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Ⅰ. Industry overview
1. 기존 인터넷 방식의 문제점
2.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등장 배경
3. 초고속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배경
4.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전체적 개괄
5.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특징
6.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경쟁 구조
Part Ⅱ. Competition & Marketing Strategy
- 태 동 기 (제1기)
- 확 장 기 (제2기)
- 성 숙 기 (제3기)
- 안 정 기 (제4기)
- 두루넷이 몰락하고, 하나로가 KT에게
Leading Company 지위를 내준 이유
Part Ⅲ. Future Prediction
1. 현재 초고속 인터넷 산업(유선) 현황
2. Marketing 전략 설정방향
3. 초고속 인터넷 산업(유선) 분야가 지향해야 할 방향
Part Ⅳ. Analysis method
1. 적용 목적
2. 적용 방법
3. 적용 사례
1. 기존 인터넷 방식의 문제점
2.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등장 배경
3. 초고속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배경
4.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전체적 개괄
5.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특징
6.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경쟁 구조
Part Ⅱ. Competition & Marketing Strategy
- 태 동 기 (제1기)
- 확 장 기 (제2기)
- 성 숙 기 (제3기)
- 안 정 기 (제4기)
- 두루넷이 몰락하고, 하나로가 KT에게
Leading Company 지위를 내준 이유
Part Ⅲ. Future Prediction
1. 현재 초고속 인터넷 산업(유선) 현황
2. Marketing 전략 설정방향
3. 초고속 인터넷 산업(유선) 분야가 지향해야 할 방향
Part Ⅳ. Analysis method
1. 적용 목적
2. 적용 방법
3. 적용 사례
본문내용
기준이 되어왔다. 이는 각 기업들이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대를 압도할 만한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없는 시장의 구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답은 자명하다. 뛰어난 광고 전략을 통한 브랜드 image를 높이거나, 기업의 image 개선에 전략의 초점을 맞추어 Consumer들로 하여금 "하나로 = 초고속 인터넷" 공식을 다시금 각인시키면 될 것이다.
② KT
- 기존의 상품 유지 / 개선
: KT는 업계 1위에 올라서고, 이를 수성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했다. 따라서 수익구조적인 측면에서 보면 업계 1위란 훈장이 무색할 정도로 취약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2002년에는 수익구조가 아직 정상으로 돌아서지도 않은 시점에서 업계 1위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VDSL을 출시하게 된다. KT의 최대 강점은 경쟁사에 비해 인프라망이 잘 구축되어 있다는데 있다. 그렇다면 답은 자명하다. 자신의 최대 강점을 최대로 살리는 방법인 기존 상품(ADSL)을 유지 / 개선(VDSL, 물론 VDSL을 출시하게 됨으로써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DSL 이외의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경우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하는 방향으로 초고속 인터넷(유선) 시장을 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지속적인 신상품 개발
: 이미 Zero-Sum GAME 에 들어간 시장이기 때문에, 신상품의 개발이 과도한 투자일 수도 있지만 지속적인 신상품의 개발 없이는 도태되고 만다. 때문에 지속적인 신상품 개발은 필수 전략이다.
- 지속적 브랜드 전략을 통한 기업 image 제고
: 현재까지 쌓아왔던 기업 / 브랜드 image을 공고히 하고, Consumer의 요구에 부응하는 브랜드 / 기업상을 제시하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구사해야 할 것이다.
3. 초고속 인터넷 산업(유선) 분야가 지향해야 할 방향
초고속 인터넷 사업은 초기에 장미빛 전망을 바탕으로 대규모 투자가 단행 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의 차입금이 들어왔고, 차입금에 대한 과다한 이자 비용으로 손실액이 누적되어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또한 시장 규모의 증가세가 둔화되어 산업에 대한 투자 매력이 감소되고 그로 인하여 현재는 신규 자금의 유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내적 / 외적 상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초고속 인터넷 산업내의 KT와 하나로를 비롯한 사업자 간의 과당 경쟁이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예상과는 달리 영업 이익의 개선 추세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물론 어느 기업이나 자기 기업의 수익성이 기업의 존폐에 가장 큰 요인인 것은 분명하다. 이는 초고속 인터넷 분야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기업이 수익성에만 급급해 과당경쟁에만 몰두하고, 산업 전반의 상황은 직시하지 못한다면 이는 결국 부정적인 결말로 이르기 마련이다. 다시 말해 단기간 기업의 수익은 오를지 모르나, 결국 장기적으로 볼 때는 산업 전체는 물론이고 이는 곧 기업의 생존 마저 위협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초고속 인터넷 분야는 물론이고 그 안의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적절한 구조조정이나 쿼터제의 도입 등을 통해 기업 간의 과당 경쟁을 줄이고, 다른 산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등의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실천하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아이디어 출처: 공동)
1. 적용 목적
→ 한 제품이 시장에 진입할 때 고려해야 할 변수를 기업이미지, 기술 경쟁력, 시장성의 세 개의 변수로 산정하여, 시장진입 가능 여부와 성공가능 영역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방법
① Company image Index 산출
☞ 특정분야 내에서 기업별 소비자 선호도비율(Consumer Preference Ratio)
ranking
company
CPR
1
A
X%
2
B
Y%
3
C
Z%
4
D
..
5
E
..
6
F
7
G
8
H
9
I
10
Other company
..
☞ Relative CPR
- 1위일 경우: 1위 기업의 CPR/2위 기업CPR * 10
- 그 외의 경우: 자기 기업의 CPR/1위 기업의 CPR * 10
② Marketability Index 산출
7
10
성장2
쇠퇴
규모가 크고, 가능성이 있고규모가 작고, 가능성이 없고1
8규모가 크고, 가능성이 없고
4
규모가 작고, 가능성이 있고
93
③ Technology Competition Index 산출
☞ (기술개발 투자비용 / 개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기업의 투자비용) * 10
④ 적용 방법
- 각 항목에 해당하는 산출된 지수를 더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예) Company image Index
- 기업의 CPR = 35.5 (1위 기업 = 43) 이면,
Index 는 16.5/43 * 10 = 8.xxx
Marketability Index
- 성장기의 규모가 크고, 가능성이 있는 시장 = 10
Technology Competition Index
4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비용 = 20억(1위 = 35억) 이면,
Index는 20억/35억 * 10 = 5.7xxx
→ 8 + 10 + 6 / 3 = 8
- 평균값이 6 이상이면, 시장 진입의 유인이 있다고 판단한다.
3. 적용 사례
사례1.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KT "의 제품이 진입한 경우
① 기업 이미지: 9점 ( 소비자 선호도 분야 내에서 1위+꾸준한 광고 )
② 시 장 성: 4점 ( 포화상태)
③ 기술 경쟁력: 8점 ( 막대한 R &D 투자)
21/3= 7점으로 진입 가능
개선 방향: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경쟁이 치열함..
새로운 분야로 전환 또는 타 산업과 연계성 강화가 필요
사례2. 건설 분야의 "대림 ♡"의 경우
① 기업 이미지: 5점 ( 삼성, 현대, lg, 대우등 대기업들의 이미지가 강세, 기업 이미지는 이들에 비해 약세)
② 시 장 성: 7점 ( 새로운 건설 경기 영향(신 행정수도 건설 등)
③ 기술 경쟁력: 7점 ( 건설 분야의 특성상 기술적 차이는 거의 없음)
19/3=6.xxx점으로 진입 가능
개선 방향: 기업의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 약세이므로 제 품 자체의 "brand化"(예: e-편한 세상)를 통한 이미지전략을 강 화할 필요가 있음
② KT
- 기존의 상품 유지 / 개선
: KT는 업계 1위에 올라서고, 이를 수성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했다. 따라서 수익구조적인 측면에서 보면 업계 1위란 훈장이 무색할 정도로 취약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2002년에는 수익구조가 아직 정상으로 돌아서지도 않은 시점에서 업계 1위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VDSL을 출시하게 된다. KT의 최대 강점은 경쟁사에 비해 인프라망이 잘 구축되어 있다는데 있다. 그렇다면 답은 자명하다. 자신의 최대 강점을 최대로 살리는 방법인 기존 상품(ADSL)을 유지 / 개선(VDSL, 물론 VDSL을 출시하게 됨으로써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DSL 이외의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경우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하는 방향으로 초고속 인터넷(유선) 시장을 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지속적인 신상품 개발
: 이미 Zero-Sum GAME 에 들어간 시장이기 때문에, 신상품의 개발이 과도한 투자일 수도 있지만 지속적인 신상품의 개발 없이는 도태되고 만다. 때문에 지속적인 신상품 개발은 필수 전략이다.
- 지속적 브랜드 전략을 통한 기업 image 제고
: 현재까지 쌓아왔던 기업 / 브랜드 image을 공고히 하고, Consumer의 요구에 부응하는 브랜드 / 기업상을 제시하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구사해야 할 것이다.
3. 초고속 인터넷 산업(유선) 분야가 지향해야 할 방향
초고속 인터넷 사업은 초기에 장미빛 전망을 바탕으로 대규모 투자가 단행 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의 차입금이 들어왔고, 차입금에 대한 과다한 이자 비용으로 손실액이 누적되어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또한 시장 규모의 증가세가 둔화되어 산업에 대한 투자 매력이 감소되고 그로 인하여 현재는 신규 자금의 유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내적 / 외적 상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초고속 인터넷 산업내의 KT와 하나로를 비롯한 사업자 간의 과당 경쟁이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예상과는 달리 영업 이익의 개선 추세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물론 어느 기업이나 자기 기업의 수익성이 기업의 존폐에 가장 큰 요인인 것은 분명하다. 이는 초고속 인터넷 분야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기업이 수익성에만 급급해 과당경쟁에만 몰두하고, 산업 전반의 상황은 직시하지 못한다면 이는 결국 부정적인 결말로 이르기 마련이다. 다시 말해 단기간 기업의 수익은 오를지 모르나, 결국 장기적으로 볼 때는 산업 전체는 물론이고 이는 곧 기업의 생존 마저 위협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초고속 인터넷 분야는 물론이고 그 안의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적절한 구조조정이나 쿼터제의 도입 등을 통해 기업 간의 과당 경쟁을 줄이고, 다른 산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등의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실천하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아이디어 출처: 공동)
1. 적용 목적
→ 한 제품이 시장에 진입할 때 고려해야 할 변수를 기업이미지, 기술 경쟁력, 시장성의 세 개의 변수로 산정하여, 시장진입 가능 여부와 성공가능 영역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방법
① Company image Index 산출
☞ 특정분야 내에서 기업별 소비자 선호도비율(Consumer Preference Ratio)
ranking
company
CPR
1
A
X%
2
B
Y%
3
C
Z%
4
D
..
5
E
..
6
F
7
G
8
H
9
I
10
Other company
..
☞ Relative CPR
- 1위일 경우: 1위 기업의 CPR/2위 기업CPR * 10
- 그 외의 경우: 자기 기업의 CPR/1위 기업의 CPR * 10
② Marketability Index 산출
7
10
성장2
쇠퇴
규모가 크고, 가능성이 있고규모가 작고, 가능성이 없고1
8규모가 크고, 가능성이 없고
4
규모가 작고, 가능성이 있고
93
③ Technology Competition Index 산출
☞ (기술개발 투자비용 / 개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기업의 투자비용) * 10
④ 적용 방법
- 각 항목에 해당하는 산출된 지수를 더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예) Company image Index
- 기업의 CPR = 35.5 (1위 기업 = 43) 이면,
Index 는 16.5/43 * 10 = 8.xxx
Marketability Index
- 성장기의 규모가 크고, 가능성이 있는 시장 = 10
Technology Competition Index
4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비용 = 20억(1위 = 35억) 이면,
Index는 20억/35억 * 10 = 5.7xxx
→ 8 + 10 + 6 / 3 = 8
- 평균값이 6 이상이면, 시장 진입의 유인이 있다고 판단한다.
3. 적용 사례
사례1. 초고속 인터넷 분야의 "KT "의 제품이 진입한 경우
① 기업 이미지: 9점 ( 소비자 선호도 분야 내에서 1위+꾸준한 광고 )
② 시 장 성: 4점 ( 포화상태)
③ 기술 경쟁력: 8점 ( 막대한 R &D 투자)
21/3= 7점으로 진입 가능
개선 방향: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경쟁이 치열함..
새로운 분야로 전환 또는 타 산업과 연계성 강화가 필요
사례2. 건설 분야의 "대림 ♡"의 경우
① 기업 이미지: 5점 ( 삼성, 현대, lg, 대우등 대기업들의 이미지가 강세, 기업 이미지는 이들에 비해 약세)
② 시 장 성: 7점 ( 새로운 건설 경기 영향(신 행정수도 건설 등)
③ 기술 경쟁력: 7점 ( 건설 분야의 특성상 기술적 차이는 거의 없음)
19/3=6.xxx점으로 진입 가능
개선 방향: 기업의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 약세이므로 제 품 자체의 "brand化"(예: e-편한 세상)를 통한 이미지전략을 강 화할 필요가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