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및 교육평가(학문중심 교육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학문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레포트 겉표지
2. 서론
3. 본론
4. 결론

본문내용

는 교육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교사는 교사가 교과에 정통해야 하며, 교과전개를 위해서 여러 가지 교구를 마련해야 하며,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말 그대로 학문을 중시하는 교육과정으로 인간성이 소홀히 되는 경향을 띈다. 우리나라에서도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제3차 교육과정에서 들여왔었다.
구조는 교육의 과정을 일괄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사실 구조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아직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다. 명백하지 않은 몇몇 점들 때문일지 모른다. 첫 번째는 모든 교과에서 구조를 뽑아낼 수 있는가하는 점이다. 둘째는 구조의 일반성 수준에 관한 것이다. 한 개념은 일반적이면서 또 다른 개념에 대해서 특수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라는 것이 이 위계 중에 어떤 수준을 말하는 것인지 모든 수준을 말하는 것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셋째는 구조를 동적으로 볼 것인가 정적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를 강조한 결과가 학생들에게 지적인 희열을 심어주고 궁극적으로 실제성 일변도의 문화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리라는 전망을 하였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아직 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지는 몰라도 그러진 않을 것 같다. 현실적으로 우리의 교육 체계가 아무리 실천적, 인간적임을 외치고는 있으나 학문이 그것을 받치고 있는게 사실이다. 브루너의 말대로라면 우리 모두는 지금 희열에 차서 학문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를 하고 있을 것이다. 물론 그런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렇지 않다고 본다.
나의 입장은 학문중심 교육 과정을 배격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학문만을 강조한다 기보다는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입장에서 그 역할을 하는 것이 학문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경험중심이나 실천주의 등이 아무리 좋은 이론이라 할지라도 학문적 밑바탕은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실험을 하게 될 때 알고 있는 이론적 지식이 없다면 실험 후 그 사람에게 남는 것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면 그 사람에게 남는 것은 단지 그 경험은 추억으로 끝나겠지만 이론이 바탕이 되어있다면 그것은 지식이 될 것이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론만 공부하고 실험을 병행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전혀 쓸데없는 것들 중에 하나가 될 것이다.
참 고
- 참고문헌
교육과정과 교과, 김수천, 교육과학사, 1999
교육과정 연구, 이귀운, 교육과학사, 1997
브루너의 교육과정, Jerome S.Bruner, 배영사, 1995
(고도산업 사회의) 교육과정 및 평가」, 이해명, 교육과학사, 1982
- 참고 사이트
http://www.naver.com -- 네이버(검색엔진)
http://www.lycos.co.kr -- 라이코스(검색엔진)
http://www.empas.com -- 엠파스(검색엔진)
http://www.kice.re.kr --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http://www.kncis.or.kr -- 교육과정 정보 서비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14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