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진보주의의 사상적 배경
Ⅱ. 프래그머티즘 또는 실험주의 혹은 도구주의의 이론
1. Pragmatism(실용주의)
2. Experimentalism(실험주의)
3. Instrumentalism(도구주의)
4. John Dewey (1859~1952)
Ⅲ. 진보주의 교육이론
1. 진보주의 교육
(1) 진보주의 교육의 개념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학생관
2. 듀이가 생각하는 진보주의 교육
3. 진보주의의 원리
4. 진보주의가 주는 시사점
Ⅳ.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참고문헌
Ⅱ. 프래그머티즘 또는 실험주의 혹은 도구주의의 이론
1. Pragmatism(실용주의)
2. Experimentalism(실험주의)
3. Instrumentalism(도구주의)
4. John Dewey (1859~1952)
Ⅲ. 진보주의 교육이론
1. 진보주의 교육
(1) 진보주의 교육의 개념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학생관
2. 듀이가 생각하는 진보주의 교육
3. 진보주의의 원리
4. 진보주의가 주는 시사점
Ⅳ.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등교육의 교육과정 개조에 크게 공헌,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창시자로 평가
- 저서로는 How to Study Geography(1889) Uncle Robert's Geography(전4권, 1897~1904)
4)그 외의 진보주의 사상가
- G.S 카운츠(1922)는 낭만적인 아동중심교육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인간이 자유롭게 태어난다는 가정은 오류이다. 사실 인간은 무력하게 태어나며 무력한 인간은 출생으로 우연히 속하게 될 집단 의 언어, 종교, 경제, 사회적 정통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아동이 본성상 성하다는 가정도 오류이다. 아동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 잠재가능성의 덩어리일 뿐이다. 그는 개인별 학습이라는 이름 하에 학생과 교육 과정을 차별화 하는 일에 대해서도 반대한다. 더구나 사회적 효율성 운동에서 초래되는 결과는 학교로 하여금 존재하는 질서를 영속시키는 도구가 되게 할 뿐이며 결국 그 운동은 목적 없는 효율성일 뿐 학교가 사회의 창조적인 힘이 되지못하게 한다고 보았다.
카운츠의 이러한 사회중심 진보주의 교육은 실업과 같은 사회문제에 직접 초점을 맞추고, 사회과의 교재에 영향을 주기는 하였지만 실제 제도적 차원에서 교육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이 사상은 1950년대에 브라멜드(T.Brameld)에 의해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교육사상으로 발전하였다.
Ⅳ.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1. 프래그머티즘 혹은 실험주의에 대한 비판
① 모든 것이 변화하며, 진리나 가치도 그 효용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화한다는 주장은 시대와 사회, 자신의 개인적 이익에 좌우되지 않는 굳건한 진리, 가치, 신념이 결여된 것이다.
② 얄팍한 계산 심리와 개인적 이기주의 그리고 절대적인 진리와 정의감을 무시하는 천박한 욕망에 결탁되어져 사회의 도덕질서를 문란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2. 확고한 교육목적의 결여
① 변화무쌍한 현재만을 중요시한 나머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간과
② Dewey - 성장을 강조하고 교육을 경험의 개조라고 단정 지음. 무엇을 향한 성장이며 무엇을 목표로 한 경험의 개조인지 모호한 입장 고수
3. 어린이의 흥미를 지나치게 강조
학습자의 흥미를 중시한 것은 바람직한 것이지만 흥미가 언제나 가치 있는 것을 지향하지는 않으므로 아동들이 가치 있는 것을 학습하도록 흥미를 만들어내는 일, 즉, 동기화가 절실히 요구됨. 진보주의자들은 이러한 노력을 등한시 하였다.
4. 학습자의 현재의 요구에만 관심
학습자의 현재의 요구를 중요시하고 문제해결 학습의 도입은 학습자에게 생생한 학습활동을 제공했지만 적응주의와 현재주의에 빠지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옴 (학습은 현재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기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학습자가 3천년 전에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 지적 호기심을 가질 수 없게 될 것이다.)
* 교육이념을 민주화 시키고 교육 방법을 도입하였으며 학제 수립에 공헌했으나 아동의 자유를 너무 강조하여 사회적 통제를 무시하고 개인주의 경향은 사회적 요구를 도외시 하고 문화적 전통 무시
① 사회복지이론을 정리하는 데 실패하였다.
② 아동중심의 학교 원리는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다.
③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방종하는 불량아를 길러낼 가능성이 많다.
④ 아동중심 교육이 너무 지나쳐 목표설정 및 문제해결능력이 상실되었다.
**참고문헌**
윤정일 외 4인(2000) 교육의 이해. 학지사
강준모 (1999) 교육철학. 동우문화사
신득렬. (2000). 교육사상사. 학지사
김정환 외 1인. (1998). 교육철학. 박영사
교육철학 및 교육사, 집문당, 1996.
장찬익 노진호(1998)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백산
S.M. 에임즈. 실용주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듀이의 도구주의와 로티의 신실용주의. 육군사관학교화랑대연구소
서양근대철학. 서양근대철학회, 창작과비평사
http://web.edunet4u.net/Users/inja/mun032.htm
http://prokang.pe.kr/instruction_room/cur_eva/cur_eva02_02.htm
http://my.dreamwiz.com/fiat/Mtbm01/G212.htm
http://pro-web.suwon-c.ac.kr/~oem/file2.htm
http://kyongbuktti.or.kr/self/lecture/2001/h1y/three/E.htmhttp
http://www.hongchun-edupia.com/철학9.htm)
- 저서로는 How to Study Geography(1889) Uncle Robert's Geography(전4권, 1897~1904)
4)그 외의 진보주의 사상가
- G.S 카운츠(1922)는 낭만적인 아동중심교육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인간이 자유롭게 태어난다는 가정은 오류이다. 사실 인간은 무력하게 태어나며 무력한 인간은 출생으로 우연히 속하게 될 집단 의 언어, 종교, 경제, 사회적 정통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아동이 본성상 성하다는 가정도 오류이다. 아동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 잠재가능성의 덩어리일 뿐이다. 그는 개인별 학습이라는 이름 하에 학생과 교육 과정을 차별화 하는 일에 대해서도 반대한다. 더구나 사회적 효율성 운동에서 초래되는 결과는 학교로 하여금 존재하는 질서를 영속시키는 도구가 되게 할 뿐이며 결국 그 운동은 목적 없는 효율성일 뿐 학교가 사회의 창조적인 힘이 되지못하게 한다고 보았다.
카운츠의 이러한 사회중심 진보주의 교육은 실업과 같은 사회문제에 직접 초점을 맞추고, 사회과의 교재에 영향을 주기는 하였지만 실제 제도적 차원에서 교육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이 사상은 1950년대에 브라멜드(T.Brameld)에 의해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교육사상으로 발전하였다.
Ⅳ.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1. 프래그머티즘 혹은 실험주의에 대한 비판
① 모든 것이 변화하며, 진리나 가치도 그 효용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화한다는 주장은 시대와 사회, 자신의 개인적 이익에 좌우되지 않는 굳건한 진리, 가치, 신념이 결여된 것이다.
② 얄팍한 계산 심리와 개인적 이기주의 그리고 절대적인 진리와 정의감을 무시하는 천박한 욕망에 결탁되어져 사회의 도덕질서를 문란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2. 확고한 교육목적의 결여
① 변화무쌍한 현재만을 중요시한 나머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간과
② Dewey - 성장을 강조하고 교육을 경험의 개조라고 단정 지음. 무엇을 향한 성장이며 무엇을 목표로 한 경험의 개조인지 모호한 입장 고수
3. 어린이의 흥미를 지나치게 강조
학습자의 흥미를 중시한 것은 바람직한 것이지만 흥미가 언제나 가치 있는 것을 지향하지는 않으므로 아동들이 가치 있는 것을 학습하도록 흥미를 만들어내는 일, 즉, 동기화가 절실히 요구됨. 진보주의자들은 이러한 노력을 등한시 하였다.
4. 학습자의 현재의 요구에만 관심
학습자의 현재의 요구를 중요시하고 문제해결 학습의 도입은 학습자에게 생생한 학습활동을 제공했지만 적응주의와 현재주의에 빠지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옴 (학습은 현재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기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학습자가 3천년 전에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 지적 호기심을 가질 수 없게 될 것이다.)
* 교육이념을 민주화 시키고 교육 방법을 도입하였으며 학제 수립에 공헌했으나 아동의 자유를 너무 강조하여 사회적 통제를 무시하고 개인주의 경향은 사회적 요구를 도외시 하고 문화적 전통 무시
① 사회복지이론을 정리하는 데 실패하였다.
② 아동중심의 학교 원리는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다.
③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방종하는 불량아를 길러낼 가능성이 많다.
④ 아동중심 교육이 너무 지나쳐 목표설정 및 문제해결능력이 상실되었다.
**참고문헌**
윤정일 외 4인(2000) 교육의 이해. 학지사
강준모 (1999) 교육철학. 동우문화사
신득렬. (2000). 교육사상사. 학지사
김정환 외 1인. (1998). 교육철학. 박영사
교육철학 및 교육사, 집문당, 1996.
장찬익 노진호(1998)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이해, 백산
S.M. 에임즈. 실용주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듀이의 도구주의와 로티의 신실용주의. 육군사관학교화랑대연구소
서양근대철학. 서양근대철학회, 창작과비평사
http://web.edunet4u.net/Users/inja/mun032.htm
http://prokang.pe.kr/instruction_room/cur_eva/cur_eva02_02.htm
http://my.dreamwiz.com/fiat/Mtbm01/G212.htm
http://pro-web.suwon-c.ac.kr/~oem/file2.htm
http://kyongbuktti.or.kr/self/lecture/2001/h1y/three/E.htmhttp
http://www.hongchun-edupia.com/철학9.htm)
추천자료
세계 각국의 교육철학과 서구 교육철학 및 한국의 교육철학 레포트 (미국, 독일의 교육철학)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루터와 코메니우스,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칸트와 바제...
[교육사상,교육철학]듀이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나토르프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니일의 교...
성리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이,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형원,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 갈래,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
[교육철학자]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코메니우스와 루터,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교육철학(교육사상) 도입과 발달, 교육철학(교육사상) 의의와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분류...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본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역할, 진보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가치와 관심영역, 관념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실용주의 교육철학(교...
[교육철학][교육사상]교육철학(교육사상)의 정의,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능, 주요 교육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