진화의 길이라며 학교나 가정에서 정보통신의 교육을 장려하고 있는 정부의 정책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고 IMF이후 불어닥친 인터넷 관련 벤처기업의 성공신화에 대한 언론의 과장보도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바로 정보 사회에 뒤쳐지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을 조성 자신도 이러한 조류에 익숙해 지려고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하지만 아이러니 한 것은 이러한 인식이 꼭 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경제적이나 기타 사회적 요건들에 따라 이러한 사항들이 결정되는 것이겠지만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이러한 가정을 무시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가설 2를 지지한다.
(3) 가설 3에 대한 분석
⊙ 영 가 설 :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은 아무런 관계가 없을 것이다.
⊙ 대립가설 : 연령이 낮을수록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 것이다.
<표 3.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관계에 대한 교차분석>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
연 령
고 연 령
저 연 령
긍 정
41.6% (72)
52.1% (63)
부 정
58.4% (101)
47.9% (58)
합 계
100% (173)
100% (121)
χ²= 3.130 P > .05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고연령'의 경우 41.6%가 전자상거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58.4%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저연령'의 경우는 52.1%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47.9%가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다. 위의 교차표 분석에서 연령에 따른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χ²값은 3.130으로 나타나 자유도가 1이고 α가 0.05일 때의 임계치인 3.8414보다 작게 나타나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두 변인간에는 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보면 가설 1과 가설 2는 지지되고 가설 3은 부정됨을 알 수 있다.
즉 연령과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은 관계가 없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가설 1과 2에서 알 수 있듯이 연령에 따라 인터넷 사용여부가 달라지고 또한 인터넷 사용여부에 따라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연령과 전자 상거래에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
가설 3이 기각된 결과로 나왔기 때문에 이 가설 대신 다른 종속변인들을 통제해 보았으나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에 연령이라는 독립 변인과 전자 상거래에 경험여부라는 종속 변인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여기서 제시한다.
⊙ 영 가 설: 연령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과 관련이 없을 것이다.
⊙ 대립가설: 연령이 높을수록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이 적을 것이다.
<표 4. 연령과 전자상거래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
전자상거래 경험여부
연 령
고 연 령
저 연 령
예
34.7% (60)
47.5% (57)
아 니 오
65.3% (113)
52.5% (63)
합 계
100% (173)
100% (120)
χ²= 4.853 P < .05
연령과 전자상거래 경험여부에 대한 교차분석을 보면 만 35세를 기준으로 '고연령'과 '저연령'으로 나누었을 때 연령이 '고연령'인 사람은 34.7%가 전자상거래를 이용해 보았다고 대답했으며 '저연령'인 사람은 47.5%가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고연령'의 65.3%가 이용한 경험이 없으며 '저연령'의 52.5%가 이용한 경험이 없다고 말했다. 이 수치만을 보았을 때 '고연령'의 사람들이 비교적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경험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χ²값이 4.853으로, 자유도가 1이고 α가 0.05일 때의 임계치인 3.8414보다 크기 때문에 연령과 인터넷 사용자 수와의 관계는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가설은 기각되어 대립가설 '연령이 높을수록 전자상거래에 대한 경험이 적을 것이다'는 채택될 수 있다.
Ⅴ.요약 및 결론
이상의 결과를 보면 처음에 우리가 세웠던 가설이 기각되었으므로 재연구를 해야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가설설정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제점을 하나씩 지적해 보면 첫째로 처음에 조사하려고 했던 전자 상거래의 범위가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의 방식에서 통신판매나 TV 홈쇼핑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면서 "연령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 이라는 주제에 따른 의미가 희석된 데 있다 하겠다.
처음 가설을 세울 때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급속히 확산된 신용판매, 특히 인터넷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아무래도 연령이 낮은 사람들이 연령이 높은 사람들보다 잘 적응하여 새로운 소비형태를 많이 이용하고 또한 그에 대한 인식과 전망에 대해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소비형태의 범주를 넓게 잡음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알아낼 수 없는 한계에 부딪혔다. 하지만 우리가 세운 가설과는 달랐지만 연령에 따른 전자 상거래 여부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참고로 제시하였다.) 인식과 실제 행동과는 다른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빈도 분포에서 상황을 분석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자 상거래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지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지 상관없이 전자 상거래에 대한 전망을 좋게 보고 있으며 대부분이 기회가 된다면 전자 상거래를 이용할 것이라고 대답한 사실을 볼 때 우리의 소비형태에 대한 인식은 이미 신용판매의 극점인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것은 정보통신의 발달이 곧 세계화 선진화의 길이라며 학교나 가정에서 정보통신의 교육을 장려하고 있는 정부의 정책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고 IMF이후 불어닥친 인터넷 관련 벤처기업의 성공신화에 대한 언론의 과장보도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바로 정보 사회에 뒤쳐지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을 조성 자신도 이러한 조류에 익숙해 지려고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하지만 아이러니 한 것은 이러한 인식이 꼭 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경제적이나 기타 사회적 요건들에 따라 이러한 사항들이 결정되는 것이겠지만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이러한 가정을 무시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추천자료
일반무역거래절차와 인터넷무역 거래절차
소비자 피해 사례(인터넷 거래에서...)
[대학생,대학생인식,대학문화]대학생의 노화에 대한 인식, 대학생의 취업의식, 대학생의 전자...
사업계획서(인터넷을 이용한 농수산물 직거래)
인터넷 무역사기의 유형과 해외거래선의 신용조사 방법
인도의 전자상거래 - 인도인프라,인도정보통신,인도전자거래,인도전자상거래현황,인도통신사...
[2000년대]2003년(2000년대)의 IT산업(정보기술산업), 2003년(2000년대)의 소프트웨어산업, 2...
[SK][SK그룹][기업][인재상][CI]SK(SK그룹)의 연혁, SK(SK그룹)의 인재상, SK(SK그룹)의 CI(...
[방송유통][공정거래질서확립]방송유통의 종류, 방송유통의 2차유통, 방송유통의 공정거래질...
E-BIZ(E비즈니스, 인터넷비즈니스, 이비즈니스)의 의미, 거래유형, 설계과정, E-BIZ(E비즈니...
온라인기업(인터넷기업) 성장단계, 성공요인, 온라인기업(인터넷기업) 컨텐츠, CRM(고객관계...
부동산거래서비스(한국자산관리공사 온비드, 대한주택공사 인터넷청약, 한국토지공사 인터넷...
청소년복지론]청소년복지 실천현장의 인터넷 방문보고서-청소년복지 지원법 상 청소년의 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