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결혼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과거의 결혼형태
1)일부다처제
2)쯔마도이콘(妻方婚)과 무코이리콘(婿入婚: 데릴사위제)
3)요메이리콘(嫁入婚: 며느리를 맞이하는 혼인)
2.결혼풍습
1)요바이(夜這い)
2)나코우도(仲人)
3)유이노(結納)
3.현대의 결혼
1. 일본 가족의 변화
2. 현대 가족의 특징
3. 미·비결혼자의 심리
4. 젊은이들의 결혼관

Ⅲ.결론

본문내용

, 남성의 비율은 불과 2.8%, 3.0%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여성의 결혼상대에 대한 '경제력' 중시 현상은, 남자는 밖에서 일을 하여 돈을 벌며, 여자는 가정을 지킨다고 하는, 뿌리깊은 남녀의 역할 분업 의식에 기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사실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제력에 대한 의식이 크다는 것이지 여성들이 절대적으로 경제력만을 우선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 사실은 앞서 언급한 NHK에서의 조사에서 밝혀졌다.
4)연상의 아내 비율이 증가
일본의 전통적인 관념에서 본다면 결혼하는데 남성이 연상, 여성이 연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대의 젊은이들은 이와 같은 일본의 전통적인 관념에 사로잡히지 않는 것 같다. 동갑 및 아내 연상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1998년에는 동갑 부부가 약 20%, 아내 연상 부부가 20%를 넘어, 양쪽을 합하면 초혼 부부의 40%에 달하고 있다. 즉 양자 모두 30년 전의 2배나 되고 있어 '연상여인과의 결혼'이 유행하고 있다는 말을 뒷받침하고 있다.
남성의 경우에는 학력에 의한 초혼 연령에 큰 차이가 없는데 반해, 여성의 경우에는 학력이 높아짐에 따라 초혼 연령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남녀 모두 전문직 등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초혼 연령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5)결혼전의 성관계와 동거
결혼전 성 관계에 대하여 보면 독신자의 82%, 기혼자의 70%가 '결혼전 남녀가 성 관계를 가져도 상관없다'에 찬성하고 있으며, 최근 결혼전 성 관계는 폭 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성과의 성 관계 경험이 있는 미혼여성의 비율은 10대에서도 20% 정도이고 전체적으로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20대 전반의 경험율의 증가가 현저하다. 한편, 미혼자의 동거률은 남녀모두 1.7%이며 과거에 동거경험이 있는 사람을 합해도 남성 4.8%, 여성 4.6%정도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다. '남녀가 함께 산다면 결혼을 해야한다'라는 생각에 기혼자의 75%, 미혼자의 64%가 찬성하고 있어, 이는 결혼전의 성 관계에 대해서는 관용하고 있지만 동거에 대한 관용도는 낮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5년 전과 비교하면 찬성하는 비율이 감소하면서 관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Ⅲ. 결론
과거의 결혼에서부터 현대의 결혼문화에 이르기까지 살펴보았다. 시대에 따라 사회, 가치관의 변하에 따라 결혼 풍속도 변화해 왔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 이후 남녀 모두 미혼율이 상승하기 시작했지만,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크게 변화해, 반드시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사람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평균 초혼 연령도 상승해, 최근에는 국제적으로도 미혼율이 높은 나라가 되었다. 한편, 일본의 동거율은 서구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나 우리 나라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다. 미혼율의 상승 즉 결혼하지 않는 남녀의 증가가 출생률의 저하에 직결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 일본의 인구가 2007년경부터 감소로 전환하는 것은 확실하며 소자화와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15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