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학 원등 주작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잃어버린 것을 찾아 떠나는 여행
2. 활동하며 움직이는 사랑
3. 어머니의 강, 전생의 강, 갠지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金色の光が闇を割るのを合圖のようにして この街に集まってきた巡禮客たちが 數あるガトに集まってきます. 彼等は爭って母なる河に身をひたす. 母なる河は行ける者も死せる者も受け入れます. 聖なるという意味はそういうことです.
) 전게서, p.281
그리고 이 강은 또한 전생의 강이다. 힌두교도들은 이 강에서 몸을 씻으면 내세에 더욱 좋은 환경에서 태어난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그런 행위는 기독교에서 침례를 주는 것을 자연스럽게 연상시킨다. 이 강은 모든 것을 정화시키고, 다시 재생시켜 주는 그런 강인 것이다. 즉 이 작품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전생에 대해 그것이 육체에 다시 태어남을 넘어선 정신적인 재생을 의미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매개체로 훌륭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로 갠지스 강이었던 것이다. 이 작품의 등장인물들이 바로 이 강가에서 자신 안에 신을 상징하는 존재들이 다시 태어났음을 깨닫으며 그것이 바로 엔도가 생각하는 전생이다.
이처럼 인도, 그리고 갠지스 강은 작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신의 의미와 전생을 그려내는 데 있어서 최적의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 본 것처럼 엔도의 말기 작품인「깊은 강(深い河)」에는 바로 그가 평생을 안고 살아가야 했던 과제들에 대한 엔도 나름대로의 결론과 엔도가 하나의 인생을 살아오면서 느꼈던 여러가지의 것들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다. 즉 이 작품은 그의 삶에 대한 포괄적인 인생관들 특히 신의 존재에 대한 결론과 죽음이 가까워짐에 따라 관심이 깊어진 사후세계와 환생에 대한 그의 생각이 여러 인물들을 통해 극적인 상황으로 묘사되어 우리에게 조금 더 감상적으로 보여지고 있는 것이다. 「깊은 강」이 발표되기 2년 전 출판된 그의 수필집 「잘 살기, 잘 죽기 (生き上手 死に上手)」에 실린 부부의 인연이나, 죽음에 대한 자세등 많은 엔도의 문장들이 바로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의 입을 통해 그리고 화자를 통해 다시 표현되고 있는 점으로부터 엔도의 삶에 대한 가치관의 많은 부분이 이 작품에 응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인물들의 여행기를 따라가보며 그들이 자신 안에서 어떤 존재가 다시 살아난 것 즉 전생한 것을 깨닫으며, 바로 그것은 신의 수많은 모습 상징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이소베의 아내와 같이 조용하게 곁을 지켜주는 동반자, 누마다의 동물들과 같이 때로는 유일한 위로자가 되어주기도 하고, 츠카다와 기쿠치를 구원해 준 가스통과 같은 모습일 수도 있고, 또한 오오츠나 차문다여신과 같은 고통을 짊어지고서도 다른 사람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것을 바치는 존재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 피에로의 이미지를 차용해,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자신의 슬픔은 품에 안고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신의 모습과 합치시키므로서, 위엄만을 강조한 거리감이 느껴지는 신의 모습이 아니라 조금더 인간에게 친숙하게 다가와 진정한 구원을 주는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오오츠는 그 대표적인 인물로 그 역시 사람들에게 때로 무시를 받기도 하고 버림을 받기도 하면서 그 가운데서 더욱 더 강한 예수에의 사랑을 품고, 죽음으로 다가가는 사람들의 마지막 길을 이끌어주고, 결국은 다른 사람을 구하려다 그 목숨을 잃는다. 그는 자신의 몸을 바쳐 스스로 예수의 뒤를 쫓았으며, 그것은 또한 예수가 그를 통해 전생한 것이다. 그리고 그의 그런 사랑은 또한 미츠코와 다른 사람들에게로 퍼져나간다.
신은 이처럼 많은 모습을 지니고 있다고 엔도는 말하고 있다. 이것은 분명 전통적인 기독교관과는 동떨어진 일본의 정서 속에 있는 범신론적 성격이 강한 주장이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은 신이 여럿이라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모습이 사람에 따라 그 사람이 태어나 자라온 환경, 즉 인도의 힌두교도 가정에서 태어난 사람이 자연스레 힌두교도가 되거나, 일본인인 엔도가 어머니라는 조금 특수한 환경에 의해 기독교인이 된 것과 같이 그러한 배경아래 혹은 또 다른 어떤 영향 아래, 자신에게 맞는 신의 모습을 그리고 자신에게 필요로 되는 모습을 찾아 그것에 대한 신앙심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일신 신앙과 범신론적 신앙이 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엔도의 결론이다. 그리고 그것을 조금 더 단단하게 묶어주는 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것으로, 어떤 모습을 하고 있던 모든 신들은 인간에 대해 공평하고 무한한 사랑을 베푸는 존재인 것이다.
이러한 엔도의 결론을 이끌어내는데 최적의 장소가 바로 인도의 갠지스 강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 인도는 모든 곳이 혼재되어있는 모순적인 나라지만 또한 성스러움이 가득하다. 어머니의 강, 전생의 강이라 불리는 갠지스 강은 더러운 것이든, 깨끗한 것이든, 차별 없이 모든 것을 감싸안고, 그들을 정화시켜준다. 이것은 바로 엔도가 생각하는 신의 모습 그대로 인 것이다.
스스로의 의지가 아니라 타인, 즉 어머니에 의해서 그에게 입혀졌던 기독교라는 옷을 어머니에 대한 배신이라는 두려움으로 벗지 못하고 있다가 결국엔 그것이 자신의 종교라는 것을 인정하고, 계속해서 느껴왔던 서양의 기독교와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문학이란 도구를 통해 끊임없이 연구해왔던 엔도에게 있어, 이 작품은 그런 그의 모든 노력이 응집되어 태어난 훌륭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런 미묘한 문제와 조금은 복잡한 구성을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풀어내고 있는 그의 문장력은 카톨릭작가라는 이름을 넘어서 한 사람의 작가로서의 능력 역시 충분히 평가받을 만 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遠藤周作,『깊은 강』, 이성순 譯, 고려원, 1994
朴勝乎,『엔도 슈사쿠 연구』, 보고사, 2002
遠藤周作,『침묵』, 공문혜 譯, 홍성사, 2003
遠藤周作,『(엔도 슈사쿠의 인생론)회상』, 한은미 譯, 시아출판사, 2004
李揆明,『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沈默 論』, 忠南大學校, 1999
大島眞弓,『遠藤周作 <深ぃ河> 論』, 釜山大學校, 2000
洪正銀,『엔도 슈사쿠[遠騰周作]의 <깊은 강(深い河)> 연구』, 同德女子大學校, 2001
河明正,『遠藤周作의 <깊은 강(深い河)> 考察』, 濟州大學校, 2002
高景順,『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沈默> 硏究』, 濟州大學校, 2003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3.1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