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헵탄의 연소실험
■ 화염의 높이계산실험
■ 화염의 높이와 온도차이 측정실험
■ 연소시 산소량과 유독가스량 측정실험
■ 화염의 높이계산실험
■ 화염의 높이와 온도차이 측정실험
■ 연소시 산소량과 유독가스량 측정실험
본문내용
습니다.
연기 중에서 CO, CO2, HCN 그리고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거주자가 받는 유독성 가스의 피해는 다음의 FED식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Total FIN = [(FICO + FICN) x VCO2 + FIO] or FICO2
여기서 FIN 가 1.0에 이르면 거주자는 피난불능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1분간 노출된 경우에 각 유독가스의 FED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CO
FICO = 8.2925 x 10-4 x ppm CO1.036 / 30
2) HCN
FICN = 1 / exp (5.396 - 0.023 x ppm HCN)
3) CO2
VCO2 = exp (0.1903 x % CO2 +2.0004) / 7.1
4) 산소부족
FIO = 1 / exp [8.13 - 0.54(20.9 - % O2)]
5) CO2
FICO2 = 1 / exp [6.1623 - 0.5189 x % CO2]
각 유독가스의 FED를 계산해 보면
연소
시간(분)
FICO
FICN
VCO2
FIO
FICO2
1
7.29 x 10-5
*
1.30
8.86 x 10-4
3.89 x 10-3
2
5.63 x 10-4
*
1.47
1.62 x 10-3
5.44 x 10-3
3
1.44 x 10-3
*
1.64
2.86 x 10-3
7.32 x 10-3
4
2.29 x 10-3
*
1.82
4.96 x 10-3
9.74 x 10-3
5
3.25 x 10-3
*
1.95
6.36 x 10-3
1.17 x 10-2
6
3.04 x 10-3
*
1.91
6.26 x 10-3
1.10 x 10-2
7
2.68 x 10-3
*
1.83
4.85 x 10-3
9.79 x 10-3
7.5
1.75 x 10-3
*
1.37
1.13 x 10-3
9.69 x 10-3
유독가스의 FED
연소
시간(분)
Total FIN
1
9.80 x 10-4
2
2.45 x 10-3
3
5.22 x 10-3
4
9.13 x 10-3
5
1.27 x 10-2
6
1.21 x 10-2
7
9.75 x 10-3
7.5
3.53 x 10-3
Total FIN을 계산해 보면 오른쪽 표와 같습니다.
Total FIN값이 가장 많이 올라간 시간은 5분으로
CO, CO2의 발생량이 가장 많고 O2의 양이 가장
적은 시간입니다. 이때가 가장 연소가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5분의 Total FIN값은 1.0보다 많이 낮은
0.0127값이 나왔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적은 수치가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적은 값이 나왔던 이유로는
첫째. 가연물의 양이 부족하여 연소시간이 짧았고
둘째. 실험장소가 밀실이 되지 못하고 문틈으로 공기가
들어왔다는 것입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서 Total FIN값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실험을 통하여서 얻은 데이터로 계산식을 활용할 수 있었고 이론과 실험의 접목으로 이론으로만 배운 것을 실제로 응용해보는 능력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참고문헌
화재공학원론, 2004, 김운형, 오규형 공역, 동화기술
연기 중에서 CO, CO2, HCN 그리고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거주자가 받는 유독성 가스의 피해는 다음의 FED식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Total FIN = [(FICO + FICN) x VCO2 + FIO] or FICO2
여기서 FIN 가 1.0에 이르면 거주자는 피난불능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1분간 노출된 경우에 각 유독가스의 FED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CO
FICO = 8.2925 x 10-4 x ppm CO1.036 / 30
2) HCN
FICN = 1 / exp (5.396 - 0.023 x ppm HCN)
3) CO2
VCO2 = exp (0.1903 x % CO2 +2.0004) / 7.1
4) 산소부족
FIO = 1 / exp [8.13 - 0.54(20.9 - % O2)]
5) CO2
FICO2 = 1 / exp [6.1623 - 0.5189 x % CO2]
각 유독가스의 FED를 계산해 보면
연소
시간(분)
FICO
FICN
VCO2
FIO
FICO2
1
7.29 x 10-5
*
1.30
8.86 x 10-4
3.89 x 10-3
2
5.63 x 10-4
*
1.47
1.62 x 10-3
5.44 x 10-3
3
1.44 x 10-3
*
1.64
2.86 x 10-3
7.32 x 10-3
4
2.29 x 10-3
*
1.82
4.96 x 10-3
9.74 x 10-3
5
3.25 x 10-3
*
1.95
6.36 x 10-3
1.17 x 10-2
6
3.04 x 10-3
*
1.91
6.26 x 10-3
1.10 x 10-2
7
2.68 x 10-3
*
1.83
4.85 x 10-3
9.79 x 10-3
7.5
1.75 x 10-3
*
1.37
1.13 x 10-3
9.69 x 10-3
유독가스의 FED
연소
시간(분)
Total FIN
1
9.80 x 10-4
2
2.45 x 10-3
3
5.22 x 10-3
4
9.13 x 10-3
5
1.27 x 10-2
6
1.21 x 10-2
7
9.75 x 10-3
7.5
3.53 x 10-3
Total FIN을 계산해 보면 오른쪽 표와 같습니다.
Total FIN값이 가장 많이 올라간 시간은 5분으로
CO, CO2의 발생량이 가장 많고 O2의 양이 가장
적은 시간입니다. 이때가 가장 연소가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5분의 Total FIN값은 1.0보다 많이 낮은
0.0127값이 나왔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적은 수치가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적은 값이 나왔던 이유로는
첫째. 가연물의 양이 부족하여 연소시간이 짧았고
둘째. 실험장소가 밀실이 되지 못하고 문틈으로 공기가
들어왔다는 것입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서 Total FIN값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실험을 통하여서 얻은 데이터로 계산식을 활용할 수 있었고 이론과 실험의 접목으로 이론으로만 배운 것을 실제로 응용해보는 능력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참고문헌
화재공학원론, 2004, 김운형, 오규형 공역, 동화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