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척추 동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척추 동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척추 동물이란?

2. 무척추동물[문]의 분류
(1) 원생동물
(2) 해면동물
(3) 강장동물
(4) 편형동물
(5) 윤형동물
(6) 선형동물
(7) 환형동물
(8) 연체동물
(9) 절지동물
(10) 모악동물
(11) 극피동물
(12) 척색동물 원색동물

3. 참고
원신관

본문내용

항문이 몸통 양쪽 끝에 있다. 양도구를 위로 하고 삼도구를 아래로 하여 기어다닌다.
발생은 자웅이체이고 변태를 하며 대부분 난생이다. 알은 방사상으로 분할하고 유생은 좌우대칭이며 부유생활을 한다. 성게류는 에키노플루테우스, 거미불가사리류는 오피오플루테우스, 해삼류는 아우리쿨라리아, 불가사리류는 비핀나리아라고 하는 유생기를 거쳐 성체가 된다.
① 분류
극피동물은 바다나리아문, 성게아문,,불가사리아문으로 나뉜다. 현생종은 5강으로 분류된다.
a. 바다나리류: 몸에서 갈라져 나온 깃 모양 팔이 많다. 입은 윗면 가운데에 있다. 자루를 이용하여 다른 물체에 달라붙어 살지만, 자루가 없는 종은 자루가지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출현하였으며 현생종은 620여 종이다.
b.성게류: 골판이 촘촘히 늘어선 껍데기로 둘러싸이고 그 위에 움직일 수 있는 가시가 있다. 입에는 아리스토텔레스등이라고 하는 석회질 입틀이 있다. 보라성게, 빨강성게 등의 정형류(正形類)는 입이 아랫면 가운데에 있고 항문이 윗면 가운데에 있다.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출현하였으며 현생종은 860여 종이다.
c. 해삼류: 몸이 유연하고 앞뒤로 길게 늘어나며 등과 배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골편은 피부 속에 흩어져 있다. 입 주위에 촉수가 있다. 해삼, 흑해삼 등은 유족류(有足類)라 하여 관족이 있으나 관족이 없는 종도 있다.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출현하였으며 현생종은 1,100여 종이다.
d. 불가사리류: 보통 5개의 팔이 별 모양으로 벋어 있다. 체표에는 골편이 늘어서 있으나 움직일 수 있는 가시는 없다. 보통 아랫면 가운데에 입이 있고 윗면에 항문이 있으나 없는 종류도 많다.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출현하였으며 현생종은 1,500여 종이다.
e. 거미불가사리류: 몸통 가운데에서 5개의 기다란 팔이 벋어 나온다. 팔과 몸통이 뚜렷이 구분되며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출현하였으며 현생종은 1,900여 종이다.
② 이용
극피동물 중 말똥성게나 보라성게와 같은 성게류의 생식선은 식용으로 한다. 참해삼은 날로 먹거나 말려서 건해삼을 만들고 또 내장을 빼내어 젓갈을 담가 먹기도 한다. 불가사리류는 양식 조개류를 잡아먹는데, 불가사리가 많이 생기면 잡아서 비료로 가공하기도 한다.
(12) 척색동물 원색동물
발생 초기의 배에 척색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들은 모두 원구가 항문으로 되고 2차적으로 생긴 입을 가지는 후구동물의 하나이다.
이 분류군의 가장 중요한 분류학적 특징은 소화관 등쪽에 몸의 지지기관인 막대 모양의 척색을 일생 또는 생활사의 초기에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몸은 좌우대칭이고, 3배엽성으로 체강이 잘 발달되어 있다. 중추신경계는 관상 신경계이다.
폐쇄혈관계를 가지며 심장은 소화관에서 배쪽으로 있다. 소화계는 잘 발달되어 있다.
척색동물문은 미색아문(멍게류), 두색아문(창고기류), 척추동물아문의 3아문으로 분류된다. 미색류는 유생에만 척색이 있고 두색류는 일생동안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배나 유생의 시기가 지나면 척색이 척추로 대치된다. 학자에 따라 미색동물과 두색동물을 합쳐 원색동물문으로 하고 척추동물을 독립된 문으로 분류한다.
후구(後口)동물 장체강류(腸體腔類)에 속한다. 그러나 현재는 척색(脊索)동물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편이 통설(通說)이다. 일반적으로 미색아문(尾索亞門:멍게류 ?탈리아류)과 두색아문(頭索亞門:창고기류)으로 분류된다. 전에는 장색류(腸索類)도 원색동물의 1아문으로 포함시켰으나 장색이 척색이라고 생각되던 것이 척색과 관계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 반색동물(半索動物)로 분류하고 있다. 원색동물은 유기(幼期)에 척색을 가지고 있으나 골양물(骨樣物)이 전혀 없고 관 모양의 중추신경이 있으며 위새강(胃腔)이 있다. 혈색소, 혈구는 없다. 배설계(排泄系)는 없거나 원신관(原腎管)이 있기도 하다. 모두 해산(海産)으로 부유성이거나 착생성(着生性)이며 모래뻘 속에 살고 있다. 화석은 나오지 않았다.
3. 참고
원신관
: 체강을 가지지 않는 동물의 배출기관 중 가장 원시적인 배출기관.
편형동물유형동물윤형동물의 유생과 성체 및 환형동물과 연체동물의 유생(트로코포라벨리저) 등에서 볼 수 있다.
나뭇가지 모양으로 분기하여 유조직 또는 원체강 속을 지나가는 관으로, 각 관의 말단은 끝이 막혀 있다. 관벽에는 여러 가지 형의 섬모가 붙어 있어 배설을 돕는다. 이 섬모를 갖는 세포를 불꽃 세포라 한다. 원신관의 마지막은 모여서 세로로 지나가는 관이 되거나, 또는 1개가 몇 개의 배출공이 되어 체외로 열려 있다.
<참고문헌>
무척추동물 , 최기철 옮김, 문교부, 단기 4292년
http://dragon.seowon.ac.kr/~bioedu/bio/ch30.htm
http://www.nih.go.kr/cyber-tropical/invertebrate%20animals/
http://myhome.shinbiro.com/%7Ekuhmiho/download/Jidoan%BB%FD%B9%B012.hwp
http://www.jamsin.or.kr/leesi/%BB%FD%B9%B0%C0%C7%20%B4%D9%BE%E7%BC%BA/%B5%BF%B9%B0/%B5%BF%B9%B0%BA%D0%B7%F9%BA%B8%C3%E6%C0%DA%B7%E1.htm
http://bric.postech.ac.kr/zsk/newsletter/2-1.html
무척추동물
<목 차>
1.무척추 동물이란?
2.무척추동물[문]의 분류
(1) 원생동물
(2) 해면동물
(3) 강장동물
(4) 편형동물
(5) 윤형동물
(6) 선형동물
(7) 환형동물
(8) 연체동물
(9) 절지동물
(10) 모악동물
(11) 극피동물
(12) 척색동물 원색동물
3.참고
원신관
<참고문현>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03.2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